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피소드
에피소우드
삽화
여담
뒷얘기
d라이브러리
"
숨은이야기
"(으)로 총 127건 검색되었습니다.
걸리버 여행기
수학동아
l
200910
Prologue_ 영국인인 레뮤엘 걸리버는 어린 시절부터 자신이 언젠가는 세계를 여행하게 될거라고 믿고 있었습니다. 마침내 어른이 된 걸리버는 의사 자격으로 배를 타고 머나먼 땅으로 항해를 떠납니다. 그런데 걸리버가 탄 배가 암초에 부딪쳐 산산조각이 나고 맙니다. 바다를 표류하던 걸리버는 이 ... ...
사상 최초의 우주충돌사고 긴급 분석
과학동아
l
200903
1957년 최초의 인공위성 러시아의 스푸트니크호가 우주로 날아간 뒤 우주물체의 충돌가능성을 예상한 전문가들이 있었다.하지만 드넓은 우주공간에서 이런 일이 언제 실제로 일어날지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다. 지난 2월 일어난 인공위성 충돌사고를 계기로 우려에서 현실이 된 우주쓰레기의 위험을 ... ...
비스킷을 커피에 맛있게 적셔 먹는 과학적 방법
과학동아
l
200902
과학자는 모름지기 어마어마하게 큰 연구나 아이디어에 매달려야 한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위대한 발견은 대개 사소한 일상에서 비롯된다. 뉴턴이나 아르키메데스, 에디슨처럼위대한 과학자가 그랬듯, 비스킷과 커피가 만나는 순간 새로운 과학이 탄생한 다.| 과학토크쇼 |렌 피셔 지음 | 강윤재 ... ...
푸와의 과학올림픽, 금메달은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5
2008 베이징 올림픽개최 장소 : 베이징 등 7개 도시기간 : 2008년 8월 8일~24일(17일간)메달 수 : 총 28개 종목 302개 금메달참가국 수 : 205개국푸와중국어로‘복덩이’라는 뜻. 중국을 대표하는 네 가지 동물과 올림픽 성화를 상징. 불이 꺼진 베이징 올림픽 주경기장. 경기장의 밤 풍경을 보러 나왔지만 아 ... ...
'과학세상'으로 소풍오세요
과학동아
l
200708
독수리의 날개에 등을 대고 양팔을 옆으로 쭉 뻗는다. 독수리의 날개와 나의 팔을 비교한다. 독수리의 날개가 1m 정도 된다는 사실을 처음 안 순간이다. 등에 날개를 달자 마치 독수리가 된 듯하다. 항상 머릿속에서 상상으로만 그렸던 새였기에 감회가 새로웠다. 독수리가 하늘에서 땅을 내려다보면 ... ...
놀이공원은 살아있다 .! 힘이 있으니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2
노라조는 내일 하루 종일 놀이공원에서 놀 생각에 벌써 가슴 두근거리며 잠을 못 자고 있다. 롤러코스터에서 소리를 지르고, 눈썰매 씽씽 타며 하루를 보낼 생각에 흥이 절로 나는 노라조. 그런데 아빠께서 씨익 웃으시며 한 마디 하신다.“놀지만 말고, 놀이공원에 숨은 힘을 찾아보도록 해라.”아 ... ...
PART2 엘니뇨 사냥꾼
과학동아
l
200612
대기와 해양의 상호작용 해석하는 기후학자, 기상청 기후예측과 윤원태 박사“기상청이 장기예보 선도센터로 지정됐습니다. 이제 전세계 예측모델이 계산한 자료를 기상청이 분석해 지구 전체의 기후 변화를 그려볼수있을 거예요.”서울에서 세계기상기구(WMO) 총회가 열리고 있던 11월 8일. 기상청 ... ...
'아이드리 시러이'의 신데렐라 방해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9
백설공주 이야기를 엉망으로 만들려 했던 동화나라 악당 ‘아이드리 시러이’ 가 이번에는 신데렐라 이야기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지난번 백설공주 사건의 실패로 자존심이 무척 상했기때문. 이번에도 역시 문제 해결사로 썰렁홈즈가 나섰다. 점점 더 교활해지는 악당 아이드리 시러이. 이번에는 ... ...
동요나라 과학메들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9
5월 5일 어린이날이 되면 자연스레 동요 한 자락이 입에서 흘러나옵니다. 따뜻한 햇살만큼이나 우리의 마음을 환하게 비춰 주는 동요 속에 사실은 놀라운 비밀이 숨어 있다고 하네요. 갖가지 동요들이 태어나 자라는 우리들의 동요나라. 그 속에 숨어 있는 과학을 찾아 신나는 여행을 떠나 볼까요? ... ...
시간의 흐름 속에 탄생한 생명의 신비를 느끼자
과학동아
l
200608
현재까지 알려진 지구의 생물종수는 약 150만 종이지만 학자들은 모두 1000만종이 넘을 것이라고 추산한다. 만약 지구에서 인간을 제외한 모든 생물종이 사라진다면 어떨까. 설마 그런 일이 일어날까 하겠지만 에드워드 윌슨은 매년 평균 2만5000 종이 없어진다고 추정하면서 새로운 종이 계속 발견되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