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망원경
양안경
안경
d라이브러리
"
쌍안경
"(으)로 총 230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늘 창문으로 바라본 늦가을 별자리
과학동아
l
200111
간단한 모양의 별자리지만 M33이 있어 입에 자주 오르내린다. 깨끗하고 어두운 밤을 골라
쌍안경
으로 보면 바람개비의 희미한 빛조각을 건질 수도 있다.ㅣ양자리 ARIES(Ari)ㅣ황도에 걸친 열두 별자리 가운데 첫 별자리이지만 크기는 작다. 안드로메다자리의 발끝에서 아래로 내려와 삼각형자리를 ... ...
태양계는 우리은하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0111
같은 말이다. 실제로 은하수란 눈에 띠 모양으로 보이는 우리은하의 모습이다. 작은
쌍안경
으로라도 밤하늘의 은하수를 들여다보면 별이 너무 많이 모여 있어서 우리 눈에 물처럼 보인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우리은하는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지름이 5만광년이 넘는 거대한 원반 모양을 ... ...
10월 8일 새벽 토성이 달 뒤로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110
시간이 지나면 토성이 달에 붙고 어느 순간 한줄기 빛을 남기고 달 뒤편으로 사라진다.
쌍안경
으로 보더라도 배율이 낮아서 토성이 별과 그리 다르게 보이지 않는다. 토성식을 제대로 관측하기 위해서는 역시 망원경이 필요하다. 대개 60mm 굴절망원경 같은 소형망원경이어도 토성의 테는 잘 ... ...
은하수로 떠나는 한여름밤의 꿈
과학동아
l
200108
실제로 이 부분은 볼록한 모양을 한, 우리은하의 중심이 있는 곳이다. 여기는 작은
쌍안경
으로도 수많은 별이 빼곡히 들어찬 것을 볼 수 있다. 많은 성운, 성단이 뿌려진 이 곳에 망원경을 들이대면 빛으로 가득한 별의 숲을 산책하는 기분일 것이다. 우리은하의 중심은 이 방향으로 3만광년쯤 ... ...
여름밤에 펼쳐지는 달의 몰락 부분월식
과학동아
l
200107
있다. 코페르니쿠스 크레이터에서 나온 빛줄기의 일부분은 거의 8백km까지 이르고 있다.
쌍안경
이나 소형 망원경으로 월식이 시작되기 전 이들 세 크레이터가 뿜어내는 빛줄기를 관찰한 다음, 월식이 진행되면서 빛줄기의 모습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반영식과 본영식 때는 어떻게 달라 보이는지 ... ...
13년만에 성큼 다가온 붉은 행성
과학동아
l
200106
밝기여서 맨눈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쌍안경
을 사용하면 관측이 가능하다. 소행성을
쌍안경
으로 보더라도 다른 별들과 똑같다. 그러므로 쉽게 구분하기 어렵다. 소행성과 별을 구별하는 방법은 소행성이 날마다 조금씩 위치를 바꾸는 점에 착안하면 된다 ... ...
왕초보도 찾는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105
맨눈으로도 볼 수 있어야 하지만 실제로는 목성의 밝은 빛살 때문에 볼 수 없다. 대신
쌍안경
이나 작은 망원경으로 4대 위성을 쉽게 관측할 수 있다.4대 위성은 목성의 적도면에서 매우 가까이 공전하므로 한줄로 늘어선 모양을 하고 있으며 목성면의 앞뒤를 반복해 지난다. 구경 1백mm 이상 되는 ... ...
쌍안경
으로 즐기는 달나라 여행
과학동아
l
200103
표면적이 넓어 햇빛을 더 많이 반사하기 때문이기도 하다.달의 계곡을 잘 들여다보려면
쌍안경
을 흔들리지 않게 잘 고정시키는 것이 좋다. 작은 것부터 폭 30km에 길이가 5백km나 되는 거대한 것까지 표면에 널려 있다. 운석이 달에 비스듬히 충돌해 표면을 깎아내면서 생기거나, 충돌할 때 튀어나온 ... ...
반달과 벌이는 별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200103
밝은 방향으로 나타난다. 달의 중앙 부근을 지나가므로 가려지는 시간은 꽤 길다.소형
쌍안경
만 있으면 별이 달 옆에 붙어서 사라졌다가 다시 나타나는 신기한 모습을 관측할 수 있다.황도상의 먼지들이 만들어낸 조화태양계 내에서 지구가 지나가는 황도면상에는 수많은 미세 먼지들이 떠다닌다. ... ...
한낮에 흑점 관측하는 요령
과학동아
l
200101
흑점의 모습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투영법으로 관찰할 때도 30초에 한번 정도는
쌍안경
을 돌려놓아 과열되지 않도록 식혀준다.하얀 도화지에 투영된 흑점을 자세히 관찰해보면 꽤 커다란 하나의 흑점은 크게 두부분으로 나눠진다. 즉 가운데부분과 가장자리부분의 진하기가 틀리다. 가운데부분이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