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대부
귀족
상류계급
높은사람
신사
사족
d라이브러리
"
양반
"(으)로 총 96건 검색되었습니다.
1 PC서브·케텔·인포서브
과학동아
l
199106
연구하는 '생명' 등이 개설돼 있다. 또 지역 통신모임인 '까치멀'(전주) '능금골'(대구) '
양반
고을'(청주) 'PICA'(부천 인천) '빛고을'(광주) '충남컴퓨터'(충남)와 대학생들의 컴퓨터모임인 '대학전산인'(전국 전산학과 연합회의 통신연락망) 'UNICOSA'(각 대학 컴퓨터서클 모임) '의과 대학'(의대생 통신모임) ... ...
중화(中華)적 세계관이 우르르 마테오 리치 충격파
과학동아
l
199102
그것은 타원형으로 그렸던 마테오 리치의 지도를 두개의 원으로 분리, 동서(東西)
양반
구도(兩半球圖)로 만든 것이다. 한국과 일본 중국을 포함하는 동아시아와 유럽 아프리카에 이르는 이른바 구대륙을 왼쪽 원에, 그리고 남북 아메리카의 신대륙을 오른편 원에 경위선과 함께 그려넣고 있다. ... ...
금속활자의 부활
과학동아
l
199007
목활자가 목판보다 훨씬 경제적이다. 실제로 조선 후기에서 말기에 이르는 사이에 큰
양반
가문에서 개인문집을 내거나 족보를 발간할 때 목활자가 비교적 널리 쓰였다. 그러나 목활자는 오래 두고 여러번 쓰기에는 아무래도 적당치 않았다.만일 활자를 금속으로 만들 수만 있다면 그보다 더 좋은 ... ...
경오(庚午)년을 달리는 에쿠우스 말
과학동아
l
199001
성숙하지 못해 생식능력이 없다.생김새는 모두 나귀를 닮았는데 옛날 우리나라에선 주로
양반
네들이 노새를 많이 타고 다녔다. 몸이 튼튼하여 아무 것이나 잘 먹고 갑자기 변하는 기후에도 잘 견딘다. 때문에 가축으로 기르기 쉽지만 워낙 꾀가 많아 불만이 있을 때는 사람에게 공격하는 심술을 갖고 ... ...
끈끈하고 젖내나는 기름은 사용치 말아야
과학동아
l
198912
햄버거 등 튀김식품의 부작용 여부에 대해 따가운 시선이 쏟아지고 있다."라면은 오히려
양반
이에요. 대기업에서 제조한 만큼 그래도 위생관리가 어느 정도는 되고 있는 셈이지요. 하지만 소비자가 진짜 경계해야할 대상은 정체를 알 수 없는 기름을, 그것도 수십번씩 사용하는 튀김류들이지요. ... ...
80년대 사건과 과학자의 양심 용기, 비열, 얼버무림
과학동아
l
198912
못한 채 잘 길들여진 체제의 일부분이 되어 있다. 유교적 전통사회에서 과학기술자란
양반
지배체제 아래 봉사하여 물질적 안녕을 보장받는 중인(中人)계급을 형성하고 있었다. 오늘의 한국과학기술자들은 현대판 중인계층을 만들고 있음을 간파하기 어렵지 않다. 한국의 과학기술자들이 ... ...
해시계
과학동아
l
198907
대표적인 해시계로서 5백년 동안이나 그 전통이 계승되었다. 궁궐이나 관공서, 그리고
양반
들의 집에서까지 널리 사용되었다. 그 모양의 아름다움과 해시계로서의 정확성, 그리고 시간을 알아보기 쉬운 점들이 조선시대 선비들의 마음에 들었던 것 같다.이 해시계는 정원에 설치해 놓고 시간을 ... ...
흙건축을 되살려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198812
신분의 변신이 있을 때에는 목구조로 전향했으며 무엇보다도 토담을 칠 수 있는 담틀이
양반
들, 또는 마을의 부농의 소유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어쨌든 중동지방 특히 모르코나 기타 예맨지역 그리고 프랑스 리용지역과 남미의 페루 등지에서 크게 활용되었던 토담구조는 우리나라에서 ... ...
석유는 곧 고갈 「태양-수소」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8802
경우 원자력발전소가 없어지기 까지는 앞으로 30년이 걸릴 것이다. 아마 그때즘이면 이
양반
들은 이 세상에 있지도 않을 것이다. 해리스버그와 체르노빌의 원자력 발전소 사건은 두차례에 걸쳐 심각한 자각을 불러 일으켰다. 오늘날 사람들은 그 다음 사건이 언제 어디에서 일어날 것인가를 ... ...
국내최초로 문 연 유물전시관 중부고속도로에서 나온 유적·유물들
과학동아
l
198801
인해 묘를 이장해가는 과정에서 수습, 조사한 '안동김씨 출토유의'는 16~17세기 지방
양반
들의 평상복으로서 당시의 복식형태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꼽힌다. 이 옷들을 죽은 사람의 옷을 집에 두는 것을 금기로 삼아 화장을 주로 했던 고려시대와는 달리 조선시대에는 유교적 관념으로 매장이 ... ...
이전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