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총계
총액
d라이브러리
"
총량
"(으)로 총 133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과학- 생물탄생 이래 불변-대기온도의 미스터리
과학동아
l
199408
태양에서 방출되는 에너지는 어떻게 지구에 도달하며 지구에서 흡수되고 이동할까? 이에 따라 지구의 열수지는 어떻게 이루어질까? 또 지구 내부의 열은 어 ... 억년이다. 태양복사에너지가 변함이 없다면 지구탄생 이래 지표면이 받은 태양복사에너지의
총량
은 얼마나 되는지 계산해 보자 ... ...
우주 팽창·수축의 열쇠, 암흑물질
과학동아
l
199406
수축할지, 아니면 이 상태를 유지할지 결정해주는 변수로 우주공간내에 존재하는 물질의
총량
을 선택했다. 물질의 양이 많으면 우주는 언젠가 다시 수축을 시작해 빅크런치를 만들 것이고, 일정량 이하면 우주는 영원히 팽창할 것이라는 이야기다.그러나 전체 물질량을 계산하는 것은 여러가지 ... ...
지구과학- 방사능이 지구의 역사를 알려준다
과학동아
l
199311
형성된 비적을 센다. 이를 비교하면 지금까지 붕괴한 우라늄과 광물 속에 포함된 우라늄
총량
의 비를 알 수 있으므로 수백년의 연령에서 수십억년까지의 연령측정이 가능하다. 이 분열비적법은 또한 화산재가 굳어진 응회암의 연령 측정도 가능하다. 최근 아프리카에서 응회암층에 남겨진 인류의 ... ...
지층·생성기원 따라 물에도 나이가 있다
과학동아
l
199309
된다. 또 지하수로 침투한 양을 알기 위해서는 어떤 지역에 일정기간 동안 내린 비의
총량
중에서 하천으로 흘러간 것과 증발해 없어진 양을 빼면 된다.이렇게 지구의 장소에 따라 물이 움직이는 상황을 물순환이라 하며 이 과정에서 지하수가 존재한다. 또 지하수는 지표로 흘러나와 순환을 ... ...
국내지하수 17%가 환경기준을 초과
과학동아
l
199309
수자원
총량
의 약 6% 정도가 지하수로 충당되고 있는데, 미국이나 일본의 경우도 수자원
총량
의 20-30% 정도를 지하수로 충당하고 있다.지하수의 충당을 위해 지하수의 개발에 관심을 두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양질의 지하수 공급을 위해 지하수가 오염되지 않도록 배려하는 것도 중요한 ... ...
(2) 블랙홀·별들의 잔해가 어둠 속에 가득
과학동아
l
199306
현대우주론의 혁명이라고 일컬어지는 인플레이션 이론은, 우리 우주에 존재하는 물질의
총량
이 눈에 보이는 양의 1백배에 가깝다는 예언을 해주고 있다. 은하에 잠겨있으면서 우리 눈에 보이지 않던 중성수소나 별의 잔해들을 합한 양보다 훨씬 많은 양의 물질이 우주에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 ...
해양생태계 회생작전
과학동아
l
199302
추세1989년의 통계를 보면 각종 유출사고로 인해 전세계의 해양으로 유입되는 기름의
총량
은 연간 약 56만9천t에 달한다. 80년대 초까지만 해도 1백40만t을 넘던 유출량이 이렇게 감소한 것은 해양오염을 줄이려는 각국의 노력에 힘입은 바 크다. 하지만 유조선 사고가 점점 더 대형화되고 있고 해상 ... ...
플루토늄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02
한다. 연소되지 않은 플루토늄은 방출 핵연료 중에 잔존하게 되는데 생성된 플루토늄의
총량
과 플루토늄 동위체의 조성은 원자로의 종류, 핵연료의 종류와 형태, 또 원자로 내에서의 연소기간에 따라 다르다.우리나라에서 가동하고 있는 경수로(PWR)의 경우를 보면 3년간 사용하고 난 핵연료 중에는 ... ...
고엽제 후유증의 원인 다이옥신 해부
과학동아
l
199207
이상이 돼서는 안된다고 규정하고 있다.한편 월남전 당시 남베트남에 뿌려진 고엽제
총량
은 9천1백만kg이며 이중 61%가 다이옥신을 포함한 오렌지제였다. 다른 독성물질의 경우 그 잔류기간이 보통 1주일에서 18개월까지 다양하지만 다이옥신은 독성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데만도 3년반이 걸린다.Q8) ... ...
4 은하 관측법 달 표면에 천문대를 세워라
과학동아
l
199207
관측으로 구한 속도 자료를 이용해 계산된 은하의 질량이 빛을 내는 물질의
총량
보다 훨씬 크다는 사실이 바로 그것이다.전파관측의 장점다음으로 전파(장파에서 밀리미터파까지를 일컬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파의 파장이 길기 때문에 전파가 통과하는 경로에 있는 입자나 먼지의 영향을 가장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