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프레미어
초연
개
첫상연
공개
d라이브러리
"
개봉
"(으)로 총 472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결말 영화 ‘컨테이젼’ 시나리오 따라가나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그런데 코로나19 사태의 최악의 상황을 보는 듯 착각하게 만드는 영화가 있다. 2011년
개봉
한 ‘컨테이젼(Contagion)’이다. 할리우드에서 만든 재난영화임에도 미국인 영웅이 세계를 구한다는 뻔한 이야기가 아니라 신종 전염병이 발생해 팬데믹으로 전개되는 과정을 현장에서 찍은 듯 보여주는 페이크 ... ...
토크콘서트 세상을 바꾸는 여성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기계배관기술실 과장은 원자력발전소의 ‘여자화장실’을 예로 들었다. 2016년
개봉
한 영화 ‘히든 피겨스’를 보면 1960년대 미국항공우주국(NASA) 건물에 흑인 여성이 쓸 수 있는 화장실이 없어 주인공이 다른 건물까지 뛰어다니는 장면이 나온다. 그런데 국내 원자력발전소에도 얼마 전까지 내부 ... ...
[SF에 묻는다] 프로스트와 베타 vs. 트랜센던스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때문인지 특이하게도 인간의 생리에 관심을 갖게 됐습니다. ‘트랜센던스’는 2014년에
개봉
한 영화입니다. 조니 뎁이 인공지능 과학자 윌 캐스터 역할을 맡았죠. 윌은 테러리스트의 총에 맞아 목숨을 잃을 위기에 처합니다. 윌의 소생이 불가능하다는 게 확실해지자 아내인 에블린은 윌의 의식을 ... ...
조선의 갈릴레오, 장영실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그런데 갑자기 그가 세종실록과 같은 조선의 모든 기록에서 사라졌다. 12월 26일
개봉
한 영화 ‘천문: 하늘에 묻는다’를 계기로 장영실의 과학적 업적을 정리했다. (기사에 나오는 연도와 명칭 등은 구만옥 경희대 사학과 교수의 저서 세종시대의과학기술을 참고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부모 중 ... ...
알고 보면 2배로 재밌다! 수학으로 보는 스타워즈
수학동아
l
2020년 01호
관객들이 생생하게 즐기는 데 수학이 큰 공을 세웠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이번에
개봉
한 최종편을 보는 독자들은 곳곳에 어떤 수학이 숨어 있는지 생각해 보자 ... ...
[현장취재] 하늘에 묻는다 … 세종이 하늘을 본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참가한 김시연 친구는 “이번 강연 덕분에 장영실과 별에 알게 돼 좋았다”며 “이번에
개봉
할 영화가 매우 기대된다”고 소감을 말했어요.장영실과 세종대왕이 어떻게 조선의 과학기술을 끌어올렸는지, 두 사람의 신분을 뛰어넘는 강력한 케미가 궁금한 친구들은 영화 에서 ... ...
영화처럼, 정말 백두산이 폭발한다면?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표기인 창바이산(長白山)이라는 이름이 더 잘 알려져 있는 게 현실”이라며 “영화
개봉
을 계기로 국민들이 백두산에 관심을 가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
‘아재’들의 미래였던 2020년, 실제 발명된 SF 아이템 Top5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50년대부터 각종 SF에 태블릿이 등장했는데, 가장 임팩트가 강했던 작품은 1968년 미국에서
개봉
한 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다. 제41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시각효과상을 수상했으며, 1968년 미국에서 흥행 1위를 달성했다.이 영화는 2000년을 전후해 우주를 항해하는 우주선을 배경으로 삼는다. ... ...
스타워즈의 세계를 엿보다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재미있는 말을 적어 넣어서 다시 포스팅한 그림이나 사진)이 됐다.또, 프리퀄
개봉
뒤에는 에피소드 6 ‘제다이의 귀환’의 마지막 장면에 등장하는 아나킨 스카이워커의 영을 프리퀄에서 아나킨을 연기한 젊은 배우의 모습으로 바꿔 비난을 받았다. 이렇게 자잘하게 수정이 자꾸 생기자 어떤 팬은 ... ...
과학동아 At a Glance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빠져나오지 못하고 폭발과 함께 한꺼번에 터져 나오면서 폭발력도 강해진 겁니다. 최근
개봉
한 영화 ‘백두산’은 백두산이 역사상 최대 규모로 폭발한다는 설정에서 시작한다는데, 과학적으로 한번 분석해 봤습니다. 한국 로봇 기술, 어디까지 왔을까☞바로가기(70p)일본에 ‘아시모(ASIMO)’가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