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량
개조
향상
개혁
쇄신
진보
옴
d라이브러리
"
개선
"(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2050년 탄소 중립, 핵융합이 해내려면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타깃을 대량 생산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에너지 효율에도
개선
이 필요하다. NIF는 이번 실험에서 2.05MJ의 에너지를 전달해 3.15MJ의 핵융합 에너지를 출력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2.05MJ 레이저 에너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3~400MJ 정도의 파워를 넣어야 한다. 3~400MJ 파워는 105 ... ...
[특집] 양자의 '기분’을 바꾸는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한다. 여기서는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연구단장이 IBM에서 세계 최초로 개발했던 ESR-STM을
개선
해 만들었다. 하인리히 연구단장은 “개별 원자와 분자가 표면 위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 연구하는 데에만 20여 년을 보냈다”며 “그간 원자 하나의 스핀을 세계 최초로 측정하는 데 성공하기도 ... ...
[뉴스&인터뷰] 형보다 나은 아우, 차세대 쇄빙연구선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개선
해야 한다는 결과가 나오면 다시 이 작업을 반복해야 했다. “선형(배의 형태)을
개선
하는 과정이 굉장히 빨라졌습니다.” 이 책임연구원은 빙해수조가 만들어진 뒤 이제는 3달이면 모형선을 만들고, 모형선의 성능까지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인프라가 갖춰지자 전문가들도 ... ...
[이달의 과학사] 1869년 12월 28일 추잉 껌에 관한 첫 특허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4호
이후, 다소 딱딱하고 무향이던 치클 기반 껌에 민트향 등의 향료가 첨가되고 품질이
개선
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껌을 씹기 시작했습니다. 껌은 1914년 발발한 1차 세계대전과 1939년에 터진 2차 세계대전 때 미군 병사를 통해 전 세계로 퍼질 수 있었어요. 요즘 우리가 씹는 껌 대부분은 비닐의 ... ...
[기획] Q&A 한국은 공룡이 뛰놀던 낙원! 유네스코 등재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4호
등 전 세계의 화석 산지를 많이 다니셨죠? 한국이 유네스코 자연유산에 등재되기 위해
개선
할 점은 무엇인가요? 마틴 지금도 거의 완벽합니다. 유네스코 자연유산 등재를 놓고 경쟁 중인 볼리비아만 봐도 세계에서 가장 큰 화석 산지지만 경사가 매우 심해 줄을 달지 않으면 접근하기가 너무 ... ...
[기획] 내 생각대로 움직인다! 로봇팔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3호
생각한 방향과 매우 비슷하게 움직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답니다. Q어떻게 움직임을
개선
했나요? 기존에는 뇌에서 감지한 전기 신호가 매우 약해서 생각을 해석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했어요. 뇌 속에 전극을 삽입한 실험 참여자들에게 팔을 ... ...
[특집] 어린이과학동아 아차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3호
읽어내는 기술이죠. 사토 교수는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식품 안전성과 추적 가능성을
개선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AI 그림사람 제치고 미술전 단독 우승?! 지난 9월. 미국 콜로라도 주립 박람회가 매년 주최하는 미술 대회에서 인공지능(AI)이 우승했다는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 ...
[특집] 깔따구 정체를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8호
퇴적층으로 파고들어 오염물질을 분해하고 먹기 때문에 토양층에 산소를 공급해 수질
개선
에 도움을 줘요. 깔따구는 오염물질에 대한 독성 연구 시험을 할 때도 이용되고 있지요. 깔따구 유충 나오면 수돗물도 4급?4급수●는 악취가 나고 색이 혼탁하며 부유물이 많은 물이에요. 4급수는 마실 수 ... ...
[기획] 도심 속 빗물 어쩌다 갈 곳을 잃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8호
어쩌다 한 번 일어날 일이라고 여겼지만, 이제는 기후위기로 재난이 잦아지며 도시
개선
이 불가피해지고 있습니다. 도시 침수는 예고된 일폭우로 침수가 가장 심했던 곳은 서울시 강남구 일대였어요. 성인 허리까지 잠길 정도로 물이 범람했죠. 인덕대학교 스마트건설방재학과 정창삼 교수는 ... ...
[특집] 깔따구 유충, 어디서 왔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8호
깔따구가 서식하기 좋은 환경이 된 것”이라고 덧붙였어요. 그래서 “낙동강 수질을
개선
하는 것이 이 지역 수돗물 안전을 위한 최우선”이라고 주장했지요. 하지만 환경부는 창원의 석동정수장과 부산의 반송정수장이 같은 낙동강 물을 끌어다 정수하는데, 반송정수장에서는 유충이 나오지 않았기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