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계속"(으)로 총 10,4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커리어] 과학과 의학 그리고 꿈이 만나는 현장, IBS 나노의학 연구단 랩투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읽으라”고 답해 랩투어 참가자들의 웃음을 자아냈다. 하지만 “과학에 대한 흥미를 계속 이어 나가는 게 가장 중요한데, 제게 과학동아가 그 역할을 해줬다”는 설명이 덧붙여지자, 모두들 고개를 끄덕였다. 나노입자 실험을 내손으로 직접 강연이 끝난 뒤엔 본격적인 랩투어가 진행됐다. IBS ... ...
- 군침 돌고 맛있게 계량 수학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무게, 부피를 생각하고 계산한다. 이유는 단순하다. 맛과 향, 모양이 일정한 음식을 계속해서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수를 헤아리고 무게와 부피를 재는 ‘계량 수학’은 우리 집 부엌에서부터 최고급 레스토랑까지 음식을 만드는 모든 곳에서 이뤄지고 있는 살아 있는 수학이다. 실제로 ... ...
- 집안일 하다 떠올린 팬케이크 문제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데이터를 정렬하는 컴퓨터과학에서 필요해 더 효율적인 알고리듬을 찾는 연구는 계속 이어지고 있다. 또 ‘까맣게 탄 면이 있는 팬케이크가 섞여 있을 때 크기가 큰 팬케이크가 아래로 가되 항상 탄 면은 바닥 면이 되도록 배열해야 한다’는 상황을 추가한 ‘탄 팬케이크 문제’, 팬케이크 대신 ... ...
- [Rethinking] 제12화. 수학의 본질은 무엇인가?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덕분에 수학의 길을 걷게 됐고, 그동안 만났던 수많은 수학자 덕분에 재밌게 이 길 위에 계속 서 있을 수 있었어요. 세상 많은 일이 그렇듯, 수학도 혼자 하기엔 너무 힘들고 외로운 길이거든요. 수학은 추상적인 대상일지 몰라도, 수학을 이루는 것은 이 공동체에 있는 수많은 사람의 이야기라고 ... ...
- [논문탐독] 단백체 연구의 시작은 정확한 질량분석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위한 현대 의학, 약학의 핵심적인 연구 수단으로 자리잡았기에, 이 논문의 의의도 계속 커질 것이라고 봅니다.*필자소개 채수연 충남대 화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환자 맞춤형 치료법과 전임상 모델의 개발 및 이 분야에서의 정량분석법을 ... ...
- [이달의 책] 재난에 맞서는 과학: 오늘의 과학 탐구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아우른다. 행동이란 거대한 주제를 적확한 구성으로 분석한 통찰력에, 흥미를 잃지 않고 계속 읽도록 이끄는 필력이 더해졌다는 점도 ‘행동’의 큰 장점이다. “(협동성을 촉진한다고 알려진 호르몬인) 옥시토신은 나와 같은 사람들에 대해서는 친사회성을 높이지만 타자들에 대해서는 자발적으로 ... ...
- [꿀꺽! 생활 속 수학 두 입] 코딩으로 널 찾으러 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4호
- 달팽이 미로에 숨은 열쇠를 찾아요! 달팽이 미로에는 장애물은 없지만, 빙글빙글 미로를 계속해서 돌도록 코드 블록을 나열해야 하지요. 이때, 바로 뒤에 같은 코드 블록이 반복해서 나온다면 ‘반복하기 블록’을 사용할 수 있어요. ‘코드 실행’의 빈칸을 채우고, 달팽이 미로를 통과하세요. ... ...
- [프로포즈상] 인간이 바꾼 바퀴벌레의 프러포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분해되지 않아요. 그래서 포도당을 싫어하는 암컷도 수컷을 피하지 않고 짝짓기를 계속할 수 있습니다.연구팀은 새로운 세대의 바퀴벌레가 포도당에서 쓴맛을 강하게 느껴 포도당을 멀리하게 됐다고 분석했어요. 포도당을 좋아하는 바퀴벌레는 퇴치 약을 먹어 죽고, 포도당을 싫어하는 개체가 ... ...
- 브로콜리 파워! 계산 결과는 똑같아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4호
- 그러면 얼음 벽돌은 계속 3개가 남네?”“좋아, 계단이 높아지지 않도록 브로콜리 파워로 계속 평평하게 만들자.”브로콜리보이가 계단을 망가뜨리자, 분노한 어겨맨은 비명을 질렀어요. “으아아악! 꽈배걸, 브로콜리보이! 자꾸 이렇게 방해할 테냐 ... ...
- Day2. 깎아지른 수직 협곡과 옥빛 하천이 눈앞에! (타이루거 협곡-칠성담 해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빠르게 흐르는 하천이 바닥에 침식을 일으키고, 동시에 땅은 융기해 산맥이 계속 높아져야 하기 때문이지요. 특히 대만의 연평균 강수량은 약 2590mm로 우리나라(1300mm)의 두 배에 달하고, 태풍이 북상하는 길목에 있어 많은 비가 내리는 탓에 침식이 강하게 일어나 지금의 타이루거 협곡이 만들어질 수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