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부"(으)로 총 133건 검색되었습니다.
- 타이태닉호 선체 인양 실패과학동아 l1996년 10호
- 분광형이 B형인 항성들이 태양 부근에 모여 있는 지름이 수천 광년인 편평한 항성계 국부항성계는 은하계 중심에서 약 300광년 떨어져 있고 회전속도는 약 250km/s 이다 태양은 그 중심에서 약 300광년 거리에 있다 수술 부위만 무통화(無痛化)시키는 마취법 마비시키는 신경의 부위에 따라 표면마취, ... ...
- 왜 양약과 한약으로 나눠졌을까과학동아 l1996년 08호
- 파라켈수스는 갈렌의 책을 불태우기까지 했다. 그는 4체액설이 옳지 않으며 병이란 국부적이고 여러 종류가 있음을 역설했다. 이 견해는 18세기 모르가니와 비샤의 기관·조직병리설을 거쳐 19세기 피르호의 세포병리설로 정리, 입증됐다. 예를 들어 뇌신경 세포 이상은 정신적 병의 원인이고, 췌장 ... ...
- 핵겨울설 한계 뛰어넘은 새 멸종설과학동아 l1996년 08호
- 사실이라면 다음과 같은 공룡 멸종 시나리오를 꾸며볼 수 있다. 운석이 충돌하면 국부적으로 엄청난 열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수증기와 이산화탄소가 급증해 짧은 기간 동안 온실효과가 발생한다. 또 운석 충돌로 생긴 황산구름이 대류에 의해 지구 전체에 산성비를 뿌린다. 그리고 운석충돌로 생긴 ... ...
- 1. 대도시에 지진이 일어난다면과학동아 l1996년 04호
- 약간 떨어지지만 내진 상세설계가 제대로 되면 상당한 연성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국부적인 피해가 발생해도 쉽게 이를 발견하고 즉시 보수·보강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내진 측면에서는 매우 우수한 구조로 평가된다. 그러나 접합부의 상세설계가 제대로 되지 못해 충분한 연성능력을 ... ...
- 초신성폭발의 장엄한 피날레과학동아 l1995년 11호
- 것이다.아스트로1은 UIT로 모두 66개 천체를 관측했다. 태양계 천체 4장, 우리은하 29장, 국부은하군8장, 그 이외의 은하 16장, 그리고 9장의 먼 천체 사진들을 얻을 수 있었다. 파장별로 나눠보면 근자외선 사진이 3백61장, 원자외선 사진이 4백60장에 이른다. 한편 아스트로2에서 UIT로 주로 관측한 대상은 ... ...
- 안드로메다과학동아 l1995년 10호
- galaxy), M31보다는 훨씬 어두운 반면, 나선팔 구조가 또렷하게 보인다. M31, M33과 우리은하는 국부은하군의 구성원이며 20여개의 난쟁이 은하들도 여기에 속해 있다.맑은밤, 쌍안경으로 M31을 보자. 혹 거기 지적 생명체가 있어서 동시에 우리를 관측하고 있다면… 어쩌면 그들의 CD에 수록된 우리은하에 ... ...
- 2 '생물체 악영향' 명확한 근거 없다과학동아 l1995년 08호
- 생물학적 영향의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한다.송전선에 전압이 높아지면 전선 주위에 국부적인 공기 절연 파괴가 일어나는 현상을 코로나라 한다. 코로나 현상은 맑은 날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비가 올 때 전선에 물방울이 맺혀 있으면 가청소음과 함께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수신 장애를 ... ...
- 한국말로 지은 화성 금성 지명과학동아 l1995년 08호
- 여신산(Mountains) : 여신파테라(Paterae) : 유명한 여성 위인평원(Plains) : 전설상의 여자 영웅국부적인 지형(Reions) : 여자 거인급경사 지역(Scarp) : 건강과 가정의 여신테세라(Tessera) : 운명의 여신고지대(Uplands) : 사랑의 ... ...
- 별 탄생의 순간과학동아 l1995년 07호
- 되지 않는다. 한편 북반구의 적도대 바로 왼쪽 위에 보이는 타원 모양은 이 행성의 국부적인 대기순환 현상을 보여준다.[아래] 이 사진은 위 사진보다 96분(HST가 지구를 한번 공전하는데 걸리는 시간) 후에 촬영한 것이다. 테는 10% 가량 밝아졌고 위성레아는 토성 바로 동쪽에서 토성 남반구에 ... ...
- 사진으로 떠나는 별자리 여행과학동아 l1995년 03호
- 춘천군 신북면 vixen 200㎜(f4), Pentax ME super, 필름 provia 400, EM 200 반자동 가이드 10분우리 국부 은하군에서 우리 은하와 안드로메다은하 다음으로 큰 '바람개비' 모양의 은하이다. 이것은 무척 크지만(보름달 정도) 그 밝기는 매우 희미한 편이다. 그러나 아주 맑고 어두운 밤하늘이라면 쌍안경이나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