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머지"(으)로 총 2,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경쾌하게 반박한 동물에 관한 속설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해를 끼칠 수 있는 상어는 뱀상어, 황소상어, 흉상어, 백상아리까지 네 종뿐이다. 나머지 490종 이상의 상어 중에는 무게가 20톤이 넘는 고래상어나 몸길이 10m 안팎인 돌묵상어도 있지만 이들은 인간을 먹지도 공격하지도 않는다. 네 종의 상어에게 목숨을 잃는 사람도 물론 있지만 매년 해파리가 ... ...
- [통합과학 교과서] 심술궂던 구름, 적성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떨며 호소했어요.“저는 매번 이 길을 지나가야 하는데, 지나갈 때마다 바람이 너무 센 나머지 모자가 날아가고 콧물이 줄줄 흘러요.”잠시 고민하던 꿀록 탐정은 좋은 생각이 떠오른 듯 구름에게 외쳤어요.“구름 님, 남아도는 힘으로 괜한 행인들 괴롭히지 말고 좋은 일 한번 해 봅시다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마블 역대급 빌런 정복자 ‘캉’ 앤트맨이 이길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참고로 양자역학을 설명하는 또 다른 가설인 ‘코펜하겐 해석’은 관측을 하는 순간, 나머지 가능성이 모두 사라진다고 설명합니다. 관측 전까지는 중첩 상태일지라도, 거시세계에 사는 내가 입자를 관측하는 순간에 그 입자 역시 거시세계의 상태로 고정이 된다는 거죠. 다시 정리하면 마블 ... ...
- 양자와 친구가 되는 곳 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03호
- STM을 둘러싼 해자 모양의 틈이 있다. 독자들은 틈을 가운데에 두고 한쪽 발은 STM쪽에, 나머지 한쪽 발은 그 바깥쪽에 걸쳐 진동의 차이를 직접 체험했다. “어지러워요!” “멀미나요!”라는 탄성이 여기저기서 터져나왔다. 신기한 실험실의 모습만큼이나 독자들의 호응을 끌어낸 건 마지막 ... ...
- [Career Math] 프로N잡러, 서동주의 갓생 사는 비결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예술 전문 중학교인 예원학교에 입학하기 위해 매일 8시간씩 미술 공부를 하고, 나머지 시간을 수학이나 다른 과목에 투자했어요. 잠을 줄이면서 최선을 다했어요. 오늘도 마찬가지예요. 3~4시간쯤 잤네요. ─ 계획은 어떻게 짜나요?아주 소소한 계획을 짜고, 매일 그것들을 쌓아가요. 독서를 ... ...
- [논문탐독] 강하며, 상호작용하는 암흑물질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드러났습니다. 표준모형은 우리 우주를 이루는 물질 중 약 5%만 설명할 수 있었습니다. 나머지 물질 중 약 27%는 표준모형 밖의 암흑물질로 구성됩니다. 광자와 상호작용하지 않아서 인간의 눈으로 직접 볼 수 없기 때문에 암흑물질이라는 이름이 붙었죠. 이 물질이 무엇이고 직간접적인 관측이 ... ...
- [수학 히어로, 출동! 슈퍼 M] 머리카락이 몇 개인지 어떻게 세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2호
- 개의 머리카락이 있다면, 그중 1만 개의 머리카락만이 약 3~4개월에 걸쳐 빠지는 거예요. 나머지 9만 개의 머리카락은 아직 자라고 있기 때문에 머리카락이 매일 50개씩 빠지더라도 머리카락의 개수를 유지할 수 있답니다. 머리카락 몇 개인지 어떻게 셀까? 내 머리카락은 대략 몇 개일까요? ... ...
- [특집] 금속이 슬라임처럼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중 수은은 독성이 있어서 위험하고 끓는점이 낮아 쉽게 증기로 변한다는 단점이 있어요. 나머지 액체 금속들은 다른 물질과 쉽게 반응해 성질이 변해버리고요. Q액체 금속은 앞으로 어디에 더 활용될 수 있을까요?간병 로봇에 활용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기존의 로봇은 사람보다 딱딱하고 ... ...
- [Rethinking] 세 번째 질문, x가 방정식에서 사라진다면?수학동아 l2023년 02호
- x라는 기호만 없어졌을 때 어떻게 될 것이냐고 물으면 되게 쉬워요. x 대신 y를 쓰거나 나머지 25개의 알파벳으로 어떻게든 지금과 똑같은 기호화를 했을 거예요. 기호화 자체가 의미가 있는 것이지 x라는 기호가 없어지는 것은 사실 그렇게 큰 의미가 없어요. 그렇지만 기호 자체가 없어졌을 때는 ... ...
- 어떻게 하면 가장 맛있는 감자칩을 먹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알려진 바로 덩크는 16세기 영국 해군이 배에 식량으로 싣던 비스킷이 너무 단단한 나머지 선원들이 비스킷을 맥주에 담가 녹여 먹어야 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했다. 이 이야기의 사실 여부와는 별개로 19세기 영국에서는 비스킷을 차에 담가 마시는 풍습이 있었으며, 이후로 전 세계로 널리 퍼지며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