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히터
스토브
스토우브
가열기
난방기
벽난로
히타
d라이브러리
"
난로
"(으)로 총 112건 검색되었습니다.
밤하늘의 보석들을 사진에 담자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할 때 렌즈 앞에 서리는 이슬을 방지할 수 있으면 좋다. 이슬을 제거하려면 주머니
난로
나 이슬방지 전용 히터를 연결해서 쓰면 된다. 온도는 렌즈가 약간 따뜻한 정도만 돼도 충분하다. 히터는 고무줄이나 끈으로 렌즈후드에 감아준다.■ 검은부채카메라 셔터를 열고 닫을 때 진동이 생기므로 ... ...
화학 - 자연의 복잡한 물질분리, 필요한 화합물 재구성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연소 후의 생성물이라야 이산화탄소와 수증기뿐이므로 독성과 공해가 전혀 없다. 촉매
난로
를 병아리 사육장에서 사용하면 가스로 중독돼 병아리가 죽는 일도 없다. 18세기 영국 과학자 프리스틀리는 점토를 넣은 관을 가열한 후 에탄올 증기를 통과시켰다. 그러자 에탄올과는 달리 밝은 불길을 ... ...
물리- 엔트로피는 시간이 갈수록 증가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운동에너지로 변하는 과정이며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를 번갈아 갖는 것이다. 전기
난로
전기곤로 전기밥솥 등은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는 것이고, 전등은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바꾸는 것이며, 전기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는 것이 전동기다.이 세상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건은 ... ...
생물- 하루 16톤의 혈액 펌프질하는 비결은?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이때 석유 펌프는 펌프 손잡이를 수축 이완시키면서 석유통 안의 석유를 빨아 올려 석유
난로
로 내보낸다. 우리 몸에 있는 심장도 바로 이 석유 펌프 방식으로 몸에 필요한 혈액을 공급하는 것이다.정상 성인의 심장 크기는 길이 15㎝, 가장 넓은 곳의 폭이 10㎝정도로 대략 자기의 주먹 크기와 ... ...
메탄올 식물 성장제로 큰효과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그동안
난로
연료 등으로 쓰여 온 메탄올이 앞으로는 고온 건조 지역에 농업혁명을 불러 일으킬지도 모른다. 같은 전망은 미국의 식물 학자 아더 노노무라와 생화학자 앤드류 벤슨의 오랜 연구결과에 바탕 한 것. 아리조나주에 있는 노노무라의 농장에 16% 희석된 메탄올 용액을 살포한 결과 일부 ... ...
최신기술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충돌하여 중성 원자 쪽으로 방향을 잡는데 이 때 바람이 일어난다. 이 바람은 깔개나
난로
위와 같이 평평한 표면에 일어난 불을 아무런 손상없이 끄기에 적당할 것이다.오늘날 생태학에서 제기되는 가장 예민한 문제 중 하나는 바로 쓰레기처리. 물을 담는 용기에 지금도 쓰이고 있는 방수용 도료가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그의 머리에 하나의 기발한 아이디어가 스쳐 지나갔다. 지진에 의해 천장이 무너지고 벽
난로
가 파손된다 할지라도 방안의 사람을 지켜줄 수 있는 침대를 개발하기로 마음먹은 것. 그 결과가 로스앤젤로스 지진침대라고 이름붙여진 특수침대다.이 침대를 구성하는 강관(鋼管)의 두께는 2/8~3/8인치. 이 ... ...
별이 흔들리고 달이 이글거리는 이유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수 있으므로 조심해서 해결해야 한다.이슬을 방지하기 위해서 예전에는 미리 주머니
난로
를 수건으로 싸서 대물렌즈가 있는 경통 후드 근처에 묶어 사용했으나 잘못 사용하면 너무 강한 열로 광학계나 경통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요즘에는 건전지를 이용한 접착식 테이프 형태의 전기히터로 ... ...
동굴인의 후예들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실시한 결과 거의 전부가 40세 정도 되면 폐질환에 걸려 있었던 것이다.응접실에 벽
난로
를 피우고 운치를 즐기게 된 여유있는 현대인에게는 이런 동굴 속 상황이 우습게 여겨질지도 모른다. 하지만 현대인들도 구석기시대 인류 못지 않게 심각한 실내공기 오염에 직면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루 2 ... ...
(1) 우연한 발견이 역사를 뒤바꿔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공업적 생산이 시작되었으나 예상했던 일이 생기고 말았다. 이 신기한 새 비단은
난로
가까이만 가면 불이 붙는 고약한 성질을 보였던 것이다. 면화약으로 섬유를 만들었으니 그럴 수밖에 없지 않은가. 사실은 질산셀룰로오스 섬유를 처음 만든 사람은 샤르도네가 아니고 조세프 스완이었다. 스완은 ... ...
이전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