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아프리카공화국
공화국
d라이브러리
"
남아프리카
"(으)로 총 330건 검색되었습니다.
[Photo] 문명의 대들보 철과 그 광물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지구 역사의 속살을 볼 수 있는 곳으로 유명한 서호주의 필바라 지역에서 채집된 표본과
남아프리카
카프발 출신의 표본을 가지고 있다. 두 지역은 비록 지금은 멀리 떨어져 있지만, 유사한 지층 형태를 보여주고 있어서 학계에서는 이를 토대로 지구의 옛 역사를 추리하고 있다. 학자들은 호주와 ... ...
[과학뉴스] 미어캣의 사향 냄새는 박테리아 작품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박테리아 때문이라는 사실을 ‘사이언티픽 리포트’ 6월 12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남아프리카
칼리하리 사막 쿠루만 강보호구역에 서식하는 야생 미어캣 36마리의 향낭 분비물을 채취해 유전자를 분석했다. 향낭에는 박테리아가 1000종 이상 살고 있었다. 연구팀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피와 ... ...
[과학뉴스] 국내 연구진, 지구질량 외계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제2의 지구를 찾으려는 시도는 현대 천문학계의 큰 화두다. KMTNet은 천문연이 칠레와
남아프리카
공화국, 호주에 각각 설치한 망원경을 이용해 우리은하 중심부를 24시간 탐색하면서 제2의 지구를 찾는 시스템이다.이충욱 천문연 변광천체그룹 책임연구원팀은 우리은하 중심부를 약 9분 간격으로 ... ...
[가상인터뷰] 하루에 2시간 자는 아프리카 코끼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비결이 뭐야? 코끼리 그것도 밀렵꾼들 때문이에요. 늘 주변을 경계해야 하니까요.
남아프리카
공화국 폴 맹거 위트워터스트랜드대 교수팀은 야생 아프리카코끼리가 생활하는 모습을 35일 동안 관찰했어요. 그 결과 아프리카코끼리가 하루에 평균 2시간 자며, 심지어 46시간 동안 잠을 자지 않을 때도 ... ...
[과학뉴스] 고인류 호모 날레디, 현생 인류와 공존?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9월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하네스버그 인근의 라이징스타 동굴에서 처음 발견된 고인류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비트바테르스란트대 리 버거 교수와 미국 위스콘신 메디슨대 존 호크 교수 등 공동연구팀은 당초 250만~300만 년 전 인류로 추정했던 호모 날레디가 그보다 훨씬 최근인 23만6000~33만5000년 전에 ... ...
수학이 빚은 조각 보석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다이아몬드나 사파이어의 원석은 거의 찾을 수 없으니까요. 다이아몬드의 대표 산지인
남아프리카
와 캐나다도 손톱보다 작은 다이아몬드 원석을 얻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야 합니다. 모든 다이아몬드를 브릴리언트 커트로 깎을 수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보석의 가치를 높이려면 원석에서 ... ...
최신 연구로 떠나는 미스터리 세계여행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곧바로 흰개미설을 일축하며 ‘식물 경쟁설’을 지지하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대 생명과학과 마이클 크레이머 교수팀은 부족한 자원을 두고 여러 식물이 경쟁하다 보니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형 패턴이 생겼다는 연구 결과를 ‘플로스원’ 2013년 8월 15일자에 ... ...
[과학뉴스] 코뿔소는 똥으로 SNS를 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구별하지 못할 만큼 시력이 나빠요. 대신 후각이나 청각이 매우 발달했지요. 그래서
남아프리카
쿠아줄루-나탈대학교와 독일 다름슈타트공과대학교 국제 공동연구팀은 코뿔소가 냄새로 의사소통할 것이라고 생각했어요. 특히 대변에 신호가 담긴 화학물질이 포함됐을 것이라고 추측했지요 ... ...
[Origin] 소리를 지배한 파충류, 지구를 접수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20세기 후반 동물들의 모든 해부학을 현대적으로 분석한 결과 이 이론은 반박됐는데,
남아프리카
의 과학자 요한 웰멘이 1995년에 다시 부활시켰다. 그가 에우파르케리아와 새가 비슷하다고 주장하면서 든 근거 중 하나는, 커다란 타원창(가운데귀와 속귀 사이에 있는 타원형 구멍)이다. 하지만 필자의 ... ...
Part 1. 지구 속 탐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3.5km지구에서 가장 깊숙한 곳에 있는 시설 사람이 드나들 수 있는 가장 깊은 인공시설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위치한 ‘음포넹 금광’이다. 무려 3.5km 지하까지 땅굴이 파여 있다. 이곳은 냉각장치가 있어도 내부 온도가 40℃를 넘는다.205억km지구에서 가장 멀리 떠난 탐사선 13km지구에서 가장 깊이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