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낮"(으)로 총 1,093건 검색되었습니다.
-
- [과학 뉴스] 인저뉴이티, 다른 행성의 하늘을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인류가 ‘조종할 수 있는 동력 비행체’를 날리는 데 최초로 성공한 것이죠. 화성의 낮 동안 태양전지판으로 에너지를 충전한 인저뉴이티는 첫 번째 비행에서 약 40초 동안 제자리에서 3m 높이까지 상승했다가 내려앉았어요. 이어지는 시험 비행에서는 더 높은 고도에 올라 좌우로 이동했다가 ... ...
-
- 글꼴에 세상을 담는 사람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장애등급을 판정하는 기준에 따라 지적장애에 해당하진 않지만 평균 지능보다는 낮은, 경계선의 지능에 해당한다. 대부분 주의 집중이 어렵고 감정 표현이나 의사소통에 서투르다. 박 교수는 “느린 학습자들은 일반 글꼴에서 ㅇ/ㅁ의 구분, ㅂ/ㅍ의 구분도 어렵다”며 “37명을 대상으로 매주 ... ...
-
- [특집] 땅에 묻혀있던 하늘이 드러나다수학동아 l2021년 09호
- 뒤의 시간을 ‘태양시’라고 부르죠. 일성정시의는 밤에는 별을 이용해 항성시를, 낮에는 태양을 이용해 태양시를 측정합니다. 그런데 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동시에 자전하기 때문에 평균적으로 태양시는 항성시보다 매일 4분 정도 느려집니다. 당시 조선은 태양시를 기준으로 정했는데, ... ...
-
- [게임 디자인 씽킹] 빛에 따라 달라지는 게임 배경 그래픽수학동아 l2021년 09호
- 모장 스튜디오가 개발해 2011년에 정식으로 출시한 게임입니다. 이 게임에서는 아침과 낮, 저녁, 밤에 따라 배경 그래픽의 색과 주변 분위기가 바뀌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태양의 위치가 바뀌고 그에 따라 빛의 양이 달라지는 것을 반영했기 때문입니다. 시간대에 따라 다르게 ... ...
-
- [특집] 조선 천문시계, 천문학과 시간의 비밀은 수학!수학동아 l2021년 09호
- 명을 따라 조선의 과학자들이 새로운 천문시계를 만든 거죠. 조선 사람들은 하늘을 보며 낮과 밤에도 정확하게 시각을 알 수 있게 됐습니다.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났길래 하늘을 바라보는 시선이 달라진 걸까요?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조선 천문시계, 천문학과 시간의 비밀은 수학 ...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21화. 우주를 관측하고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수학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중심이고 태양이 하루에 한 번씩 지구 주위를 돈다고 생각했죠. 이를 기준으로 하루를 낮과 밤으로 나누고 각각을 12시간으로 정한 뒤 다시 한 시간을 30등분해 사용했다고 합니다. 이것이 원 주위를 한 바퀴 도는 각도를30)로 정하게 된 계기예요. 또 바빌로니아인들은 360을 6등분한 60을 단위로 한 6 ... ...
-
- 약점 극복한 재생에너지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운영방식, 설치방법 등을 참고, 보완해 안정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 화재 위험성을 낮춘 배터리 연구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배터리 과열 현상을 막을 수 있는 대체 전지 연구가 있습니다. 지난해 김희탁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은 세계 최고 수명의 ESS용 레독스 흐름 전지를 ... ...
-
- 우주로부터 지구를 지켜라! 우주위험감시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21년 09호
- 기준)은 자연우주물체를 관측하는 데 활용된다. 다만 소행성은 표면반사율이 매우 낮아 크기가 작은 경우 지상에 설치된 광학망원경으로 감시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를 보완하고자 NASA에서 운영하는 적외선 우주망원경 ‘NEOWISE’ 등으로 관측한 자료를 활용하기도 한다. 김 선임연구원은 ... ...
-
- 야생동물 구조작전 feat. 장마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없었다. 단 한 마리도 홍수에 희생되지 않았다는 사실에 안도했다. 직원들이 근무하던 낮에 비가 퍼부어 천만다행이었다. 한시름 놓고 나서야 흠뻑 젖은 몸이 무겁게 느껴졌다. 동물의 공간 확보를 위한 케이지 테트리스 이제 앞으로를 대비할 차례였다. 야외 계류장이 정상화될 때까지 동물들이 ... ...
-
- 서울 땅 3m 아래 조선의 금속 유물과 만나다과학동아 l2021년 09호
-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해(日)와 별(星)에 따라 일정한 시간(定時)을 보는 천체 기기(儀)다. 낮에는 해를, 밤에는 별을 이용해 시간을 측정하며 하루를 100등분 한 100각법을 사용한다. 1653년 효종 4년에 새로운 역법인 ‘시헌력’이 도입됐기 때문에 그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추측된다.이전까지 출토된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