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롱
장농
장
장식장
진열장
농담
익살
d라이브러리
"
농
"(으)로 총 31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소변에서 일부 화학물질
농
도 2~3배 증가”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여성청결제 6종 성분 분석 최근 일회용 생리대가 안전성 논란에 휩싸이면서 여성용품 전반에 대한 불신이 늘었다. 과학동아는 일회용 생리대처럼 여성의 외음부에 직접 닿는 여성청 ... 긴급 진단Part 1.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경로 추적해보니Part 2. “소변에서 일부 화학물질
농
도 2~3배 ... ...
[Issue] 100% CG 침팬지 ‘시저’의 귀환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털은 일반 털 묘사 기술과 다른 방법을 썼다”면서 “이번 작품에서는 멜라닌 색소의
농
도 등 과학적인 원리를 적용해 하나의 기술로 모든 털을 묘사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덕분에 길고 색깔이 짙은 털에서 짧고 색깔이 옅은 솜털까지 실감나게 표현할 수 있었다. 수백 만 엑스트라의 비결은 ... ...
[Issue] ‘알쓸신잡’ 자외선차단제 고르는 법3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2).*비어-람버트 법칙(Beer-Lambert Law)log(초기 빛 강도/용액을 통과한 빛의 강도) = 흡광계수 x
농
도 x 통과 거리Step 2. 민감성다른 화장품과 달리 자외선차단제는 유독 ‘순한’ 제품을 고르는 사람이 많습니다. 피부 좀 아껴보겠다고 발랐다가 여드름과 같은 피부 트러블이 생기는 경우가 종종 있기 ... ...
[Future] 나노셀룰로오스의 세계, 나무 갈아 배터리 만든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가장 풍부한 천연 고분자인 셈이다.만드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목재 펄프를 물에
농
도 2% 정도로 풀어낸 뒤 구멍이 미세한 체에 통과시키면, 잘게 찢겨 나노 섬유가 된다. 산을 쓰는 방법도 있다. 셀룰로오스의 분자 구조는 결정질과 비결정질이 번갈아 손을 잡고 있는데, 이를 황산용액에 넣으면 ... ...
[Future] 나노세계 건설하는 두 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용매 속에 녹아 있다가 온도를 높여 줬을 때 스스로 결합하면서 형성된다. 이때 온도와
농
도 등의 조건에 따라 결정의 크기와 그에 따른 색상이 결정된다.이렇게 만든 퀀텀닷은 다양한 용도로 쓰인다. 김성지 포스텍 화학과 교수팀은 퀀텀닷을 이용해서 암을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학술지 ‘ACS ... ...
[Issue] 두리안 ‘ X냄새’가 궁금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구분하도록 한다는 것입니다. 개별적으로 맡으면 양파향이 나는 성분인데, 적절한
농
도로 과일향과 섞이면 미묘한 매력을 가진 두리안 향기로 둔갑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 김 교수는 “냄새 성분이 뇌에 인식되는 과정은 소리나 빛에 비해 잘 알려져 있지 않다”면서 “평소에 자주 먹는 ... ...
[과학뉴스] 해바라기는 동쪽만 바라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연구팀은 해바라기의 구조를 분석해, 이렇게 움직이는 원인이 성장호르몬인 ‘옥신’의
농
도 때문이라는 사실을 밝혀냈어요. 해가 떠 있는 낮 동안에는 해바라기 줄기의 동쪽 부분에 옥신이 많이 생겨나면서 쑥쑥 자라나 점차 서쪽을 향하게 되는 거예요. 반면 밤 동안에는 줄기의 서쪽 부분에 ... ...
벌레의 습격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3호
남부지역에는 수백만 마리의 메뚜기 떼가 나타나 약 700km2 넓이의
농
경지를 뒤덮고
농
작물을 갉아먹어서 엄청난 피해를 입혔지요.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인도의 타지마할에는 ‘푸’라고 불리는 모기처럼 생긴 곤충이 대량으로 발생하기도 했어요. 새하얀 대리석 벽이 곤충의 초록색 분비물로 ... ...
Part 3. 진단부터 치료까지 프랙탈 의학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알아냈다.연구팀은 조직별로 약물이 퍼지는 속도의 차이가 시간에 따른 약물의 혈중
농
도 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시뮬레이션으로 관찰했다. 그 결과 프랙탈 차원이 높아짐에 따라, 약물이 조직 내로 퍼지는 속도가 크게 달라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를 역으로 이용하면 조직별로 프랙탈 ... ...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방향으로 움직였다. 연구팀은 세포막에 있는 칼륨이온 채널이 열리면서 세포 내 칼륨
농
도가 급격히 늘어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doi: 10.1038/ncomms9532).지금까지 인류가 밝혀낸 과학은 사람에 대해 얼마나 많이 알고 있을까. 어쩌면 사람의 감각은 다섯 개가 아니라 여섯 개, 아니 더 많을 지도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