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원"(으)로 총 1,736건 검색되었습니다.
- 게임 회사에서 언어 AI 연구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도전하게 됐어요. AI가 세상에 없던 새로운 걸 만든다는 점에서 매력을 느껴, 인공지능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어요. 크래프톤은 AI 연구원이나 개발자의 실력이 좋다는 소문이 있었어요. 특히 제 연구 분야에서 유명한 연구원이 크래프톤에 계신다는 점도 한몫했지요. 잘하는 사람과 일하면 ... ...
- [기획] 봄철 면역은 T세포에게 부탁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항체는 세균, 바이러스 같은 외부 물질, 즉 항원이 우리 몸에 들어왔을 때 항원과 맞서 싸우는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항체뿐만 아니라 우리 몸을 지켜주는 파수꾼들은 무궁무진하다는 사실! 사람보다 더 사람 같은 똑똑한 면역세포들을 소개합니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봄 ... ...
- [과동키즈] 누구나 자신만의 북극성이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기계공학과 선배가 계신 스마트팩토리 컨설팅 프로젝트에 합류했어요. 고등학교, 학부, 대학원에서 경험한 조각들이 현장에서 퍼즐처럼 맞춰진다고 느꼈어요. 건물의 온습도를 조절하는 공조 설비실엔 코끼리만 한 냉동기가 수십 대나 있고 옥상에도 거대한 냉각탑이 있어요. 센서에서 데이터를 ... ...
- 챗GPT 필수가이드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뉴스에서도 챗GPT, 유튜브에서도 챗GPT, 챗GPT가 연일 화제입니다. 챗GPT에 관한 여러 가지 소문이 많지만, 챗GPT의 원리는 무엇인지, 유료 버전과 무료 버전은 어떻게 다른지 등에 대한 궁금증을 정확히 해결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챗GPT에 관한 확실한 정보, 9문 9답을 통해 확인하세요! Q. 챗GPT가 뭔 ... ...
- 챗GPT 과연 수학자를 위협할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미해결 수학 문제를 풀도록 도와준 적은 없어요. 고등학생이나 대학생, 심지어는 일부 대학원생에게는 좋은 멘토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해요. 교과서 수준의 수학 문제에는 어느 정도 괜찮게 답변하니까요. 물론 사람이 더 낫겠지만요. 사람은 일주일에 몇 시간만 만날 수 있지만, AI는 원하면 언제든지 ... ...
- [성진우·염민규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배아를 인공자궁에서 키우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모델과 수학적 모델링을 접목해 줄기세포 간의 경쟁 과정을 연구했다. 현재는 KAIST 의과학대학원에서 줄기세포 조절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minkyu.yum@kaist.ac ... ...
-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간・담・췌’ 장기의 상호작용을 보다 '어셈블로이드'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모델과 수학적 모델링을 접목해 줄기세포 간의 경쟁 과정을 연구했다. 현재는 KAIST 의과학대학원에서 줄기세포 조절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minkyu.yum@kaist.ac ... ...
- [피플] 제자가 말하는 카파렐리 교수 위대한 수학자이면서 위대한 스승수학동아 l2023년 05호
- 교수님께 미국에 가고 싶다는 제 고민을 이야기했어요. 그랬더니 교수님께서 “텍사스대 대학원 박사 과정에 지원해봐라”고 했고, 용기를 내서 지원했어요. 그 결과 정말로 합격해서 미국으로 가게 됐어요. 수학 연구뿐만 아니라 됨됨이까지 제게 큰 영향을 끼친 카파렐리 교수님을 알게 된 것은 제 ... ...
- ‘기적의 다이어트약’ 출시, 이번엔 진짜 기적 맞아?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새로운 방식의 활용방법을 찾고, 검증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김하일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는 다른 방식의 지방세포 리모델링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김 교수는 “백색 지방이나 베이지색 지방을 갈색 지방으로 바꾸는 방식은 약물 투여를 중단해도 달라진 지방 세포의 조성이 남아있기 때문에 ... ...
- [이그노벨상] 벌에 어느 부위를 쏘이면 가장 아플까?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슈미트 독침 통증지수는 이를 보여줄 수 없었다. 이것이 2014년, 당시 코넬대학교 대학원생이었던 마이클 스미스 미국 오번대 교수가 관심을 가진 문제였다. 꿀벌 연구자였던 스미스는 부위에 따라 통증에 얼마나 큰 차이가 있을지 알아보기 위해, 직접 벌침에 쏘여가며 통증을 기록하기로 했다.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