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뚜껑"(으)로 총 4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핵인싸’의 발차기 병뚜껑 챌린지도 과학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흐읍!시원하게 허공을 가르는 돌려차기. 발끝은 한 점을 향한다. 바로 지름 3cm 남짓한 작은 병뚜껑. 발에 맞은 병뚜껑은 병 입구에서 몇 차례 빙글빙글 ... “앞서 병뚜껑을 열 때 필요한 에너지가 9.8×10-4J였는데, 이보다는 에너지가 훨씬 큰 만큼 충분히 병뚜껑을 열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고무줄 탄성을 이용해 총알을 날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한번 넘겨서 걸친다.➎ 양면테이프로 자에 병뚜껑을 붙이면 완성! 찰흙 공을 만들어 병뚜껑에 올려 쏘아보자. ☞결과 : 자를 당겼다 떼면 찰흙이 날아간다.손에 고무줄을 걸고 잡아당겼다 놓으면 어떻게 될까요? 고무줄이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면서 손을 ‘짝!’ 하고 아프게 치죠. 이렇게 ... ...
- [출동!기자단] 와, 플라스틱이 예술인데? 크리스 조던 전시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붙여나갔어요. 글자는 파란색 병뚜껑으로 쓰고, 나머지 배경은 알록달록한 색의 병뚜껑으로 채웠지요. 이렇게 완성된 기자단의 작품은 3일 간 성곡미술관 전시장에 전시되었답니다!작품 활동이 끝나고, 크리스 조던 작가는 기자단 친구들에게 마지막 이야기를 전했어요. “오늘 제 작품을 보니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말랐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존 고프 랜드는 금속으로 튜브를 만들어 물감을 넣은 뒤 뚜껑을 달았어요. 튜브 물감을 가진 화가들은 물감이 마를 걱정 없이 바깥으로 나가 그림을 그릴 수 있었지요. 특히 야외에서 풍경화를 그린 인상파 화가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답니다. 그뿐만 아니라 튜브는 다른 ... ...
- Part 1. WATER, TEA, SODA, MILK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최소화하기 위해 차를 생산하는 공장에서 음료 용기를 함께 만들어 바로 주입한다. 뚜껑을 닫을 때까지 모든 과정이 멸균 상태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미생물 증식을 막을 수 있고 유통기한을 좀 더 늘릴 수 있다. 또 음료를 금방 냉각시키기 때문에 고온 살균하는 시간이 짧아 차 음료 고유의 맛과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배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찾은 것 같구나.” 아저씨는 채윤이와 수호에게 낡은 나무 상자를 내밀었어요. 상자 뚜껑을 열자 안에서 초록색 아이템이 나타났지요. “엇, 이게 세 번째 아이템?!” ●스토리 따라잡기 : 피젯스피너를 뺏기다! 기쁨도 잠시, 문득 채윤이는 무언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런데 ... ...
- [공생] 식충식물의 놀라운 변신! 화장실이야, 호텔이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포유류가 통풀을 화장실로 쓰는 모습을 촬영했어요. 이 동물은 통풀의 뚜껑잎 아래에서 나오는 달달한 액체를 마시면서 똥을 누고 있었지요. 연구진이 확인해 보니 산지나 무두더지는 달달한 액체를 마시면서 용변을 보고, 벌레잡이통풀은 배설물에 들어있는 질소를 영양분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 ...
- [이모저모] 식충식물 BEST 3! 이상한 애들은 다 모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longicervia )’라는 이 식물의 잎은 긴 항아리 모양으로, 윗부분에는 숟가락처럼 생긴 뚜껑이 달려있어요. 더군다나 잎의 입구 부분에는 꿀을 만드는 기관도 있었죠. 과학자들은 이 식물이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오래된 식충식물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2. 누가 가장 많이 먹을까 ... ...
- Part 5. [우리의 노력 3] 분리수거 제대로 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이물질이 들어 있는 경우가 전체 재활용 쓰레기의 40%를 차지하고 있었답니다. 뚜껑은 빼고, 물로 헹구고!일상생활에서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은 재활용 쓰레기를 제대로 분리하는 거예요. 종류별로 제대로 분리하면 쓰레기를 처리하는 데 드는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지요. ... ...
- [시사기획] 6·25 전사자 유해 발굴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이 과정에서 전사자가 착용했던 유품이 함께 발견되기도 한다”고 말했다. 만년필 뚜껑도 정강이뼈가 있던 자리에서 북쪽으로 50cm가량 떨어진 위치에서 발견됐다. 이어서 만년필 자루도 함께 발견됐다. 이 주변에서 정강이뼈와 함께 3개의 뼈가 발견됐지만, 동일 인물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