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원
마당
바깥마당
야드
택지
타작마당
원정
d라이브러리
"
뜰
"(으)로 총 265건 검색되었습니다.
[참여] 수학으로 그려 본 나의 미래 KAIST 수리과학과 & 국가슈퍼컴퓨팅연구소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것이다. 곽 교수는 그 시기에 좌절하지 않고 꾸준히 해야 큰 산을 넘고 수학에 눈을
뜰
수 있다고 독자 기자를 격려했다.하고 싶은 일이라면 주저하지 마세요!강연이 끝난 뒤, 독자 기자는 카이스트 수학문제연구회 학생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수학문제연구회는 수학을 좋아하는 카이스트 ... ...
9월 9일에도 슈퍼문 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7호
보름달이 밤하늘에서 환하게 빛나는 이유는 태양 빛을 반사하기 때문이에요. 그런데 보름달이 평소보다 지구에 가깝게 다가오면 크기가 더 커 보이고 밝기도 더 환하게 보 ... 9월에
뜰
슈퍼문을 기다려 보세요! 한국천문연구원은 9월 9일에 올해의 마지막 슈퍼문이
뜰
거라고 밝혔답니다 ... ...
알쏭달쏭 자연의 기준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나도 꽃을 좋아한다고~.서울 같은 대도시는 한쪽에서 비가 오고, 다른 쪽에선 해가
뜰
때가 있을 정도로 넓어. 경기도 같은 도 단위로 가면 더 넓지. 그러다 보니 같은 지역이라도 자연 현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어. 그래서 기상청에서는 지역을 시나 군 단위에서 읍이나 동 단위까지 잘게 ... ...
우주선이 뼈처럼 가벼워질까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배열돼 있는 세라믹 고분자 복합체를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나무와 뼈는 물에
뜰
정도로 밀도가 낮고 가벼우면서도 웬만한 금속 못지않게 강도가 높다. 비결은 조직 사이사이에 비어있는 공간 덕분이다. 이를 흉내 내 ‘알루미늄 거품’처럼 금속 사이에 공기 방울을 넣는 연구도 있었지만, ... ...
보글보글 거품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2호
굳을 때 갇혀 있던 기체는 거품 방울로 팽창하면서 함께 돌(부석)이 되어버리지요. 물에
뜰
만큼 밀도가 작답니다.세상에서 가장 가벼운 유리거품에어로젤은 모래와 유리로 만든 고체거품이에요. 빈 공간이 98%나 돼 연료나 전자를 담을 수 있지요. 두께 2.5cm인 에어로젤은 유리창 10장을 겹쳐놓은 ... ...
날아라, 신통방통 미래 비행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3호
볼 수 있을 것 같네요. 해결해야 할 숙제가 남아 있기 때문이랍니다. 몸체가 하늘에
뜰
수 있을 만큼 가벼우면서도 도로에서 다른 비행기나 자동차와 부딪혔을 때 사람이 다칠 위험을 줄일 수 있을 만큼 묵직하고 단단해야 하기 때문이지요.미래 비행기, 안전하려면?지난 11월 16일, 짙은 안개 속에서 ... ...
세상에서 가장 황당한 연구, 2013 이그노벨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0호
만들지만 곧 뭔가를 생각하게 만드는 연구거든요.실제로 개구리를 자석의 힘으로 공중에
뜰
수 있게 한 연구로 2000년에 이그노벨상을 수상한 과학자 가임 박사는 세계 최초로 그래핀을 발견한 업적으로 2010년에 최고과학상인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답니다. 이그노벨상이 만만치 않죠?올해엔 특별히 ... ...
부력으로 둥둥 물로 가는 친환경 보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8호
물체가 중력과 반대 방향으로 받는 힘을 부력이라고 하지. 열기구가 하늘에 둥실둥실
뜰
수 있는 것도 부력 덕분이란다.그런데 어떤 물체는 물에 뜨지만 물에 뜨지 않는 물체도 있잖아요.맞아~. 물에 가라앉는 물체는 부력보다 중력이 더 세기 때문이야. 부력은 물같은 유체 속에 있는 물체 부피에 ... ...
오직 근육의 힘으로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순간까지 밤새 항공기를 손볼 예정이라고 했다.치열한 설계 경쟁… 어떤 게 더 잘
뜰
까이 대회는 오직 사람의 힘으로만 프로펠러를 돌려 비행해야 한다. 올해가 공식적인 1회 대회고, 지난해에 시범대회를 열었다. 지난해 시범대회에 참가했던 11팀 가운데 무려 6팀이 이번 대회에 재도전했다.드디어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뜨겁다.앤더슨 총장도 미래과학콘서트의 연사로 등장한다. 행사 및 내한 준비로 눈코
뜰
새 없이 바쁘다는 앤더슨 총장을 싱가포르에서 만났다. 그는 “노벨상 수상의 비법은 ‘탁월한 연구 성과(excellence only)’라는 정답 외에 어떠한 지름길도 없다”며 “아시아 대학 및 학자들의 연구 수준이 많이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