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근소
조금
마이크
미소한
초미니
d라이브러리
"
미량
"(으)로 총 367건 검색되었습니다.
진짜? 가짜? 심판대에 오른 비소 박테리아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인의 비율을 계산하는 방식이 틀렸고, 비소 배양액에서 자란 박테리아에 남아 있는
미량
의 인이세포 활동을 유지하는 데 충분한지 검토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또 이들은 울프-사이먼 박사팀이 편차가 큰 데이터를 배제하거나 오차로 여기지 않고 뭉뚱그려 평균을 내 버렸다고 비판했다.울프 ... ...
인류가 만든 최악의 독, 고엽제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검사한 장 교수는 “음용수 기준으로 검출 장비의 감도를 최대한 높여 분석했을 때 극
미량
의 다이옥신 흔적이 보였다”며 “이 정도의 양이 인체에 해롭진 않다”고 밝혔다. 하지만 “고엽제가 매립되지 않았다는 뜻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그는 캐럴 기지 땅속에서 고엽제가 발견된다고 ... ...
Part 1. "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미라"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채취한 자료를 이용해 세균을 배양해 봤다. 검사 결과 관 속에서는 6종의 세균이 극
미량
발견됐다. 첫 번째 미라는 관 속의 물방울, 대렴(수의의 한 종류) 등에서 총 네 종류의 세균을 발견했다. 두 번째 미라에서는 직장(항문)과 천금위(시신을 마지막으로 덮는 천) 등에서 두 종류의 세균을 발견했다. ... ...
Intro. 화학-지구촌 구할 녹색 해결사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화학기술의 등장을 촉진하고 있다.미국의 9.11 테러사건이 그 필요성을 부각시킨,
미량
독성물질을 검출하고 확인하는 화학 분석기술의 빠른 발전은 개인 보호 및 국가 안보에 큰 공헌을 하고 있을 뿐 아니라 환경지킴이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식물의 광합성에 관한 화학적 이해가 크게 진전되고 ... ...
라푼젤도 모르는 머리카락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온 혈액에서 영양분을 받아 자라기 때문. 이를 통해 특정 중금속에 오염된 정도와 부족한
미량
원소 등을 파악해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또 질소나 탄소를 분석하면 식습관도 파악할 수 있다.또 많이 나온 특정 중금속을 통해 직업도 추측할 수 있으며, 시합 전에 스포츠 선수들이 불법 약물을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주장이 있다. 해양식물의 조직을 구성하는 원소는 질소와 인, 철이다. 이 중 철은 바다에
미량
으로 존재한다. 식물 조직은 철 원자 1개마다 탄소 원자 10만 개가 반응해 만들어진다. 바다에 철을 충분히 공급한다면 해양식물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엄청난 양의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 1994년부터 15년 ... ...
1987년 살바도르 몬카다 박사의 일산화질소의 근육이완 효과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연탄가스’로 불리는 일산화탄소(CO)나 유독가스의 대명사인 황화수소(H2S)도 인체 내에
미량
으로 존재하면서 신호전달물질로 작용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다. 몸에 좋은 물질과 해로운 물질이 이분법처럼 나눠져 있는게 아니라 때와 장소에 따라 전혀 다른 작용을 할 수 있다는 발견은 ... ...
빛그림 만드는 광화학의 신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빛을 쬐면 브롬화은이 분해돼
미량
의 Ag+이 Ag로 환원된다. 이때 환원되는 은은 매우
미량
이라 눈에 보이지 않는데, 이를 잠상이라고 한다. 잠상이 생긴 필름을 히드로퀴논 또는 메톨 같은 현상액에 넣으면 Ag+가 Ag로 환원되면서 검은 상이 나타난다. 이것을 현상이라고 하는데, 현상액은 Ag+을 Ag로 ... ...
세계가 들썩이는 산업비타민 전쟁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가돌리늄이나 에르븀(Er) 같은 희토류 금속들은 광섬유를 만드는 데 쓴다. 이런 금속을
미량
만 첨가해도 빛의 손실이 일반 광섬유의 1%까지 낮아진다. 세륨(Ce)은 반도체 표면이나 휴대전화 액정 화면을 매끈하게 연마하는 광택제로 쓰인다. 네오디뮴(Nd)은 강한 자력을 만들 수 있어 전기 모터를 만들 ... ...
1971년 마샤 맥클린톡의 월경 동기화 현상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인간 페로몬이라고 주장하는 근거는 사람(남녀 모두)의 땀과 오줌에 이 물질이
미량
으로 들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를 증명할 만한 과학적인 실험결과는 거의 없다. 페로몬은 같은 종에만 작용하는 분자이기 때문에 돼지에서는 즉각적인 성적 행동을 유발하는 강력한 페로몬일지라도 사람에서는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