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수"(으)로 총 242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별 인터뷰] 열혈 탐사팀 무지개빛 식물사랑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많은 사람들 앞에서 발표한 것은 처음이었는데, 다들 저와 누나의 발표를 듣고 박수쳐 줄 때는 정말 기뻤어요.우수탐사대원이 된 비결을 공개해 주세요!김민준 : 기사실 우수대원으로 뽑혔다는 말을 처음 듣고는 저희 모두 어리둥절했어요. 그냥 개구리, 매미, 귀화식물 등을 보고 탐사하는 게 ... ...
- [출동! 섭섭박사] 기네스북에 도전하라! 종이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멀리 날아간 건 김강현 학생의 종이비행기였어요. 무려 18.2m까지 날아가 친구들의 큰 박수를 받았지요. 어때요? 내가 만든 비행기가 더 멀리 날아갈 것 같다고요? 여러분도 세상에서 가장 멀리 나는 종이비행기 만들기에 꼭 한번 도전해보길 바랄게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로봇이 알아서 척척! 사물 인터넷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들어오는 햇빛이 너무 강하면 커튼을 자동으로 치게 만들 수 있고, 소리 센서를 이용해 박수로 조명을 켜고 끌 수도 있지요. 물론 이 장치들은 사물 인터넷을 이용해 스마트폰으로도 움직일 수 있답니다. 이경미과장님은 이런 장치들을 원하는 대로 움직이게 하기 위해선 프로그램 코딩을 잘하는 ... ...
- [Knowledge]전투면역 세포 백혈구의 재발견, 뉴트로필 리턴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있는 곳을 찾아낸다.] 세포의 안전을 위하여 내 목숨을 손 대표 (자리를 박차며 박수를 친다) 짝짝짝. 뉴트로필도 훌륭한 면역세포가 맞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세포와 조직을 지키기 위해 침입자와 싸웁니다. 뉴트로필처럼 막무가내로 주먹을 휘두르는 군인들이 늘어나면 선량한 세포들이 큰 ... ...
- 출동! 우리 산림생물 바로 알기 탐험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특히 숲으로풍덩 1조는 애국가 멜로디에 다양한 나무들의 특징을 담은 가사를 붙여 큰 박수를 받았답니다.발표를 마친 뒤에는 국립수목원의 가을을 느껴보는 특별한 시간도 마련됐어요. 숲이 우거진 수목원 휴게광장에서 가을 차 마시기, 숲의 향기 담아가기, 크낙새 소리가 나는 목걸이 만들기 ... ...
- 참매미의 새벽 대합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경험적으로 매미가 귀머거리일 거라고 생각했어요. 매미 뒤에서 소리를 지르고 박수를 쳐도, 매미는 계속 노래를 불렀거든요. 파브르는 자신의 생각이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매미가 합창할 때, 마을 축제에 사용하는 대포를 발사해 보기도 했어요. 우레와 같은 소리가 터졌지만, 매미는 미동도 없이 ... ...
- 세상에 없는 장난감을 팝니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카메라를 비춰보겠습니다.(우와~.) 종이 위에 3차원 모양의 코끼리 캐릭터가 겹쳐 보이죠? 박수 한번 주세요!(하하)이것이 끝이 아닙니다. 누구 한 분이 나와서 종이책에 색칠을 해주세요. 짜잔! 3D 코끼리 캐릭터에도 동시에 색이 칠해지고 있죠? 크레파스로 거칠게 칠해주고 계신데요, 작가주의 ... ...
- [Knowledge] 생일 축하해, 티라노사우루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티라노사우루스의 팔은 사람의 팔과 비슷한 크기인데, 몸집에 비해 너무나도 짧아서 박수도 치지 못할 정도다. 게다가 이 짧은 팔은, 달린 손가락도 두 개뿐이라 쓸모가 없어 보인다. 그래서 한동안 과학자들은 이 앞다리가 퇴화 중인 흔적기관이었다고 여겼다.하지만 미국 스토니브룩 뉴욕주립대의 ... ...
- [Hot Issue] 스무 살 맞은 한국 토종 로봇축구대회, FIRA컵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이유였다. 일부 로봇이 성공적으로 장애물을 인식하고 엎드려 통과하자 모두가 환호하며 박수를 보냈다. 인간과 휴머노이드가 팀 이룰 날 꿈꿔FIRA컵의 미래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김 교수는 “시점을 언급하기는 이르지만, FIRA컵이 휴머노이드 기반의 인공지능 로봇축구대회로 가야 하는 것만은 ... ...
- [Knowledge] 전자 세상에서 가장 작은 보석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원자는 말 그대로 텅텅 비어있다. 그럼에도 왼손과 오른손이 서로를 뚫고 지나가지 않고 박수를 칠 수 있는 건 전자기력 때문이다. 전자로 둘러싸인 두 원자가 가까워지면 전자끼리 서로 밀치는 힘이 작용해 ‘찰싹’하는 소리가 난다. 텅텅 빈 원자로 이뤄진 손바닥으로 뜨거운 햇볕을 막아 그늘을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