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폭도
중간
반도단체
단체
폭동 선동자
guajira
반도체
d라이브러리
"
반도
"(으)로 총 43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아프리카의 다른 지역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식물 이었다. 또 히말라야 산맥이나 인도
반도
의 고립된 산맥, 스리랑카 섬의 고지와 자바의 원추 화산에서 완 전히 똑같은 식물 종을 발견했다. 희한하게도 더운 저지대에서 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보르네오섬의 산꼭대기에 자라는 식 물들은 ... ...
[시사] 역사를 바꾼 가장 위대한 전쟁 명량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중 133척만이 전면에 나섰다는 설도 있다.*명량(울돌목) 오늘날의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
반도
와 진도 사이에 있는 해협.전격 비교 명량 VS 난중일기◎ 명량해전 출격 직전 거북선이 불탔다?!에서 이순신 장군을 연기한 최민식 씨의 연기가 가장 돋보이는 장면 중 하나는 거북선을 잃고 울부짖는 ... ...
명량, 이순신 그리고 란체스터 법칙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수의 함선으로 울돌목을 등지고 싸울 수는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전남 해남의 화원
반도
와 진도 사이의 해협인 울돌목은 길이가 약 1.5km, 폭이 가장 좁은 곳은 약 300m다. 한강 폭이 약 1km라는 것을 감안하면 얼마나 좁은 바다인지 상상할 수 있다. 조선 수군의 판옥선은 좌우 폭이 약 12m로, 이 ... ...
동물세계반장선거 내가 진짜 리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7호
특히 여학생을 대할 때의 친절한 태도가 인기 비결입니다. 그 때의 경험을 살려 우리
반도
잘 꾸려갈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공약➊ 여학생을 소중히 여기겠습니다.➋ 반 전체의 말을 하나하나 듣겠습니다.➌ 싸우는 사람이 나오면 앞장서서 해결하겠습니다.선생님의 추천 카리스마가 넘쳐요 ... ...
어린왕자, 서호주 아웃백에서 은하수를 보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씨름하는 어린왕자가 나타날 것만 같다. 서호주는 우리나라의 약 77배인 땅에 사람은
반도
안되고 대부분이 황무지라 신기한 경치가 차고 넘친다.은하수가 흐르는 밤하늘에 거대한 바오밥나무가 우뚝 서 있다. 바오밥나무 열매는 꼭 죽은 쥐를 매달아 놓은 모양이다. 그래서 현지인들이 ‘죽은 쥐 ... ...
지구 최남단, 하얀 사막의 장보고과학기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있는 남극에 대한민국의 두 번째 상주기지인 장보고과학기지가 세워졌습니다. 남극
반도
킹조지 섬에 세종과학기지가 세워진 지 26년만인데요. 제가 한번 ‘직접’ 가보겠습니다. 오가희 기자입니다.멀고도 험한 뱃길지구 최남단에 있는 남극은 대륙이에요. 남극의 바다와 육지를 합한 남극권은 보통 ... ...
[Knowledge] 히틀러는 왜 계속 태어나는가?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더러 있던 일이라 이제 크게 놀라지 않는 분위기다. 얼마 전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크림
반도
를 합병했다.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난 지 100주년이 되는 올해, 다시 그곳에서 큰 전쟁이 벌어질 뻔 했다. 일본 사회지도층은 경쟁적으로 ‘망언 퍼레이드’를 하고 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자신들이 ... ...
새하얀 얼음 사막 위의 안식처에 가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경험을 들려주곤 했다. 세종기지는 서남극으로 장보고기지와는 정 반대쪽에 있다. 남극
반도
끝자락에 있는 킹조지 섬에 있는데, 이 근처에는 함께 겨울을 나는 기지가 8개나 있다. 기나긴 남극의 겨울에 월동대원들은 서로 기지를 오가며 외로움을 달래곤 한다. 이들에게 세종기지는 ‘호텔’로 ... ...
÷가 상형문자의 원리로 만들어졌다고?
수학동아
l
2014년 03호
의해 다른 뜻으로 사용되고 있었다는 점이다. ÷는 특히 유럽 대륙과 유럽 북단에 있는
반도
스칸디나비아의 수학자들에 의해 빼기를 나타내는 기호로 오랫동안 사용돼 왔다. 심지어 스칸디나비아의 몇몇 국가에서는 이 기호를 20세기까지 빼기로 사용했다. 하지만 영어를 사용하는 국가에서는 이 ... ...
PART1 제1차 세계대전은 어이없이 일어났다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것이다. 특히 독일의 지원 약속을 얻어내는 데 너무 매달렸다. 독일과 오스트리아가 발칸
반도
를 집어 삼키려 한다는 의구심이 커지기 시작했다. 임계상태는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의혹의 증폭 속에 소리 없이 다가왔다.임계상태에 도달한 시스템은 파멸의 네트워크가 극도로 긴밀해진다. 우발적인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