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통"(으)로 총 5,871건 검색되었습니다.
- 작은 것들을 위한 마이크로미터&나노미터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나노미터(nm)로 나타내요. nm는 1m를 무려 10억으로 쪼갠 단위예요. 바이러스의 크기는 보통 20~300nm지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크기는 약 100nm예요. 바이러스보다 더 작은 것도 있어요. 바로 DNA예요. DNA는 생명체의 유전★ 정보가 담긴 물질로, 마치 사다리가 비틀린 것처럼 생겼는데, 그 너비는 약 ... ...
- [꿀꺽! 생활 속 수학 두 입] 어느 날 자가 모두 사라졌다?! 도와줘, 별별 단위!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허허허, 난 큐빗(cubit)일세. 팔을 쭉 폈을 때 팔꿈치부터 가운뎃손가락 끝까지의 길이지. 보통의 남자 어른을 기준으로 50cm 정도라네. 난 지금으로부터 약 8000년 전에 태어난 가장 오래된 길이 단위일세. 고대 메소포타미아★와 고대 이집트에서도 나를 사용했고, 피라미드를 만들 때도 나를 사용해서 ... ...
- [귀신 잡는 퍼즐 퇴마 동아리] 퇴마동아리, 활동을 시작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정체를 들킨 귀신이 본모습을 드러내고 공격해 왔다. 경비원의 몸을 차지한 것은 보통 귀신이 아닌, 천 년 묵은 뱀이었다. “뱀의 비늘을 공격해 봐야 소용없어! 머리를 공격해야 해!”예서가 마법의 눈으로 놈의 정체를 파악하려 했지만 소용없었다. “몸통이 너무 꼬여있어서 머리를 찾을 수가 ... ...
- [통합과학 교과서] 라푼젤의 머리카락이 빠지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자랍니다. 사람마다 다르지만 머리카락의 성장기는 2~6년 정도로, 매달 1cm 정도 자라지요. 보통 전체 머리카락의 약 85%가 활발히 자라는 성장기 단계에 있어요. 성장이 끝난 머리카락은 2~3주 가량 세포분열이 급격히 줄어드는 퇴행기에 접어들며, 머리카락의 뿌리가 있는 모낭이 피부 위쪽으로 ... ...
- [사막생물탐구생활] 사막의 키다리, 사와로 선인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있었어요. 사와로가 팔을 만드는 이유는 바로 이 꽃과 관련이 있습니다. 사와로의 꽃은 보통 줄기나 팔의 꼭대기에 핍니다. 그러면 꽃꿀을 먹는 새나 박쥐, 곤충 등이 꽃가루를 다른 꽃으로 옮겨 사와로가 번식하지요. 팔이 여러 개 달린 사와로는 꽃을 더 많이 피울 수 있고, 그만큼 번식 능력이 ... ...
- [과학뉴스] 국내 최초 ‘눈 없는 거미’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나머지 눈이 아예 없다는 것입니다. 국립생물자원관 유정선 연구원은 “진동굴성 거미는 보통 거미와 달리 눈이 6개로 적은 편이지만, 눈이 아예 없는 거미를 국내에서 발견한 건 이번이 처음”이라며 “한국구슬거미가 동굴 안에서 거미줄을 칠 곳을 어떻게 찾는지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 ...
- 무궁화 새롭게 변신 중!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교수는 무궁화의 꽃잎을 내밀었어요. 심 교수가 개발한 향기 나는 무궁화였죠. 꽃은 보통 무엇이든 향이 난다고 여기지만, 무궁화처럼 향기가 나지 않는 꽃도 있습니다. 심 교수는 다른 꽃들과 달리 무궁화를 향수로 만들 수 없다는 사실이 아쉬워서, 향기 나는 무궁화 품종을 개발해야겠다고 ... ...
- [통합과학교과서] 또 거짓말?! 소년의 진심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물이 얼어 얼음이 되면 부피가 커지는 독특한 특성은 바로 수소 결합 때문입니다. 보통 물질은 고체가 되면 부피가 작아져요. 그런데 물은 수소 결합 때문에 분자들끼리 잡아당기는 힘이 세서 자유롭게 움직이던 물 분자들이 얼며 단단하고 안정적인 육각형 구조를 이룹니다. 또 일정하게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하구, 산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또 강에서 흘러온 모래나 진흙이 하구 주변에쌓여 삼각주나 갯벌이 생기기도 합니다. 보통 하구에는 하천 관리 시설인 하굿둑이 설치됩니다. 바닷물이 강 쪽으로 올라오는 것을 막고, 물의 높이를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하기 위해서예요. 우리나라에는 1981년 완공된 전라남도 영산강하굿둑을 ... ...
- [출동, 슈퍼M] 수박을 공평하게 나눠 먹는 방법은 무엇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4호
- 거리(반지름)가 항상 같지요. 구 모양의 수박을 부채꼴 모양으로 자르는 과정은 보통 다음과 같아요. 먼저 수박 한 통을 절반으로 잘라요. 그다음 수박 한 통의 1/2을 다시 반으로 잘라요. 그럼 수박 한 통이 1/4크기의 네 조각으로 나뉘어요. 수박 한 통의 조각을 끝에서부터 차례대로 자르면 여러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