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리"(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양자와 친구가 되는 곳 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매트가 깔려 있죠? 언뜻 연결된 것 같지만, 사실 이 실험동은 옆 건물과 완전히 분리돼 있습니다.” 장 연구기술원의 안내에 따라 실험동으로 들어섰다. 진동을 줄이기 위해 특별한 건물을 설계한 이유는 그 안에 들어있는 실험장비, STM이 무척 예민하기 때문이다. STM은 뾰족한 탐침을 이용해 ... ...
- [특집] 중이온 가속기, 1년 만에 터진 라온의 첫 축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제한적이다. 반면 IF는 얻을 수 있는 희귀 동위원소의 종류가 많지만, 희귀 동위원소 빔 분리 과정에서 원하지 않는 종류의 동위원소가 섞여 들어갈 확률이 크다. 신 부장은 “ISOL-IF 시스템을 적용하면 앞으로 더욱 더 희귀한 동위원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저에너지 가속구간 56개 ... ...
- [디지털 새싹 캠프] 우리는 레고로 코딩을 배운다, 사이언스 챌린지 해커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시험해본다. 고래 보호를 위해 고래에게 경고를 해주는 고래 로봇부터 쓰레기 자동분리 AI, 급식 서빙 로봇, 화분에 물주는 기계까지 참가자들 사이에서 다양하고 참신한 아이디어가 구체화되었다. 회의를 통해 만들어진 물건을 다듬은 후, 다른 참가자 앞에서 발표하고 수상의 시간을 가지면 2박 ... ...
- [기획] 24마리의 토끼 한반도 면적 78배를 뒤덮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달아준 호주 생태계6500만 년 전 오세아니아 대륙이 하나의 대륙이었던 판게아에서 분리된 후, 호주 내륙은 지금까지 독자적 생태계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호주는 하나의 거대한 섬으로 코알라나 담비 등 토착종이 주로 살고, 토끼의 천적이라고 할 만한 동물은 대부분 살지 않았습니다. 토끼 또한 ... ...
- [이달의 뉴스]줄기세포로 만든 적혈구 사람에 최초 수혈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연구팀은 줄기세포를 배양해 적혈구를 생산했다. 기증받은 혈액에서 줄기세포를 분리한 뒤, 3주 동안 다수의 적혈구로 분화하도록 유도했다. 연구팀은 과거에 같은 방식으로 만든 적혈구를 혈액 기증자에게 다시 수혈하는 시험을 수행한 적이 있다. 이번 임상시험에서는 한 단계 나아가 기증자 외 ... ...
- 2mm 캡슐이 만들어낸 커다란 도약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상태다. 수소 원자들이 플라스마(원자가 고온고압의 환경에서 전자와 원자핵으로 분리된 상태)로 존재한다. 플라스마 상태에서는 가벼운 원자핵끼리 융합해 더 무거운 원자핵을 만들 수 있는데, 태양의 경우 수소 원자핵 4개가 융합해 1개의 헬륨 원자핵을 만든다. 이때 질량이 미세하게 줄어드는데, ... ...
- [과동키즈] “과정을 즐기는 것이 학자의 삶이죠”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있다는 사실에 깊은 흥미를 느꼈다. 특히 석사 과정일 때 발표된 한 논문인, 액체-액체 상분리로 세포막이 없는 세포 소기관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증명한 논문에 충격을 받았다. 세포의 한 부분은 물과 기름의 상평형 같은 단순한 화학 현상과 연관된다는 발견이 무척 세련되게 느껴졌다. 당시 ... ...
- [광고] 2050 탄소제로시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탄소 발생을 줄이고, 또 탄소를 흡수하는 ‘탄소제로시티’를 만드는 거예요. 개개인도 분리배출, 제로웨이스트샵을 적극 활용해 탄소중립을 실천할 수 있어요. 더 다양한 방법을 배우고 싶다면 ‘2050 탄소제로시티’가 열리는 국립부산과학관을 찾아보는 건 어떨까요 ... ...
- [광고]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기후행동 1.5℃ 토크콘서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되었어요. 토크콘서트 시간에는 참석자들의 이야기도 들어볼 수 있었지요. 저는 평소에 분리배출을 잘해 재활용이 잘 될 수 있게 도와야겠다고 말했습니다.토크콘서트가 끝나고 나서는 ‘나의 작은 실천이 지구를 지켜요’라는 나의 다짐을 썼더니 캘리그라피 작가님이 멋있는 글자로 옮겨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쉽게 ‘분자 요리’라 불리게 되었죠. 분자는 물질이 화학적 형태와 성질을 잃지 않고 분리될 수 있는 가장 작은 알갱이를 뜻합니다. 음식을 이런 분자 단위까지 철저하게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분석해, 질감이나 맛이 다른 새로운 음식을 창조해 내는 것이 ‘분자요리’의 진정한 목표이죠. 그 결과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