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망
서거
변기
d라이브러리
"
붕어
"(으)로 총 94건 검색되었습니다.
바퀴벌레의 행동양식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①주기성 활동을 한다.②무주기성 활동을 한다.③전혀 활동을 하지 않는다.2 어항 속의
붕어
를 물 밖으로 꺼내면 팔딱팔딱거리다 죽어버린다. 그런데 말뚝망둥이는 망그로브 가지에 기어올라 있거나, 물가에서 꽤 떨어진 돌위나 번들거리는 개펄에 누워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들은 어떻게 물을 ... ...
파이오니어-내 어깨에 지워진 짐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유전공학을 해서 뭘 할거냐고 내게 묻는 사람들에게 "고래를 어항 속에서 키울 수 있도록
붕어
만하게 만들어서 왕창 팔아먹겠다"고 호기를 부리기도 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아주 사소하게 보이는 실험 하나에도 엄청난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할 뿐아니라 실패를 거듭할 수도 있다는 사실에 더 ... ...
만주지역의 발해유적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발해군의 무예를 닦던 연병장이라는데 지금은 80ha정도의 양어장이 되어 있다. 잉어 초어
붕어
메기를 기르고 있으며 수면에서는 젊은이들이 보트놀이를 즐기기도 한다.발해왕국 도읍유적이 있는 곳은 현재의 흑룡강성 영안현 발해진 향수촌(黑竜江省寧安県渤海鎭响水村).이 성은 동서 4천6백50m ... ...
세계 최강 합금개발, 과연 쓸모는?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배제해 나가다보면 뜻밖의 '월척'을 낚을 수 있다. 그것중의 하나가 바로 KM 1557.월척이
붕어
인지 잉어인지는 강도측정시험과 부식시험을 해봐야 알 수 있다. 합금의 강도는 크립(creep)실험을 통해 알 수 있다. 즉 4㎏의 추가 달린 합금선을 1천℃의 온도에 노출시키면 언젠가는 끊어진다는 것을 ... ...
확률론과 결정론을 합친다 수학의 새 지평「프랙탈이론」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즉 미래를 결정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뜻이다.또 하나는 큰 연못 안에 있는 잉어와
붕어
의 비율은 얼마나 되는가를 계산하는 것과 같은 내용이다. 이런 문제는 연못 안의 물고기를 전부 잡아서 셀 수도 없으므로 확률적으로 추측할 수밖에 없다. 이것이 '확률론적 수학'이다.그 두가지 수학 이론을 ... ...
낙동강하구와 한강서울수역 철새는 보금자리를 잃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따라서 맑아진 한강의 서울 수역에서는 이제 잠수성이며 어식성인 특히 과반수 이상
붕어
를 주식으로 하는 비오리와 잡식성이지만 물속에서 주로 식물성(풀과 풀뿌리 등)과 약간(약 20% 미만)의 동물성(수중곤충 및 기타)먹이를 취식하는 흰죽지(오리)가 몰려들 수 밖에 없게 되었다. 비오리는 개발 ... ...
30여년만의 본격조사 휴전선의 생태계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어류는 71종. 농약사용이 거의 없어 어딜 가나 피라미 갈겨니 돌고기 모래무지 새미
붕어
배가사리 참종개 새코미끄리 퉁가리 메기 등이 떼지어 살고 있었다. 그러나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해서 지역의 담수어류상은 큰 차이가 나 전체71종중 영동지방에만 있는 것이 14종이나 됐고 양쪽에 모두 있는 ... ...
PARTㆍ1 「기르는 어업」의 이모저모를 살핀다 민물고기의 천국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지금까지 국내에 도입된 외국산 민물고기는 무지개송어 초어 백련어 배스 블루길 떡
붕어
등 11종으로 도입종이 전체 담수어의 11.4%에 이른다는 것이다. 도입어종의 방류가 호소생태계를 풍부하게 할 것인지, 아니면 생태계 파괴의 주범이 될 것인지는 좀더 두고 보아야 할 것 같다. 양식 민물고기의 ... ...
수달의 생생한 모습 포착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헤엄치던 수달이 바로 위로 올라오는 모습이 목격됐는데, 이때 수달은 비교적 큰 물고기(
붕어
로 보임)를 입에 물고 있었다. 물가의 바로 위로 올라온 수달이 물고기를 씹어먹는 장면은 완전한 한마리의 맹수였다. 튼튼한 이빨로 물고기 한마리를 해치우는데 소요된 시간은 불과 30여초 남짓한 짧은 ... ...
PART ① 수중보 설치와 물고기의 환경변화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서울의 한강은 그 당시도 피라미구역이 대부분이었고, 위와 아래에 빈약한 갈겨니구역과
붕어
구역이 불었을 것으로 추리된다. 한강개발과 어류생태계의 문제점 한강유역에서 우리 조상들의 농경생활이 시작되면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서울의 한강산 담수어는 줄곧 쇠퇴일로를 걸어왔다. ... ...
이전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