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비탈"(으)로 총 91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형 김양식구 만든 윤유택과학동아 l1992년 03호
- 씨는 성공이란 잣대만으로 재자면 우리 발명계에서도 오르막이 아닌 내리막의 비탈길에서 가쁜 숨을 몰아쉬는 사람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남들이라면 하던 일조차 정리하고 여생(餘生)을 즐길 일흔다섯 나이에 '무엇에 씌인 것'이라며 고개를 내흔드는 주위의 만류와 비난을 감수하며 발명가의 ... ...
- 뿔이 무기인 노루과학동아 l1991년 10호
- 서식처를 바꾸는 노루는 여름엔 높은 곳으로 겨울엔 저지대로 이동한다.그들은 거친 비탈도 잘 치닫고 헤엄 솜씨도 제법 능숙하다. 청각 후각 시각도 탁월하고 조심성도 이만저만이 아니다. 어린 노루는 퍽 양순하지만 자랄수록 고집이 세지고 성질도 곧잘 낸다. 특히 수컷은 이유없이 날뛰고 성질을 ... ...
- 잊혀져 가는 옛조상의 땅 중국동북지방의 고구려 유적과학동아 l1989년 11호
- 위에 얹은 비석이 있다. 산상왕 때 옮긴 도읍으로 밖은 가파른 절벽이며 안쪽은 완만한 비탈이고 북쪽이 높고 남쪽이 낮은 지형이다. 성 둘레는 6천9백51m나 되었다 한다.비에 새겨진 내용을 보면 성문이 다섯곳에 있었고 성안에는 따로 놓은 망대가 있었으며 궁전의 남북길이가 92m였고 동서길이는 6 ... ...
- 동화 속의 투시경을 찾아과학동아 l1989년 11호
- 힘든 일인 만큼 남모르는 즐거움들도 있다. 아침에 식당에서 싸 간 맛없는 도시락을 산비탈 개울가에서 먹는 약간의 처참한 즐거움, 교수님 몰래 일찍 숙소로 돌아와 어떻게 변명할까 고심했던 순간들, 보고 오지도 않은 노두를 어떻다고 말씀드려야 할까 고민했던 기억들이 정겹다.또 어쩌다 화석이 ... ...
- 40여년만에 처음 지질학자가 살펴본 백두산 지형과 지질과학동아 l1989년 10호
- 70% 강수, 30% 용천수매부리 같이 생긴 천문봉(2670m)쪽에서 경사 70˚의 가파르고 미끄러운 비탈을 가재걸음으로 천지 수면쪽으로 내려가노라면 몸이 천지 속으로 빨려드는 듯하여 식은 땀이 난다. 천지 수면의 넓이는 21.41㎢, 수면둘레 13.11㎞, 남북거리 4.85㎞, 동서거리 3.35㎞, 가장 깊은 곳 3백83m, 평균 ... ...
- 베일을 벗은 소련의 군항도시 블라디보스토크(Vladivostok)과학동아 l1988년 11호
- 자연의 지형을 교묘하게 살린 도시다. 단구와 단구 사이로 이어진 거리의 곳곳이 비탈길로 되어있다. 이런 고갯길 때문에 변화가 풍부하고 전망이 좋다. 그러나 추운 대륙의 나라 소련의 체제 때문인지 화려한 분위기는 없다.인구는 현재 63만명. 지난 5년간에 배가 늘었으며 21세기 까지는 80만명으로 ... ...
- 마약, 청소년을 이렇게 파괴한다.과학동아 l1988년 05호
- 약물들은 사용중 급작히 중단해도 심한 신체적 고통증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반면 바비탈계 수면제나 마약, 신경안정제 등의 약물은 사용하다 갑자기 끊으면 무척 고통스런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른바 금단증상을 보이는 것이다.그래서 처음 사용했을 때의 편안함을 되찾기위해 더 많은 양의 ... ...
- 콩을 다년생 초본으로 개발한 주역 장권열 교수과학동아 l1988년 03호
- 논과밭을 모두 합쳐 2백14만ha 정도 뿐이다. 콩은 원래 우리나라 농민들이 논두렁이나 산비탈에 심거나 밭에 간작으로 심어왔다. 장교수는 그런 재래농법의 테두리안에서 생산량이 늘게 될것을 바랄뿐이라는 것을 굳이 강조한다. 6.25의 전진이 아직 자욱한 1952년에 대학을 나온후 30여년 동안을 ... ...
- 한국의 봄꽃과학동아 l1987년 04호
- 봄꽃들을 처음으로 발견하는 것은 아마도 사람이 아닌 꿀벌일 것이다. 봄에 남쪽을 향한 비탈에 피어 있는 꽃다지의 노란색 꽃은 처음엔 현미경으로나 볼 수 있을만큼 작지만 꿀벌들은 이미 향기를 맡고 달려드는 것이다 ... ...
- 대표적인 봄꽃, 개나리와 진달래과학동아 l1987년 04호
- 있으나, 함경도지역에서는 개나리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이며, 진달래가 특히 북쪽의 비탈면에 많이 피는데 비해 개나리는 양지바른 곳에 많이 피어난다 ... ...
이전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