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고
홍보
삐라
전단
광고지
프로파
프로퍼갠더
d라이브러리
"
선전
"(으)로 총 309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니텔 vs Btx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우정국은 Btx 시스템이 완성돼 은행에 갈 일이 없어졌고, 온라인 쇼핑도 가능해졌다고
선전
하며 가입자들을 모으기 시작했다. 우정국은 1984년 말 가입자가 15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실제 가입자는 정작 2만명에 불과했다. 디코더와 Btx 터미널이 너무 비쌌고, 화면이 바뀔 때마다 요금을 ... ...
고집적 vs 고효율 형광등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조명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기세가 조금 더 들더라도 고집적 형광등을 선택해야 한다고
선전
했다. 이렇게 전력회사와 GE의 연합으로 탄생한 고집적 형광등은 GE의 판매 노력에 힘입어 이후 조명 시장을 석권하게 됐다.이 과정에서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줄 수 있었던 고효율 형광등은 역사의 ... ...
원폭 60주년 '히로시마의 종이학'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등 뒤에서 피해자의 가면을 쓰고 세계의 위로를 받고자 한다. “우리는 미국으로부터
선전
포고도 없이 원자폭탄을 맞았다”며 일본이 그동안 철저하게 수모와 불이익을 당해온 히바쿠샤와 그 가족들을 껴안은 것은 사다코와 같은 원폭 스타와 히바쿠샤들의 애절한 증언이 필요했기 때문이다.이런 ... ...
허풍을 마시는 음료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팻다운은 이름처럼 지방흡수를 낮추고, 지방합성을 저해하며, 체지방을 분해한다고
선전
한다. 무엇보다 기존의 ‘바르기만 하면’ 또는 ‘마시기만 하면’에서 벗어나 운동하기 전 팻다운을 마시면 다이어트 효과가 있는 피트니스 음료라는 이미지를 부각시켜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팻다운은 ... ...
04. 디지털의 화려한 플래시댄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무게는 어떨까? 초기 휴대전화 광고는 너나 할 것 없이 배터리가 작고 가볍다는 점을
선전
하기 바빴다. 크기와 무게가 곧 휴대전화의 기술을 상징했다. 1983년 모토롤라가 개발한 최초의 휴대전화 ‘다이나택’은 1.3kg이었다. 5년 뒤 ‘다이나택 8000’은 771g으로 무게가 절반가량 줄었다.하지만 최근 ... ...
1 사람 잡는 19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뒤에는 “상업주의의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일부 언론과 기관들이 19단이 좋다고
선전
하고 있는데 이는 19단이 가르치기 쉽고 한번 배우면 아이들 실력이 눈에 띄게 올라가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상업적으로 19단은 최고의 소재인 셈이다.김 교수는 “수학에 대한 학부모의 ... ...
3. 진화론 알아야 세상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저서 ‘화’(명진출판)는 지금까지도 출판계의 신화로 남아있다. 보통 1만권 정도면
선전
했다는 명상서적이 이렇게 대박을 터뜨릴 줄은 누구도 예상 못했던 일.살림출판사의 출판기획자인 최진씨는 “어떤 책이 성공할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진화론을 적용하는 것은 위험은 줄이면서 기회는 ... ...
4. 마음도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잘 생존할 만큼, 즉 값비싼 신호를 만들어내도 까딱없을 만큼 대단한 존재라는 사실을
선전
하고 있다.인간의 눈물은 공작의 버거운 꼬리와도 같다. 차이가 있다면 눈물은 인간 누구에게나 있지만 공작의 버거운 꼬리는 수컷에게만 있다는 점뿐. 눈물은 비싼 신호이기 때문에 정직하며 눈물을 본 ... ...
과학이 당신을 엿본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않음’ ’반경 300m안에서 목소리가 또렷히 들림’. 이는 인터넷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선전
문구다.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10만원 안팎의 가격에 하루면 이들 장비를 집앞에서 받아볼 수 있다.최근 들어 감시 장비는 점점 더 지능화하는 추세다. 휴대전화 위치추적은 기본이고 무선랜 도청, 스파이웨어 ... ...
6. 평범함이 비범의 열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사람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 그의 천재성을 등에 업고 상대성이론의 난해함을
선전
한 것은 아인슈타인의 후계자들이 아니라 언론이었다.단적으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을 이해한 사람이 전세계를 통틀어 12명밖에 되지 않았다는 이야기는 사실과 동떨어진 것이다. 그가 1905년에 내놓은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