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상
윗대
선대
선민
선
줄
줄무늬
d라이브러리
"
선조
"(으)로 총 371건 검색되었습니다.
진화에서 인공지능까지, 똑똑한 유전 알고리즘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자손에게 전한다. 여러 세대를 거듭하면서 이런 특성이 점차 쌓이게 되고, 결국에는
선조
와 다른 특성을 가진 종으로 변한다.진화를 이용한 유전 알고리즘유전 알고리즘은 이런 진화의 원리를 이용해 인공지능을 만들거나, 풀기 어려운 문제의 근삿값을 구한다. 망치를 예로 유전 알고리즘을 설명해 ... ...
바이오 전자 현미경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그 ‘마마’다. 호랑이에게 당하는 변인 호환과 천연두를 가리키는 마마는
선조
들에게 피할 수 없는 두려움 그 자체였다. 다행히 1796년 영국의 의학자 에드워드 제너가 우두를 이용한 천연두 예방법( 우두법 )을 개발한 뒤, 천연두는 1977년을 마지막으로 지구에서 사라졌다. 하지만 미국과 러시아에서 ... ...
Fly High! 날아올라 볼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에 나오는 문장이에요. 임진왜란은 16세기에 일어났으니 이 기록이 맞는다면 우리의
선조
는 이미 16세기에 비행체를 만들었다고 추측할 수 있죠.새 모양을 연구해 나는 것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날기를 시도한 사람도 있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연구된 열기구와 수소기구가 있죠. 이후 등장한 ... ...
가자, 세계로! 유럽으로 떠나는 문화 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5호
오늘날에는 화려했던 역사만큼이나 훌륭한 문학작품으로 더욱 주목받고 있어요. 영국의
선조
인 켈트족과 영국 역사를 이끌어 온 앵글로색슨족의 특성이 절묘하게 섞이면서 훌륭한 문학 작품이 많이 나왔답니다. 고대 소설인 부터 , 를 거쳐 대문호 ... ...
지리산이 감싼 1500년의 눈물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때는 두 개의 전기모터를 이용한다. 2km 상공까지 올라갈 수 있고, 모형비행기처럼 RC 무
선조
종기로 조정한다.[➊ 갯벌의 보고 순천만. 논에 그려진 거대한 새가 인상적이다.][➋ 천연기념물 홍도. 원시림과 맑은 바다로 유명하며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섬이다. ➌ 보성 녹차밭. 하늘에서 보면 녹차의 ... ...
[knowledge] 고대 화장품은 현대 화장품과 다르다? 같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豚趾脂)에 괴화(槐花)를 섞어 바르면 낫는다."-빙허각 이씨 ‘규합총서’우리나라
선조
들은 예부터 흰 피부를 선호했다. 단군신화에서는 곰이 100일 동안 햇빛을 피하고 쑥과 마늘을 먹어 웅녀가 됐다. 쑥과 마늘에는 미백 효과가 있다. 태평양종합산업(현재 아모레퍼시픽)의 고(故) 전완길 대표는 ... ...
[Math Tour] 피사의 사탑 기울기를 재다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옛 사람들의 무덤이 있는 캄포산토로 가는 기분이 묘했다.캄포산토는 누군지 알 수 없는
선조
들의 무덤으로 가득 차 있었다. 오랜 세월이 흘렀음을 보여주듯 흐릿한 벽화와 죽은 이를 기리는 조각 사이를 걷다가 드디어 발견했다. 바로 레오나르도 피보나치의 무덤이다.피보나치는 우리가 지금 ... ...
친구들 속에 묻어가기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먹는 사회성 애벌레들이다.‘이동식 집(Silk case)’을 가지고 다니는 애벌레도 있다. 옛날
선조
들은 비가 올 때 어깨에 두르던, 짚으로 만든 비옷을 도롱이라 했다. 이러한 외형적 특징과 기능을 본따 ‘도롱이벌레’라 부르는 주머니나방 애벌레가 좋은 예다. 도롱이벌레는 대부분 나무의 잎이나 ... ...
서울에서 즐기는 과학나들이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만든 봉수대에서 선사시대 한강변에 살았던 신석기인들의 흔적까지 서울의 역사와
선조
의 생활 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코스다. 아차산 봉수대는 고려시대부터 사용했던 봉수대를 1994년 복원한 곳이다. 아차산성은 아차산 정상부에서 남쪽으로 내려오는 능선의 중앙에 위치하는 삼국시대 산성이다. ... ...
아름다운 무지개다리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물방울 지역을 통과하는 원뿔 모양으로 보인다. 아하! 생각이 쑥쑥!무지개를 사랑한
선조
무지개의 아름다움에 대한 동경을 나타내듯 우리나라의 전통 건축물에는 반원 모양의 돌로 된 다리나 문이 많다. 무지개를 나타내는 한자로 홍(虹)과 예(蜺)가 있다. 그래서 무지개 모양의 다리를 홍교,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