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실적
결말
성적
결실
결정
소산
d라이브러리
"
성과
"(으)로 총 2,600건 검색되었습니다.
[이그노벨상] 롤러코스터와 아이스크림으로 질병을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분야다. 거의 매년 수여돼 왔으며 다른 분야와 비교해서도 빼놓기 아까운 화려한 연구
성과
를 자랑한다. 이 중에는 실제 환자의 사례를 토대로 치료법을 제시한 연구도 많다. 2006년 이그노벨 의학상은 프랜시스 페스미어 미국 테네시대 의대 교수가 수상했다. 그의 업적은 항문에 손가락을 넣어 ... ...
[SF소설] 귀향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재원으로 운영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
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저소득·소외계층의 복지 증진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 ...
[디지스트] 골칫덩이 탄소를 연료로 만드는 신재생 에너지 변환 소재 연구실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씌웠더니 촉매가 변하지 않고 이산화탄소 환원을 끌어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의
성과
는 2021년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 게재됐다. doi : 10.1038/s41467-021-24105-9 좋은 촉매는 원하는 화합물을 원하는 양만큼 만들어낼 수 있어야 한다. 남 교수는 “수계 전해질에서 이산화탄소에 전기를 ... ...
[이달의 책] 사랑 없는 미래에서 상상한 인간의 조건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해결해주는 과학 기술이 등장한다면 어떨까. 대부분의 사람이 그 기술의 한계보다도
성과
에 더 집착하게 될 것이다. 이 작품 ‘베이츠’는 먼저 전 인류가 극복해야하는 엄청난 시련을 던지며 그 상상력을 발휘한다. 바로 세계적인 식량 부족 사태다. 식량 부족은 세계의 일부 지역에선 여전히 가장 ... ...
[러셀 탐구생활] 러셀의 삶을 뒤흔든 역설
수학동아
l
2023년 06호
칸토어의 집합론을 폐기할 수밖에 없지요. 이것은 집합론을 토대로 하는 모든 수학적
성과
가 무너짐을 의미했습니다. 이 역설에 가장 큰 타격을 받은 사람은 독일의 수학자이자 논리학자인 고틀로프 프레게였습니다. 당시 프레게는 집합론으로 산술의 기초를 정립하는 일생일대의 연구를 ... ...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 인간은 실수없이 기계와 대화하고 싶어서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배출할 수 있다. 류 교수는 “기후변화에 컴퓨터과학도 책임을 져야한다”며 “지속가능
성과
민주주의가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에 주요 가치로 상정돼야 한다”고 말했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일방 소통’인 까닭에 원하는 것이 있으면 목표에 도달하는 방법까지 고안해 언어에 녹여야 한다. ... ...
[성진우·염민규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배아를 인공자궁에서 키우다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가능했던 거죠. 지금 같은 발전 속도라면 조만간 전 세계가 깜짝 놀랄 만한 연구
성과
가 나올지도 모르겠습니다. 난자, 정자 없이도 인공배아 만들어 2022년 8월, 이스라엘 와이즈만연구소 연구팀은 쥐 줄기세포를 뭉친 후 회전 배양기 등을 이용해 심장이 뛰는 쥐 배아를 만들어냈습니다. doi: 10.1 ... ...
토론 2. 챗GPT, 미래에 든든한 조력자일까? 거짓 정보 확산 역할일까?
수학동아
l
2023년 06호
것만 같은 막연한 두려움이 담긴 기사가 많이 나오죠? 하지만 챗GPT가 어떻게 이런 훌륭한
성과
를 내고 있는지 그 원리를 알면 생각만큼 두렵지 않을 거예요. 챗GPT는 뭘 잘하고, 뭘 못하는지를 제대로 알면 우리가 앞으로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방향을 설정할 수 있거든요. 일단 토론에서도 나온 ... ...
[포토뉴스] 그림자・제트 동시 포착 진짜 블랙홀을 보다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사실을 알아냈다. 또한 이전 관측에서 보지 못한 3.5mm 파장대의 고리구조를 발견하는
성과
를 거뒀다. 박종호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블랙홀이 주변 물질을 어떤 방식으로 흡수하고, 그 과정에서 어떻게 막대한 에너지를 분출시켜 멀리 떨어진 별과 은하의 진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할 ... ...
[과학사 극장] 석주명은 나비 ‘박사'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나이에 목숨을 잃고 말았다. 불의의 사고가 없었다면 해방된 새 나라에서 석주명은 어떤
성과
를 남겼을지, 그가 꿈꾸었던 한국적 생물학이 어떤 모습으로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었을지, 안타까운 마음으로 상상해 볼 뿐이다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