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멸"(으)로 총 51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카시니’의 마지막 비행 음악으로 탄생하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뒤로 토성의 신비를 인류에 전해 왔고, 9월 15일 마지막 임무로 토성 대기권에 진입해 소멸했다. 캐나다 토론토대 이론천체물리학연구소 매트 루소, 댄 타마요 박사후연구원은 토성의 고리들과 주요 위성의 공진 주기를 27옥타브 증가시켜 인간이 귀로 들을 수 있는 범위의 음계로 변환했다. 토성의 ... ...
- [Future] 카멜레온 같은 감성금속으로 말할 것 같으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장치다. 소리에너지가 들어오면 병 내부를 맴돌다가 마찰에 의해 열에너지로 바뀌면서 소멸된다. 실제로 이 원리를 이용해 공연장 내부의 소음과 진동을 흡수하는 무대 음향장치가 있다. 이 센터장은 “헬름홀츠 공진기처럼, 알루미늄 박막에 소리에너지가 맴돌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 소음을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루이스 월퍼트가 한 말입니다. 실제로 수정란의 27%는 배엽형성을 제대로 마치지 못하고 소멸됩니다. 도대체 무슨 과정이기에 이토록 중요한 걸까요.자궁에 착상한 뒤 2주 정도가 지난 인간의 배아를 보면, 이것이 어떻게 머리, 팔, 다리를 고루 갖춘 아기를 만들어낼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생깁니다. ... ...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수많은 씨앗에서 태어나 시간선을 뚫고 만나 얽히고 충돌하는 과정에서 무엇이 태어나고 소멸할지 어떻게 알죠? 영영 모를 거예요. 인간은 언제나 그 과정에서 잡아먹히거나 소외되어 왔으니까요. 그래서 우리가 계속 과거로 달아나는 거죠. 신이 ‘아직’ 도착하지 않은 세계로. 그곳에서 우리가 ... ...
- [Future] 행성 중력 이용해 우주 탐사해 볼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임무를 마친 뒤, 2006년 9월달 남반구 표면 화산분화구인 ‘엑설런스 호수’와 충돌한 뒤 소멸됐다. +더 읽을거리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 ‘보이저 1, 2호, ‘인터스텔라’ 여행길에서 성간구름 만 날 예정’(2017.2)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702N017‘아홉 번 ...
- Part 3, 기후변화 최대 피해지, 북극 스발바르는 지금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최대 빙하기 이후 스발바르 피오르드에서 1000m 이상 두껍게 덮여 있던 빙하가 어떻게 소멸했는지 조사하기 위해서다. 또 홀로세(약 1만1500년 전 이후) 동안 빙하가 후퇴하면서 피오르드 기후환경이 어떻게 변했는지 정밀하게 복원하기 위해 피오르드 해저에서 퇴적물을 시추했다.해저 퇴적물에는 ... ...
- [Origin] 은둔의 물리학자가 발견한 비밀 입자, 마요라나 페르미온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페르미온이라면, 입자와 반입자가 같기 때문에 두 개의 반중성미자는 서로 만나 소멸하게 되고, 베타붕괴는 일어났지만 그 결과로 나와야 할 반중성미자는 관측되지 않는 상황이 벌어진다. 지금까지 여러 연구팀이 중성미자가 없는 이중베타붕괴를 찾고자 했지만 모두 관측하지 못했다. 앞으로 더 ... ...
- Part 6. 특이점 없애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있는 한계 반경이 정해졌기 때문이다. 우리의 시공간을 구성하는 입자들이 특이점으로 소멸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게 된 것이다.이제 비가환 시공간에서는 불확정성 원리가 적용된다. 양자역학에서 위치와 운동량의 개념이 고전적인 영역에서만 정의되듯, ... ...
- Part 1. 우주는 쓰레기 천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부르지요. 당시 사람들은 이 이론을 비웃었어요. 우주쓰레기가 지구 대기권에서 소멸될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실제로 위성들이 우주쓰레기에 의해 훼손되기 시작했고, 이에 여러 나라들은 서둘러서 우주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우주파편 경감 가이드라인’을 만들었답니다 ...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하기 때문에 원은 위상학적으로 일직선과는 구분되는 꼬인 상태다. 이제 우리는 태풍이 소멸되는 데 왜 일주일이나 걸리는지에 대한 ‘위상학적’ 설명을 들었다. 태풍은 꼬여 있는 구조기 때문이다! 놀랍게도 태풍과 같은 이런 구조가, 양자역학이 지배하는 낮은 차원, 낮은 온도 세계의 상전이를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