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습지"(으)로 총 290건 검색되었습니다.
-
- 2014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 서울 숲의 진짜 주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3호
- 대해서도 설명했다.천연기념물 황조롱이를 만나다!서울숲에는 새들이 살 수 있도록 꾸민 습지가 있어. 이 곳을 비롯해 서울숲 곳곳에는 다양한 새들이 살고 있었지. 24시간 동안 조사한 결과 서울숲에는 21종의 새가 사는 것으로 확인됐어. 까치와 참새, 까마귀, 제비, 민물가마우지, 집오리, 왜가리, ... ...
-
- “지하철 9호선 팔 때 주변 흙도 쓸려나갔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그 위에는 모래와 자갈이 퇴적된 충적층이 있다. 특히 잠실·석촌 일대는 한강이 가까운 습지여서 서울의 다른 지역보다 충적층이 두텁다. 충적층은 지하수가 대량으로 유입되거나 비가 많이 오면 흙이 쓸려 내려갈 수 있다. TBM으로 터널을 뚫을 때는 이를 막기 위해 특수 용액을 이용해 주변 지층을 ... ...
-
- [knowledge] 시화호 조력발전소, 환경과 문화까지 살리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전까지 오염이 심했던 곳이라 철새가 찾아 들지 않을 것 같다. 하지만 주변에 조성된 갈대습지공원과 맑아진 수질 덕분에 시화호는 전국적인 철새도래지가 됐다. 지난 3월 환경부가 발표한 ‘주요 철새 도래지 2014년 3차(3월) 동시센서스’ 결과에 따르면, 시화호는 낙동강하구와 용담-대정 해안지역 ... ...
-
- 맹꽁이 VS 두꺼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아빠랑 시골에서 두꺼비를 보았어요. 그런데 아빠께서는 맹꽁이라고 부르시지 뭐예요? 생긴 건 둘이 정말 비슷한데…, 도대체 무엇이 다른가요? 헷갈려요~! 장준영(순천 왕조초 5)맹꽁이개구리목 맹꽁이과의 맹꽁이는 주둥이부터 엉덩이까지 몸 크기가 4~6㎝로 두꺼비보다 작아요. 몸통이 둥글고 ... ...
-
- 장금이는 왜 짚신나물을 빻아 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입술모양을 닮은 꽃을 5~7월에 피운다.6. 부채붓꽃 : 습지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를 약재로 사용한다.7. 하늘말나리 : 말나리처럼 잎이 돌려나면서 꽃이 하늘을 향하고 있어서 하늘말나리라고 부르며, 우산말나리라고도 부른다.8. 터리풀 : 하얀꽃이 풍성하게 모여 핀 ... ...
-
- 그녀는 왜 물탱크를 버렸을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이 미생물이 2차 분해자 역할을 했다. 마지막으로 미생물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해 습지를 조성해 미생물 찌꺼기가 가라앉도록 했다. 실제로 운용해 보니 오염물질의 약 90%가 제거됐다.최 교수가 하수처리에 주목한 것 역시 현지의 분위기를 면밀히 조사한 덕분이다. 에콰도르는 하수처리가 매우 ... ...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자연의 이치인데 거꾸로 앞으로 뽑아 버린다는 소리다. 지난해 싱가포르국립대 연구팀은 습지에 사는 자라가 입으로 오줌을 배출한다는 내용이 담긴 논문을 학술지 ‘실험생물학’에 발표했다. 폐로 숨을 쉬는 자라가 자꾸 머리를 웅덩이에 담그는 모습을 보고 의아하게 생각하다 시작한 연구였다 ... ...
-
- 뻘 속에 든 해를 조금만 더 머물게 해다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국내의 대표적인 사진가와 작가들이 순천만을 방문하고 남긴 사진과 글을 모은 책 ‘습지의 숨.쉼(Breath and Repose of the Wetland),’의사진을 출판사 허락 하에 발췌해 재구성했다. 사진 설명 중 따옴표 안의 구절은 책 본문에서 인용했다. 책에는 기사에서 다루지 못한 아름다운 글과 사진이 더 많다.●1 ... ...
-
- 세계에서 가장 깊은 지하수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알록달록한 세계 지도가 나왔어요. 미국 럿거스대학교 잉 판 레인펠더 교수팀이 만든 지하수 깊이 지도랍니다. 지하수가 깊은 곳에서 흐르는 지역은 ... 잘 발달했다는 점도 확인했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하천에 흐르는 물의 양을 관리하고 습지 생태계를 보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거예요 ... ...
-
- 정크 DNA, 혹시 정말 쓰레기?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먹는 식충식물인 열대통발기바(Utricularia gibba)의 유전체를 분석했다. 열대통발기바는 민물습지에 살면서 주머니로 먹이를 잡아먹는 정교하고 복잡한 식물이다.과학자들은 복잡하고 섬세한 생물일수록 정교한 조절이 중요하며, 유전자나 비번역 DNA가 많을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열대통발기바의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