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물치료"(으)로 총 700건 검색되었습니다.
- "원숭이에게 DNA 백신 시험 중"…코로나19 백신 개발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왼쪽) 제넥신 유전자생산기술연구소에서 연구원이 대장균의 배양 결과를 확인하고 있다. 이 대장균에는 코로나19 백신을 만들기 위한 바이러스 항원 유전자가 삽입돼 있다. (오른쪽) 연구원이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해 바이러스 항원 유전자가 포함된 플라스미드를 정제하고 ... ...
- 코로나19의 창, 치료제...항바이러스제가 끌고 항체치료제가 쫓고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코로나19 대유행이 장기화되면서 전문가들은 백신과 더불어 치료제 개발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백신이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는 방패라면, 치료제는 코로나19에 감염된 환자들의 몸속 바이러스를 퇴치하는 창이다. 전문가들은 치료제 개발 기간이 일반적으로 백신 개발 기간보다는 짧 ... ...
- [기초과학의 힘] 복제 스트레스 높여 암세포 먼저 죽인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일반적인 세포 분열은 DNA가 복제되면서 두 개의 핵이 만들어지는 핵분열부터 일어난다. 이어서 세포막이 둘로 쪼개지며 세포 분열이 끝난다. 핵분열에서 DNA 복제에 걸리는 시간은 8시간. 8시간 안에 DNA를 정확히 두 배로 복제해야 한다. 오류도 최소화해야 한다. 오류는 곧 돌연변이의 탄생을 의미 ... ...
- 신종 전염병, 장기전에 대비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백신은 언제쯤 개발될지 궁금한 사람 많지? 아쉽게도 짧아야 1년은 걸린다고 해. 그때쯤이면 코로나19 확산 사태가 잠잠해질지도 모르지만, 과학자들은 백신 개발을 서두르고 있어. 장기적인 대비를 위해서라는데, 한번 들어봐!예방 백신 개발, 속도를 높여라! 유전체염기서열을 알면 백신도 만들 ... ...
- 신문에 이런 기사가? 만우절 ‘뻥’ 같은 진짜 기술 3과학동아 l2020년 04호
- 극복하는 방법을 훈련하도록 돕는다. 이런 면에서는 약효가 지속되는 동안만 유효한 약물치료보다는 VR 치료가 좀 더 근본적인 치료법으로 여겨진다.김 교수는 “VR 치료는 HMD(Head Mounted Display) 같은 머리에 착용하는 장비만 있으면 병원에 오지 않고 집에서도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것이 장점”이라며 ... ...
- 10대 토론, 미성년자 동물 해부실습 찬반과학동아 l2020년 04호
- ◇ 안어려워요 | 동물 해부실습 금지 미성년자의 동물 해부실습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는 내용을 담은 동물보호법 시행규칙 개정안(제24조의2)이 3월 21일부터 시행됩니다. 이에 따라 19세 미만 미성년자는 체험, 교육, 시험, 연구 목적으로 동물체를 갈라서 내부구조를 자세히 조사하는 동물 해부실습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뉴바이올리지전공, 잘 고른 항체로 새로운 항암제 만든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 꽤어려워요 | 융복합 파트너@DGIST 실험실에 들어서자 얼음이 가득 담긴 스티로폼 상자를 든 연구원들이 분주히 움직이고 있었다. 스티로폼 상자에는 냉장고에서 막 꺼낸 플라스크가 담겨 있었다. 플라스크에 든 것은 항체. 온도를 영하로 유지해야 항체 활성이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항체를 0.1 ... ...
- 실험꾼이 '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흰쥐’ 하면 실험 쥐가 딱 떠오르쥐? 그래서 연구소에 있는 우리 친구들을 가장 먼저 소개할게. 쥐가 왜 이곳에서 활약하게 된 건지 그 이유를 알려 주겠어! 쥐도 족보가 있다?!농림축산검역본부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선 매년 300만 마리의 쥐가 실험대에 올라요. 왜 동물실험엔 사람과 계통이 더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오가노이드, 미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안녕! 어과동의 귀염둥이 과학마녀 일리야. 새해에도 어김없이 어린이과학동아 과학 기사를 재밌게 보고 있는데, 생소한 단어를 발견했어. 바로 ‘오가노이드’! 도대체 오가노이드가 뭐지?오가노이드(Organoid)오가노이드는 ‘장기’를 뜻하는 영단어 ‘organ’에 ‘유사하다’라는 의미의 접미사 ‘ ... ...
- [신년기획]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과학동아 l2020년 01호
- 2019년 11월 28일 중국 네이멍구에서 네 번째 흑사병 확진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흑사병은 1347년 유럽에서 창궐해 14세기 유럽 인구의 30%를 앗아간 무서운 병입니다. 당시 최소 7500만 명이 사망하며 인류 역사상 최악의 전염병으로 기록됐죠. 이에 네이멍구 보건당국은 대대적인 쥐 퇴치작업을 펼쳤습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