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염색체"(으)로 총 717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현재 그에 대한 실험 데이터를 확인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단일염기다형성은 염색체 일부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염기서열로, 사람마다 고유한 패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진수 단장 역시 “처녀생식이 아니라는 증거를 곧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논란3: ‘삭제’를 ...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뒤, 비정상적인 행동을 하는 돌연변이 초파리를 찾아내 행동을 변화시킨 돌연변이 염색체와 유전자 부위를 밝혀내는 방법이다. 실험 결과, 특정 유전자 하나의 기능이 마비된 돌연변이 초파리가 정상 초파리와는 매우 다른 행동 양상을 나타내는 현상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벤저 교수가 결국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머리, 목, 가슴, 꼬리 부분의 구조를 만들어내는 기능을 한다는 뜻입니다(아래 그림). 염색체 상의 유전자 위치와 머리-꼬리 축에서 기능을 할 위치가 서로 대응된다는 것이죠. 혹스 유전자는 초파리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닙니다.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의 배아 발달에도 혹스 유전자가 큰 역할을 ... ...
- [과학뉴스] 여성 바이킹 전사, DNA로 존재 첫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때문이다. 연구팀은 골격에서 DNA를 추출해 분석했다. 그 결과 Y염색체가 없고 두 개의 X염색체만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헤든스티에나존슨 교수는 “무덤에서 전쟁 전략을 짜는 데 쓰는 지도판과 작은 조각들이 완전한 세트로 발견됐다”며 “이는 무덤 주인이 군 지도자였다는 증거”라고 ... ...
- [Origin] 남자 청소년 열에 아홉은 근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연구의 한계를 스스로 인정했다. 현재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근시를 유발하는 유전자는 염색체 상에 약 100개 이상의 영역에 분산돼 있다. 이성진 순천향대 의대 안과 교수는 “밝혀진 근시 유전자는 대부분 고도 근시 가족을 연구해 알아낸 특정 유전자”라며 “이런 유전자들을 전체적으로 조종하는 ... ...
- Part 2. [디저트] 신선한 인공 우유와 인공 달걀로 만든 달콤한 쿠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효모는 빵이나 맥주를 만드는 데 이용되는 유용한 미생물이에요.연구팀은 효모의 염색체에 우유 단백질 유전자를 함께 넣었어요. 우유 단백질은 ‘카세인’이 80%, ‘훼이’가 20%를 차지해요. 이 두 단백질 유전자를 갖게 된 효모는 ‘발효’ 과정에서 우유 단백질을 만든답니다. 이 단백질에 식물성 ... ...
- Part 3. DNA로 몽타주를 그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동남아시아 인을 분류할 때는 72.16%로 가장 낮았습니다. 이 교수는 “후속 연구로 상염색체 STR이나 미토콘드리아 DNA를 이용해 민족을 구분하는 예측력을 높여가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습니다.최근에는 놀랍게도 얼굴의 생김새까지도 추정할 수 있는데요. 네덜란드 로테르담에 위치한 에라스무스대 ... ...
- Part 2. 유전자 조각 맞추기 퍼즐수학동아 l2017년 08호
- 것을 합성해 재구성합니다.모든 염색체가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혈액형은 염색체 A, B, O형의 염기서열이 각각 필요한 게 아닙니다. 정확한 O형의 염기서열 하나만 제시하면, 이것으로 다른 사람이 A형인지 B형인지를 비교해 판단할 수 있습니다. 물론 매우 적은 확률로 등장하는 희귀한 ... ...
- [과학뉴스] 자동차 배기가스에 어린이 DNA 손상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직업환경의학’ 5월호에 게재했다.텔로미어는 세포핵 속 염색체 말단에 있는 유전자로, 길이가 짧아지면 세포의 분화 능력을 약화시켜서 사멸되게 한다. 최근 교통수단에 의한 대기오염이 성인의 텔로미어 유전자 길이를 짧아지게 만든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는 등 ... ...
- Intro. 불임과 피임의 미싱링크 남성 생식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왜?”지금까지 불임과 피임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는 이런 게 아니었을까. 정자와 난자가 염색체를 절반씩 내놓아 아기를 만드는 것임에도, 지금껏 생식은 난자, 즉 여성의 일로만 여겨져 왔다. 그 결과, 여성의 생식 과학은 비약적으로 발전한 데 비해 남성의 생식 과학은 상대적으로 수수께끼가 더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