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으)로 총 481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김치와 태권도를 사랑한 개럿 레이즈먼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버스터를 만난 김에 태권도는 재밌느냐고 물었더니, 이제 파란 띠라며 자랑하는 모습이 영락없는 여덟 살 꼬마였다. 10대의 나를 만나면 가장 하고픈 말“버스터가 만약 우주인이 되고 싶다고 하면 기분이 어떨 것 같아?” 문득 궁금해졌다. 버스터는 실제로 개럿에게 가끔 우주인이 되고 싶다는 ... ...
- [식물 속 동물 찾기] 한겨울에도 푸릇푸릇 노루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전해줘 건조한 조건에서도 잘 자라게 돕지요. 대신 노루발은 광합성으로 얻은 영양분을 곰팡이에게 줘요. 이런 공생 관계 덕분에 노루발은 곰팡이가 살기 좋은 비교적 건조하고 밝은 숲속에서 자주 보인답니다. (*팡이실 : 버섯과 같은 진균류의 몸체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실처럼 생겼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작은 공들의 세상 속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실험 장치로, 진공 상태에서 이온 트랩에 전기를 흘리면 전극 사이에 만들어진 전기장의 영향으로 원자가 거의 움직이지 않아요. 하지만 이렇게 원자를 정지시켜도 크기가 워낙 작기 때문에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카메라에 담을 수 없답니다.이에 내드링거 연구원은 스트론튬 원자에 레이저를 ... ...
- [매스미디어] 수학 잘하는 법수학동아 l2018년 12호
- ‘합이 영’이라고 생각하시더라고요. 그게 더 멋있는 것 같아서 원래 ‘합이 영’이었던 걸로 하려고요, 하하. 수학동아 : 마지막으로, 작가님에게 수학의 매력이란? 수학은 가장 오해의 소지가 없는 언어이자 학문이라고 생각해요. 경제학은 권위에 의지하는 면이 조금 있는데 수학은 권위나 ...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2] 왜 대학은 독서를 중요하게 생각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다채로운 삶을 경험하기를 기원한다. 이 글을 읽고 있는 학부모들에게는 자녀가 국어·영어·수학을 공부하는 시간의 반이라도 독서하는 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힘써주시기를 당부 드린다. 독서와 관련한 서울대의 답변을 통해 마지막 인사를 갈음하고자 한다. “어떤 분야의 책이든지 읽고 또 ... ...
- [에디터노트] KSC의 품격과학동아 l2018년 11호
- 2017년 5월 20일 오전 7시,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 국제공항. 서쪽 끝 로스앤젤레스에서 밤비행기를 타고 5시간을 날아왔다. 비행기에서 쪽잠을 잔 뒤라 몸은 천근만근 ... 압도적인 비주얼로 천장에 매달린 새턴 로켓은 과거의 유물이 아니라 도전을 향 한 ‘영감’의 정수이자 상징이다 ... ...
- 빛의 속력으로 정의한 ‘완벽한 단위’ 미터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각 점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사실에 기반한 측량법이다. 거리를 알고자 하는 두 점 사이의 영역을 여러 개의 삼각형으로 분할하고, 이 삼각형들의 각도를 측정해 거리를 알아낼 수 있다. 들랑브르와 메솅은 각각 북쪽과 남쪽의 11.8 km, 11.7 km 길이의 기준선을 측정한 뒤, 수많은 삼각형의 각도를 재 ... ...
- [Culture] 과학으로 들여다본 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에릭 에릭슨이 개발한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에 따르면 인간의 삶은 나이에 따라 영아기, 유아기, 학령전기, 학령기, 청소년기, 청년기, 중년기, 노년기 등 총 8단계로 나눌 수 있다. 인간은 단계마다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면서 자신의 정신세계를 확립한다. 이때 단계별 과제에 대한 적절한 답을 ... ...
- 당신의 콧구멍이 ‘그 모양’인 이유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분석 방법. 연구를 이끈 아슬란 자이디는 “우리 연구는 일부 코 모양이 기후의 영향을 받았음을 뒷받침한다”며, “그러나 진화는 매우 복합적인 과정이므로 한 가지 이유로 코의 생김새가 결정됐다고 말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어요. 자이디의 말처럼, 이 결과 하나로 ‘콧구멍 모양은 기후에 ... ...
- Part 3. 방귀, 방심하면 놀란다! 소노란 산호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소노란 산호뱀이 적을 위협하기 위해서 방귀를 뀌는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지요. 영 교수는 “모든 뱀이 같은 신체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아마 소노란 산호뱀처럼 인위적으로 방귀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 세상에서 가장 다정한 방귀 가짜 방귀 대회 마지막 참가자는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