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민"(으)로 총 455건 검색되었습니다.
- info. 파랑을 나타내는 키워드 7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민감하게 구분한다. 하지만 명암을 구별하는 간상세포는 파란색 파장의 빛에 훨씬 더 예민하다. 그래서 어두컴컴한 곳에서는 파란색 계통인 사물을 알아보기가 더 쉽다. 즉 어둡고 음침한 곳에서는 파란빛이 서린 것처럼 느껴지는 것이다.16진법★으로 나타낸 RGB 색상코드 #0000FF빛의 삼원색인 빨강(R ... ...
- [Tech & Fun]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www.jstor.org/stable/25758086).하지만 사람의 후각이 여름에 더 예민해질 리도 없고, 왜 유독 여름에만 지오스민 냄새가 강하게 나는 걸까. 이유는 비와 관련이 있다. 정영수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기계공학과 연구원은 빗방울이 지표면에 닿는 순간 에어로졸이 발생하기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도덕적 상상력 또한 필요하다. 무조건적인 제한이나 금지보다, 가능한 파괴적 결과를 예민하게 고민하면서 창조적인 방식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지를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체 플랫폼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 ...
- [가상인터뷰] 물고기는 지느러미로 바닥을 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물고기 로봇을 만들어 물속을 탐사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어요. 하지만 로봇은 예민한 촉각을 가지고 있지 못해 실제 물고기처럼 물속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지요. 멜리나 해일 교수는 물고기의 촉감에 대한 연구를 응용하면 물고기 로봇의 성능을 높일 수 있을 거라고 예상하고 있어요.저는 ... ...
- [특별 인터뷰] 부지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지독했어요. 꿀벌은 모습을 찾기가 생각보다 쉽지 않았어요. 또 귀뚜라미들은 얼마나 예민한지 조금만 다가가도 울음을 멈추니, 숨죽이며 기다려야 하는 인내심이 많이 필요했지요.그래서 올해는 모기에 조금 물리는 방법을 지금부터 연구 중이에요.전 귀화식물을 탐사할 때 많이 걸어야 해서 ... ...
- [News & Issue] 아름답고 섬뜩한, 체르노빌의 곤충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오염 공포에 대해 한국은 양극화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점점 관심을 접거나 갈수록 예민해진다. 이런 분위기를 작가에게 전했다. 그의 조언은 현실적이었다. “한국 사람들이 일본의 방사능 오염을 두려워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정부나 기관이 발표하는 수치를 믿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런 ... ...
- [News & Issue] 자연닮은 생체모방무예, 쿵후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그러면 먹잇감이 이미 다 도망가고 없겠죠. 호랑이는 냄새보다는 시각과 청각을 예민하게 사용하며, 먹잇감을 잡을 수 있다는 확신이 들기 전에는 아무 소리내지 않고 몸을 숨겨서 다가갑니다. 몸을 숨기는 데 호랑이의 줄무늬도 한 몫 거들죠. 먹잇감이 사정거리 안에 들어왔을 땐 순식간에 앞발로 ... ...
- [Knowledge] 고양이는 오늘도 당신을 사냥할 꿈을 꾼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기준에 따라 점수를 매겼다. 그 결과 집고양이는 지배하기 좋아하고 충동적이며, 신경이 예민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비교대상이 된 다른 대형 동물들과 비슷했다. 특히 아프리카 사자와 성격이 상당히 유사한 것으로 분석됐다.그래서일까. 인간과 함께 살고 있는 고양이에서 발견되는 야생성 중 ... ...
- 제9회 향수옥천 포도·복숭아 축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해로운 물질은 아니에요. 그런데 면역체계가 이들을 해로운 것으로 인식해, 지나치게 예민한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바로 알레르기예요.알레르기는 특별한 치료 방법이 없고, 원인이 되는 식품을 피하는 것이 유일한 치료 방법이에요. 그러니 복숭아 알레르기가 있는 친구라면 아무리 맛있는 ... ...
- Part3. ‘살아남은 자’의 슬픔, 뇌를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정상적으로 활성화돼야 할 뇌 부위가 활성화되지 않으면서 다른 부위(편도체)가 극도로 예민해져 감정이 왜곡될 수 있다는 것이다.마지막은 뇌에서 기억과 함께 스트레스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해마다. 미국 재향군인병원연구소 마크 길버트슨 박사팀은 강한 스트레스가 지속될 경우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