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차"(으)로 총 80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광학 집게로 원자 집어 시간 알려주는 ‘집게 시계’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에너지를 얻으며 40초 이상 균일한 주파수로 진동했다. 스트론튬 원자들의 진동수는 오차가 190경분의 1초 수준으로 매우 적었다. 진동수가 균일할수록 원자시계의 안정성이 높다. 연구에 참여한 준 예 JILA 상임연구원은 “수백 개 원자의 움직임을 일치시킬 수 있는 기술은 원자시계뿐만 아니라, ... ...
- 태양계 비밀 품은 50억km의 비행, 하야부사2의 귀환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상공 진입 뒤 6개월 남짓 지난 2019년 2월, 하야부사2가 류구에 내려앉았다. 목표한 지점과 오차 60㎝의 정밀도로 착륙한 뒤 소행성 파편을 채집했다. 그리고 다시 날아올랐다. 이 일련의 과정이 아주 잠깐 사이에 벌어지기 때문에 착륙이라기보다는 ‘잠깐 찍었다’라는 뜻에서 흔히 터치다운이라고 ... ...
- [기획] 2장. 키블 저울, 어떻게 질량을 측정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위해 만들어진 특수 저울이에요. 같은 킬로그램 원기를 여러 번 측정하고, 이 측정값들의 오차를 줄이는 것이 연구팀이 하는 일이죠.연구팀은 우선 키블 저울 밑에 원기를 매달고, 중심에 있는 원형 코일과 두 자석으로 전자기력을 만들어 원기를 위로 당겨요. 코일에 전류를 흘려주면, 자석이 만드는 ... ...
- [헥!헥! 핵물리학자] 흡사 입자 탐정 수사극? ‘검출기’ 속 입자의 흔적을 추적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물질과 상호작용을 하면 경로가 조금씩 바뀌며 휜 정도가 달라져 운동량을 계산할 때 오차가 생길 수 있거든요. 입자의 경로를 알아내는 데 필요한 만큼만 상호작용을 하도록 검출기를 만들어야 해요.최근에 CERN에 설치된 검출기에는 50~300μm* 두께로 매우 얇게 만든 실리콘 센서가 겹겹이 쌓여 ... ...
- [기획] 1장. 초정밀 ‘키블 저울’ 찾아 지하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기계예요. 1975년, 영국의 물리학자인 브라이언 키블이 발명했지요. 이곳의 키블 저울은 오차가 1000만 분의 1kg 정도로 정밀해요. 어느 정도인지 감이 잡히지 않는다고요? 0.0000001kg, 즉 100㎍*까지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요. 머리카락 한 올이 0.002g 정도라 치면, 머리카락 무게의 1/20까지 측정할 수 있는 ... ...
- [별헤는수학] 우리가 그린 나선이 블랙홀 연구를 돕는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피치 각이 50°가 넘는 경우에는 사람이 그린 나선에서 계산한 피치 각과 실제 사이의 오차가 커졌습니다. 다만 50° 이상은 각도가 너무 커서 블랙홀 질량 연구에 큰 의미가 없습니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왕립천문학회 월간보고’ 2020년 2월 12일자에 발표했습니다.나선팔의 각도로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드디어 발사 성공! 새로운 시작을 열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정확히 일치했다. 로켓 엔진이 내는 총에너지의 합인 ‘총역적’은 예상치와 단 0.06%의 오차를 보였으며, 총역적을 추진제 중량으로 나눈 값인 ‘비추력’도 예측과 같았다. 2단 로켓 엔진인 킥모터가 정확하게 작동했다는 증거였다. 또한 로켓 엔진에 들어가는 점화기의 압력도 지상시험과 1차 ... ...
- [기획] 놓치고 가면 섭섭한 2020 수학 이슈수학동아 l2020년 12호
- 행렬로 근사해서 나타낼 수 있다는 겁니다. 임베딩 추측에서는 행렬의 차원이 클수록 오차가 작아진다고 봅니다. 무한차원 행렬을 10x10 행렬로 나타낸 것보다는 20x20 행렬로 나타낸 게 더 정확하다는 거죠. 하지만 연구팀에 따르면 무한차원 행렬을 유한차원으로 나타낼 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 ...
- 지구 어디서든 인터넷이?! 수만 대 스타링크 위성 군단 뜬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관측해 궤도를 알아내야 하는데 그 정밀도가 떨어져 1~2일 후의 위치 예측도 수km의 오차가 난다. 저궤도 인공우주물체 1만 4000여 개 중 이런 물체만 1만여 개에 이른다.최 책임연구원은 “이 물체들의 정확한 위치를 알아내는 기술 개발이 선행돼야 할 것”이라며 “현재 계획된 군집위성들 때문에 ... ...
- 지구 떠난 지 8개월 천리안 2B호가 보낸 영상 편지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있어야 할 위치 데이터와 비교해 탑재체가 인식하고 있는 각도와 실제 바라보는 각도의 오차를 추정했다.그 다음 지구로 고개를 돌려 지상과 바다를 촬영했다. 해양탑재체의 경우 촬영한 해안선과 실제 해안선의 위치를 비교해 최종 기하보정이 이뤄진다. 목표 지역을 12구역으로 나눠 찍는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