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완전"(으)로 총 2,046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노키즈존, 헬린이, 잼민이? 어린이는 지금도 차별받는 중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지난 2020년, 국제아동인권센터는 ‘○린이’라는 표현에 “‘어린이는 미숙하거나 불완전한 존재’라는 생각이 반영되어 있을지 모른다”라고 지적했습니다. SNS에서 쓰이는 ‘잼민이’라는 표현도 차별적이에요. 남자 어린이의 목소리로 문장을 읽어주는 TTS인 ‘재민이’에서 비롯한 잼민이에는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허공에 ‘홀로그램’을 띄워 조작하는 장면이 자주 등장해요. 홀로그램은 그리스어로 ‘완전한’을 뜻하는 ‘Holos’와 ‘정보’라는 뜻의 ‘Gramma’가 합쳐진 말이에요. 사물의 형상이 실제 눈앞에 있는 것처럼 입체감 있게 보이는 이미지를 의미합니다. 이는 두 개의 빛이 만나 겹치면서 진폭이 ... ...
- 주목! 한국 수학계를 이끌 차세대 수학자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오 교수는 2014년 전하나 스핀을 가진 구형 블랙홀의 불완전성을 ‘양-밀스 방정식’으로 증명해 수학계 주목을 받았습니다. 양-밀스 방정식은 시간에 따라 유한 속도로 퍼져나가는 비선형 방정식 중 하나예요. 이 연구로 오 교수는 최연소로 2016년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 만 ... ...
- 소수의 비밀에 다가가는 연구로 성과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증명한 거지요. 필자는 이 업적을 1900년 이후 최고의 수학 업적인 쿠르트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 피에르 들리뉴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교수의 ‘부분 리만 가설’ 증명, 앤드루 와일스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의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 러시아 수학자 그레고리 페렐만의 ‘푸앵카레의 ... ...
- [특집] 블록체인, 불평등을 불러온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이를 검증한다면 누구도 사기를 칠 수가 없다. 승자독식 시스템이 불러온 역설이 완전무결해 보이는 시스템에는 두 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 암호화폐를 생성하는 해시연산 단계에서 네트워크에 연결된 수많은 노드들이 협력하는 것이 아니라 경쟁한다는 것이다. 가장 먼저 연산에 성공한 노드가 ... ...
- [인터뷰] "저 수학 좀 했어요!" 코미디언 황제성수학동아 l2022년 07호
- 이 기자 긴장마세요~. 큰 무대에서도 공연하시잖아요!황제성 휴, 저 MBTI 유형이 INTP예요. 완전 내향적!이 기자 의외네요. 엄청 활발해 보이시는데그런데 제가 듣기론 학창시절에 수학과 물리를 잘하는 이과생이었다고요?황제성 맞아요. 명확한 답이 나오는 걸 좋아했거든요. 또 수학에선 어떤 내용을 ...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7장. 컴퓨터의 탄생수학동아 l2022년 07호
- 훗날 컴퓨터 공학 및 정보공학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인물이지요. 튜링은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에 깊은 감명을 받고, 어떻게 하면 괴델의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힐베르트의 두 번째 목표 또한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일 수 있을지 궁리했어요. 이윽고 1936년 튜링은 수학의 결정 가능성마저 ... ...
- [수학자와 함께 마인크래프트] #네더월드 정복하기 1. 차원문 넘어 네더 요새로!수학동아 l2022년 07호
- 직사각형의 네더 차원문을 만들기 위해 흑요석이 몇 개가 필요한지 계산해 볼까요?먼저 완전 사각형은 (xy로 (2x + 2y + 4)개의 흑요석이 필요해요. 간단 사각형은 이 식에서 모퉁이 부분 4개를 빼야 하므로 (2x + 2y)개가 필요하지요.네더 차원문의 직사각형 크기는 최소최대이에요. 그러니 흑요석을 가장 ... ...
- [특집] 코인, 어떤 게 살아남을까과학동아 l2022년 07호
- 하지만 전체 네트워크에서 합의를 끌어내지 않고 21명의 대표 노드만 선출한다는 점에서 완전한 탈중앙화를 이뤘다고 보긴 어렵다. 이더리움도 1초에 20~30건의 거래만 처리할 수 있어서 확장성 문제를 안고 있다. 이에 이더리움 개발자들은 개선판인 ‘이더리움 2.0’을 올해 하반기에 내놓을 ... ...
- [이달의 식물사연] 검은 박쥐를 닮은 타카 칸트리에리과학동아 l2022년 07호
- 꽃 부분은 우리 눈에 검은색으로 보이지만, 엄밀히 말하면 매우 짙은 보라색이다. 사실 완전한 검은색을 지닌 꽃은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빨강, 보라, 파랑 등 여러 종류의 안토시아닌 색소가 고농도로 함유돼 있는 경우 이렇게 검은빛이 나타나게 된다. 그래서 새로운 식물 품종을 육종할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