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통"(으)로 총 51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韓 가속기 굴기 ‘ 입자 공장’ 라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SCL2’다 SCL3에서는 희귀동위원소와 안정동위원소를 이용한 실험이 모두 가능하다. 원통형 소형 가속기인 사이클로트론과 ISOL로 생성한 희귀동위원소를 가속시키거나, ECR 이온원에서 안정동위원소를 얻어 가속시키면 된다. 총 길이 95.5m인 SCL3은 가속관 125개를 이은 것이다. 가속관을 따라 운동을 ... ...
- 어느 수학자의 하루 - 커피, 맥주, 거품, 소음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모양에 따라 음료가 얼마나 흘러 넘치는지를 실험했다. 그 결과 4Hz★의 진동을 줬을 때, 원통형 머그잔에서는 액체가 밖으로 튀고 쏟아지며 난리가 났다. 그러나 똑같은 진동을 줘도 와인잔에서는 표면에 잔잔한 물결만 생기고 액체가 넘치지 않았다. 또 컵의 윗부분을 잡았을 때와 뒤로 걸을 때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미생물을 말해요. 맨눈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매우 작지만, 막대 모양, 공 모양, 원통 모양 등 형태와 종류가 다양하지요. 양분을 먹고 유기물을 만드는 능력을 갖고 있어서 혼자서도 살 수 있답니다.박테리아는 자연이나 다른 생물의 몸 등 지구 곳곳에 살며 음식을 발효시키거나 상하게 할 수 ... ...
- Part 2. [착각의 방] 우리가 아는 건 가짜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아무리 애를 써도 나타내는 게 불가능 해. 결국 어쩔 수 없이 원통의 한쪽 끝을 원통 속으로 밀어 넣은 거야. 자기 몸을 관통하도록 말이야. 따라서 3차원에서 만나는 클라인 병은 진짜가 아닌 거지. 클라인 병이 어떤 모양인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만든 모형이라고 할 수 있어. 클라인 병을 ... ...
- [과학동아 X KRISS] 130년 만에 플랑크 상수로 다시 태어나는 킬로그램(kg)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에서 1 L인 물의 질량’ 을 1 kg이라고 정의하고 1889년 백금 90%와 이리듐 10%의 합금으로 원통형 1 kg 원기를 제작했다. 이것을 형제인 6개의 복사본과 함께 프랑스 국제도량형국(BIPM) 지하의 비밀 금고에 소중히 보관해왔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1950년, 1992년, 2014년 kg 원기를 금고에서 꺼낼 때마다 ... ...
- Part 1. [롤러코스터] 4차원 뫼비우스 띠?!수학동아 l2018년 05호
- 4차원에 살아요. 1882년 독일 수학자 펠릭스 클라인이 발견했어요. 뫼비우스 띠가 원통형 띠를 꼰 거라면 클라인 병은 도넛 모양의 원환면을 비튼 거예요. 그런데 위상수학자는 3차원의 뫼비우스 띠와 4차원의 클라인 병을 모두 ‘2차원 다양체’라고 불러요. 어느 지점에서 주변을 봐도 면으로 ... ...
- [Origin] 계란의 ‘슈퍼 파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5일자에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이 계란 흰자로 만든 겔은 얼마나 강력했는지, 지름 9mm의 원통 모양으로 만든 뒤 그 위에 질량이 224kg인 물체를 올려놓아도 으깨지지 않았습니다. 모양만 조금 변하는 수준에 그쳤죠. 조금 더 전문적으로 표현하자면, 이는 1cm2 면적에 질량이 약 352kg인 물체가 누르는 ... ...
- [이투스교육] 지각과 생명체를 구성하는 물질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탄소원자가 한 층으로 배열된 그물 형태를 말한다. 그래핀을 둥글게 말면 풀러렌이 되고, 원통 모양으로 말면 탄소나노튜브가 된다. 그래핀은 구리보다 100배 이상 전기가 잘 통하고 실리콘보다 100배 이상 전자 이동 속도가 빠르다. 강도는 강철보다 200배 이상 강하다. 또 신축성이 좋아 본래 ... ...
- [Issue] 내 잉크가 너의 숨을 쉬게 하리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방법을 떠올렸다. 배기가스가 배출될 때 정전기를 발생시켜 가스 입자를 끌어당기는 원통형 장치인 ‘카알링크(Kaalink)’가 그 결과물이다. 카알링크를 디젤 자동차의 배기구에 끼우면 배기가스를 가루 상태로 포집할 수 있다. 특히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 알려진 지름 2.5μm(PM 2.5) 이하인 초미세먼지도 ... ...
- Part 4. 빙하를 보존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아래까지 빙하를 파고 들어가서 시료를 채취해요. 이렇게 기계를 이용해 지름 10cm의 원통형으로 뚫은 빙하 시료를 ‘빙하 코어’라고 해요. 인하대학교 해양학과 홍성민 교수는 “빙하 코어를 이용하면 1년 단위의 변화를 알 수 있을 정도로 아주 자세한 연구가 가능하다”고 말했답니다. 전세계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