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리
법칙
사리
섭리
질서
천리
천상
d라이브러리
"
이치
"(으)로 총 213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늘에서 내리는 생명수 ‘빗물’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이야기 속에 훌륭히 녹여냈다.경이로운 꿀벌의 세계위르겐 타우츠 지음 | 유영미 옮김 |
이치
사이언스334쪽 | 1만 5000원대학에서 꿀벌의 생물학을 연구하는 저자는 꿀벌에 대한 지식을 대중에게 전달하는 데 노력해 왔다. 이 책은 그런 그의 노력을 집대성한 책으로, 지난 10년간 연구결과를 토대로 ... ...
동물원의 열혈 엄마, 사육사 배경구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관리에도 각별히 신경 썼다. 어미가 잘 먹어야 새끼를 튼튼하게 기를 수 있다는 기본
이치
를 배 사육사는 한 시도 잊지 않았다.“새끼를 갖게 되면 아무래도 더 많은 먹이를 원하기 마련이죠. 소고기, 닭고기도 많이 줬지만 미어캣이 특히 좋아하는 손가락만한 벌레인 ‘밀웜’이 떨어지지 않도록 ... ...
우리 몸 작동법-생화학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통해 유기물로 고정된다. ⓐ식물의 광합성과 ⓑ동물의 호흡 사이에는 자연의 오묘한
이치
가 개입돼 있다.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유기물을 만들고 이산화탄소를 소비하는 대신 산소를 내보낸다. 발생한 산소는 공기 중으로 섞여 나가고 동물들은 이를 흡수해 섭취한 유기물을 산화시켜 에너지를 ... ...
사이버 마약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저산소증에 의한 증세를 두고 ‘마약을 복용했다’라고 말하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
”라고 말했다. 하 교수는 “정신적인 변화가 지속되는지도 아직 증명된 바 없다”고 지적했다.‘마약의 일상화’ 경계해야사이버 마약을 아이도저의 상술로 보는 시각이 제기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설사 어떤 ... ...
인류와 문화 속에 깃든 수학의 아름다움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만드는 ‘비밀’이 책 속에 펼쳐진다.하늘은 왜 푸를까?괴츠 횝페 지음 | 장경애 옮김 |
이치
| 416쪽 | 1만 8000원먼 옛날부터 사람들은 하늘이 왜 푸른지 궁금하게 생각했다.시대를 막론하고 사람들은 하늘의 아름다움에 사로잡혔고 하늘의 신비로움에 대해 생각했다. 그리고 하늘의 막강한 위력 ... ...
이 시대의 교양인을 위한 생생 물리학 강의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우주로 가는 별자리 지도에크하르트 슬라빅·우베 라이허르트 지음 | 이광원 옮김 |
이치
| 212쪽 | 3만 5000원전체 하늘을 고해상도 컬러사진으로 옮긴 하늘지도로 북반구와 남반구 별자리 88개 전부를 책에 담았다. 별들의 밝기 차이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치 밤하늘을 옮겨 놓은 듯 ... ...
19세기 과학혁명의 출발점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의해 선택되는 원리는 우수한 딸기 품종이 원예인의 손길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이치
라고 설명했다. 1839년 맬서스의 ‘인구론’ 읽고 ‘자연선택’ 떠올려그렇다면 ‘종의 기원’은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까. 서문에서 다윈은 1831년부터 1836년까지 20대에 해도(海圖)를 작성하는 영국군함 ... ...
비글호 2008 진화섬으로 떠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1호
과정을 거꾸로 거슬러 갈 수 없어. 한번 퇴화된 기관이 다시 퇴화 전 모습으로 되지 않는
이치
와 같지.진화는 하나의 과정이야. 현재 우리와 함께 살고 있는 생물들이 몇만 년 뒤에는 현재와 아주 다른 모습이 되어 있을 수도 있어. 자연환경이 끊임없이 변함에 따라 환경에 적합한 생물이 살아남아 ... ...
인문학 소양 뛰어난 과학인재 양성의 명문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최종 목표가 거경궁리(居敬窮理)다. 거경은 몸과 마음을 바르게 갖고, 궁리는 사물의
이치
를 탐구해 정확한 지식을 얻음을 뜻한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학교는 공부 외에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월 1회 열리는 ‘아카데미 교실’이다. 조춘현 교장은 ‘아카데미 ... ...
‘물리학의 산’같이 넘어 보실래요?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시작이 반’이라는 사실도 그는 너무 잘 안다. “어려운 물리를 가장 간단하게, 그
이치
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고 한다. 그와 함께 ‘물리학의 산’을 한 고개씩 넘는 재미를 느껴보는 것은 어떨까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