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저장"(으)로 총 2,710건 검색되었습니다.
- [Space Math] 우주시대 앞당기는 기술 적층제조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에너지 사용의 필요성이 높아지며, 태양 에너지로 물을 전기 분해해 수소를 생산(저장)하고 수소 연료전지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이 기술을 우주에서도 활용하려면 수소 연료전지의 연료로 쓰이는 수소의 공급 효율을 높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용되지 않고 그냥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클라우드 서비스 슬기롭게 활용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장기간 로그인을 하지 않거나 이용하지 않는 경우 계정이 삭제되고 자동으로 클라우드에 저장한 데이터를 삭제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어요. 따라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때는 각 회사마다 다른 약관을 잘 읽어보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아요.지금까지 클라우드 서비스의 원리와 다양한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풍성한 소리를 끊김 없이! 고무장갑 백파이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수밖에 없어요. 하지만 백파이프는 연주자가 공기를 불어넣지 않을 때에도 주머니에 저장된 공기가 관을 통해 밖으로 빠져나가며 소리를 냅니다. 연주자는 이 틈에 숨을 들이마시고 주머니에 공기를 불어넣는 것을 반복하며 소리를 끊임없이 낼 수 있는 거죠.백파이프 주머니에는 여러 길이의 관이 ... ...
- 빨라진 물 순환 더 극한 기후 부른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물이 토양을 잘 통과하면 자연 정화 기능이 살아난다. 또 가뭄 때는 사용할 물을 저장하고, 홍수 때는 고인 물을 제어하기가 용이하다. 나아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녹지 공간을 확장하는 데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doi: 10.1016/j.landusepol.2018.03.005 ※ 이종림 마이크로소프트웨어와 ... ...
- [SF 소설] 우리 할머니들이 깨어날 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전원 공급을 끊어서는 절대 안 되었다. 종이책은 그런 염려가 전혀 필요없는 훌륭한 저장매체였다. 이쪽이 훨씬 익숙하고 편했다.아무 책이나 골라서 책장을 펼쳤다. 그것은 디지털 자료의 색인 같은 용도의 요약본이었다. 불의의 사고를 대비해서 핵심 사항만 아날로그 형태로 인쇄해 보관하고 있는 ... ...
- [기획] 일상에서 찍히는 디지털 탄소발자국을 따라가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쌓이면서 데이터 센터도 늘어날 수밖에 없다. 문제는 데이터 센터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수많은 서버를 작동시키기 위해 막대한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우리가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 데이터 센터 서버부터 라우터, 와이파이, 스마트폰에 이르는 각 단계의 기계들이 전기를 ... ...
- [기획] 이메일 지우면 디지털 탄소발자국 줄어들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차 한 잔을 데우기 위해 전기포트가 사용하는 전기의 양과 1MB 메일 약 1500개를 전송하고 저장하는 데 드는 전기의 양이 같다고 분석했다. 오히려 개인의 측면에서는 디지털 기기를 새로 사지 않고 오랫동안 쓰는 편이 탄소발자국 절감에 더 큰 도움이 될 수 있는데, 기기를 만들 때 훨씬 많은 에너지가 ... ...
- 네, 그래서 이과가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어봤습니다 (1)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약품 따위를 차게 하거나 부패하지 않도록 저온에서 보관하기 위한 상자 모양의 장치. 저장실과 냉각장치로 이루어지며 얼음, 전기, 가스 따위를 이용하여 냉각한다”고 적혀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의 정의를 만족하면서도 코끼리를 넣을 만큼 큰 냉장고를 찾는 건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 ... ...
- [특집] 도시를 움직일 전기 어떻게 생산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같은 조건에서 액화 암모니아가 순수한 액화 수소보다 1.5배 이상 수소를 더 많이 저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암모니아는 수소에 비해 폭발 위험성이 낮고 운송 및 활용 시설 등이 많이 갖춰져 있어요.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다양한 58.7GW(기가와트)의 발전설비를 갖출 예정입니다. 이는 현재 ... ...
- [특집] 양자전송으로 순간이동을 할순없더라도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큐비트(qubit)’라고 한다. 큐비트 소자의 양자 상태를 이용해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저장된 정보는 양자전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양자상태를 전달하는 양자전송을 흔히 양자정보를 전달할 방법이라 말한다. 양자전송을 처음 제안한 건 1993년 미국의 IT 기업 IBM의 과학자들이었다.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