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해
예방
방지
제한
금지
차단
억류
d라이브러리
"
저지
"(으)로 총 188건 검색되었습니다.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4 다국적팀과 셀레라의 팽팽한 '신경전'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뜻이다. 셀레라와 사이언스의 협정에 대해 다국적팀은 무척 흥분했다. 하지만 별다른
저지
방법이 없었다. 단지 자신의 연구논문을 사이언스의 경쟁지인 네이처에만 보내기로 결정하는 일이 최선이었다. 지난 2월 15일과 16일 네이처와 사이언스의 논문발표는 이런 ‘신경전’의 분위기 아래에서 ... ...
유산균 시장의 아우토반 쎌바이오텍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인공배양한 균사체 추출물을 종양을 가진 쥐에게 투여한 결과 완전퇴치율 75%, 종양
저지
율 97%를 기록했다고 한다. 쎌바이오텍은 앞으로 천연 송이버섯 균사체가 들어간 다양한 기능성 식품을 개발해 세계 시장을 공략할 예정이다.바이오벤처를 21세기 산업이라 부르는 것은 부가가치가 막대하기 ... ...
기억이 이식된 복제인간 6번째 날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또 모체에서 성장시키는 복제와 급속 성장시키는 복제 영화가 한편 있었습니다. ‘
저지
드레드’에서 둘이 다 나오죠.훈기_ 가볍게 얘기하고 싶은데 자꾸 무겁게 진행되는 것 같아 걱정스럽네요^^.상준_ 황교수님에게도 우리나라에서 애완동물 복제 요청이 계속된다고 말씀하셨는데…. 복제기술에 ... ...
사과는 자연 항암제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암학회 등은 양배추와 같은 식물에만 있는 성분인 이소티오시안산염(ITC)이 폐암을
저지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아직 자연계에 존재하는 여러 함암제에 관한 연구는 시작단계다.그러나 이번 연구를 계기로 자연이 인간에게 선사한 다양한 선물들이 더 자세히 밝혀질 전망이다 ... ...
우리 역사 속의 군함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6문의 포를 발사할 수 있다. 둘째 선체가 장대해 백병전을 위주로 하는 왜군의 돌입을
저지
할 수 있었다. 셋째 포를 설치하는 포좌를 옥위(상갑판)에 설치해 위에서 아래를 보며 화력을 구사해 사정거리를 멀리하면서 명중률을 높일 수 있었다. 넷째 활을 쏘는 사부와 노를 젓는 노군을 옥 안에 ... ...
따뜻한 겨울 뒤에 라마마있다.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겨울철 기온 변화는 전형적인 시베리아 고기압보다는, 중앙아시아에서 발달하는
저지
고기압이라고 하는 블로킹(Blocking) 현상의 영향으로 예년과 상당히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블로킹이란 일반적으로 해수면 온도가 높아서 기류의 흐름이 정체상태를 보일 때 소규모 기류들의 흐름이 교란되고 이 ... ...
비무장지대에 대량 살포된 고엽제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비무장지대에 고엽제를 살포한 이유는 북한군이나 간첩이 이곳을 뚫고 남파하는 것을
저지
하기 위한 것이었다. 1968년의 1.21 사태(북한의 김신조 일당이 비무장지대를 거쳐 서울까지 침투한 사건) 이후 남북의 긴장상태는 더욱 팽팽해졌고, 휴전선을 지키는 국군과 주한미군의 신경은 한층 ... ...
간지럼타는 배롱나무와 음악듣는 오이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담배에 전해진다. 그러면 다른 담배들도 일제히 소화억제 물질을 분배해 벌레의 공격을
저지
시키는 것이다. 소식이 전해지는 빠르기는 1분에 약 24m 정도라고 한다. 또한 사막의 초목들이 초식동물이 잎을 뜯으려고 몰려들 때 옆 나무의 소식을 전해듣고 순식간에 씁쓸한 맛을 내는 탄닌 성분을 ... ...
1. 장마는 약해지고 국지성 호우 등장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2년 내리 경기북부지역에서 홍수피해가 컸던 것은 경기북부지역이 임진강에 연해있는
저지
대로 홍수에 취약한 지리적인 조건이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이렇게 비슷한 일이 연속되자 많은 사람들이 한반도의 여름철 강우특성이 변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의심하고 있다. 기상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 ...
살균과 소독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잘 번식하는 온도는 30-37℃, 산도는 중성(pH 6.5-7.5)보통 온도가 낮으면 미생물의 생육이
저지
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저온에서 잘 자라는 미생물도 있다. 심지어는 -20℃ 이하에서 자라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냉장과 냉동 보존법을 너무 신뢰해서는 안된다. 대표적인 예가 리스테리아균. 5℃ 이하의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