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싸움터
전장
교전구역
전투장
전쟁장
전선
제일선
d라이브러리
"
전쟁터
"(으)로 총 155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리 입어보는 미래의 옷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더불어 현재 개발 중인 웨어러블 컴퓨터(입는 컴퓨터)를 군복에 적용하면 무서운
전쟁터
에서도 목숨을 잃을 확률이 크게 줄어든다. 혹시 부상을 당하더라도 군복 속에 들어 있는 CPU가 군인들의 부상 정도를 자세히 측정해 본부의 의료진으로 보고한다. 신속한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죽어가는 ... ...
우주에 가면'우주법'따르라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놓인다. 이 케이크는 임무를 마치고 돌아올 때까지 냉동시켜 놓는다. 삼국지에서 관우가
전쟁터
에 나가며 ‘따뜻한 술이 식기 전에 돌아오겠다’며 전의를 불태웠던 장면을 떠올리게 하는 대목이다.ISS 모듈 벽에 붙은 1달러의 진실 좁은 소유즈 캡슐에서 이틀 동안 지루한 여행을 끝내고 ISS에 ... ...
우리는 의식하고 있다는 걸 의식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일은 말처럼 쉽지 않다. 과거의 사람들은 의식이 심장 안에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전쟁터
에서도 포로의 심장을 도려내 의식이 부활하는 것을 막으려 했다. 시간이 흐르며 의식은 뇌의 작용에서 나온다는 이론이 인정받고 있다. 뇌가 손상당하거나 깊은 수면에 빠지면 뇌 기능이 멈추면서 의식도 ... ...
나를 닮은 봇 VS 로봇을 닮은 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2호
12㎞로 달릴 수 있어. 내눈은 밤에도 잘 볼 수 있고 내 귀는 작은 소리도 잘 듣는단다.
전쟁터
뿐만 아니라 재해 현장에서 언제든지 사람을 구할 수 있지. 2004년 10월 나는 자이툰부대와 함께 이라크에 다녀왔어. 야간 정찰을 하고 폭발물을 찾아 내는 일이 내 임무였지. 라면 상자만한 장난감 탱크로 ... ...
마이크로맨의 눈에 비친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9호
생활습관, 공해물질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옛날 옛날에 현미경이 살았어요!
전쟁터
에 나가는 병사가 총을 두고 간다면 어떻게 될까? 생물학자나 의학자에게 현미경은 병사의 총처럼 소중한 도구다. 현미경의 발명으로 눈에 보이지 않던 미세한 세계를 관찰할 수 있었고 과학은 눈부시게 ... ...
역사를 바꾼 무기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8호
강대국으로 이름을 떨쳤지요.그런데 무기가 과학을 발전시켰다면 믿어지나요? 무기는
전쟁터
에서 사람의 목숨을 빼앗기도 했지만 과학을 발전시켜 문명의 진보를 낳았지요. 과연 무기가 어떻게 과학을 발전시켰는지 역사 속 인물들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살펴보아요.고대의무기 난 인류 최초의 ... ...
3. 달려라 달려, 무적 로봇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전신(前身)으로 바퀴가 4~6개 달려 네발짐승과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기 때문에 험한
전쟁터
에서도 쉽게 장애물을 통과할 수 있다. 현재는 최대 시속 10km 정도로 미리 정해진 경로를 스스로 이동할 수 있는 수준이며, 장애물이 나타나면 센서로 인식한 뒤 피한다. 7단계 돼야 완전한 ... ...
식물나라 '꼬피네' 군단의 반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있을까?missio 1 솔방울 폭탄을 피하라!썰렁홈즈는 꼬피네 군단의 공격을 막기 위해 무작정
전쟁터
로 뛰어 들었다. 평화주의자인 썰렁홈즈는 대화로 풀기를 원했기 때문. 하지만 웬걸? 썰렁홈즈가 말을 꺼내기도 전에 꼬피네 군단은 솔방울 폭탄을 쏘아대기 시작했다. 갑작스런 상황에 깜짝 놀란 ... ...
나는 더 이상 내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문헌들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얼굴에 문신을 하거나 색깔을 칠해서 정체를 숨기고
전쟁터
에 나간 병사들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포로를 살해하거나 고문하는 가혹행위를 더 많이 했다.온라인에서는 대화 당사자들이 지리적으로 분산돼 있기 때문에 신체적 보복에 대한 두려움 없이 서로를 ... ...
레우벤후크의 현미경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강도와 내구성 따위를 조사하기 위해 현미경을 쓴다. 생물학과 의학에서는 현미경이
전쟁터
에 나가는 병사의 총에 견줄만하다.17세기 네덜란드의 레우벤후크는 현미경을 갖고 최초로 미생물을 관찰했다. 당시 과학자들이 현미경에 거는 기대는 지금보다 훨씬 컸다. 그들의 믿고 있던 기계적 철학이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