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급
유포
전개
전달
전파망원경
망원경
파설
d라이브러리
"
전파
"(으)로 총 1,890건 검색되었습니다.
[폴리매스 미궁 1004 미리보기] 드디어 밝혀진 소녀의 정체
수학동아
l
2022년 10호
위에 남긴 인공지능이 만든 안드로이드였다. 멸망한 지구에서 살아남은 사람에게 문명을
전파
하기 위해 인공지능은 주기적으로 안드로이드를 지상으로 보냈다. 고대인은 이 안드로이드에게 ‘◯◯’라는 이름을 붙였다. 수수께끼를 풀다 우연히 나온 ‘◯◯’라는 답을 알아챈 소녀는 자신이 ... ...
[기획] 일회용컵 줄이기, 대안은 다회용컵?!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0호
사회를 위해서는 작은 불편도 필요하다는 점을 명심하면 좋겠다”고 말했답니다.●RFID :
전파
를 이용해 근거리에서 정보를 인식하는 기술. ‘전자태그’라고도 불린다. ●인터뷰트래쉬버스타즈“다회용컵 공유로 쓰레기 문제 해결!” Q사업을 시작한 계기가 있나요? 축제가 끝나면 일회용 ... ...
[특집] 모기 트랩을 설치하자!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트랩의 뎅기열 예방 효과를 알아보는 수학 모형을 개발했습니다. 먼저 감염병이 어떻게
전파
될지 예측하는 수학 모형인 ‘SIR 모형’을 이용해 말레이시아의 뎅기열 확산 모형을 만들었어요. 그다음 말레이시아 곳곳에 모기 트랩을 설치하고 여러 실험 데이터를 얻었지요. 컴퓨터 모형을 이용해 ... ...
[특집] 유전자 변형 모기를 이용하자!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만들었어요. 유전자 드라이브는 유전자 변형 기술 중 하나로, 특정 유전자를 빠르게
전파
하는 기술이에요. 세포에는 서로 짝을 이루는 한 쌍의 유전자가 존재해요. 예를 들어 ‘보조개에 관한 유전자’가 있다면 ‘보조개가 있는 유전자’와 ‘보조개가 없는 유전자’가 있어요. 이때 한 세포에 ... ...
더 강해져 돌아온 코로나... 백신 플랫폼 기술 있었다면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BA.5 변이 점유율은 계속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BA.5는 오미크론보다 치명률은 낮지만,
전파
력은 높고 기존 면역 반응을 회피한다. 백신 접종 뒤 우리 몸에 생긴 항체가 바이러스를 중화시키는 능력을 보면 그 차이가 확연하다. 원본 바이러스(WA1/2020)와 비교했을 때, 항체가 BA.5를 중화시키는 ... ...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원숭이 아닌 인간이 주범?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국제 통계 사이트 ‘아워월드인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5월 6일(현지시간) 영국에서 시작된 원숭이두창 감염 사례가 6월 6일 기준 전 세계 29개국에 ... 번의 대규모 행사에서 이 질병이 확산됐을 것”이라며 “당시 행사에서 밀접한 성적 접촉이
전파
를 증폭시킨 것으로 보인다”고 추측했다 ... ...
[이달의 책] “세상에 의미 있는 것을 만들어라”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조건에서도 여전히 그의 머릿속은 오직 한 곳을 향했다. 본인이 보고 배운 것을 한국에
전파
해 도움이 되겠다는 것. 결국 한국에 온 전 교수는 목표한 바를 이뤘다. 그의 지식으로 한국을 세계 최고 인터넷 강국으로 만드는 데 초석을 다진 것이다. 제자들에게는 도전정신을 불어넣으며 한국 IT 기업 ... ...
[과학뉴스] 미국에서 GM 모기 실험 첫 성공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수액을 먹고 산다.이번 실험으로 GM 모기의 효과가 증명됐지만, 이 연구가 바이러스
전파
를 줄이는지를 검증했는가에 대한 논란은 있다. 토마스 스콧 UC데이비스 명예교수는 “미국 플로리다 지역은 원래 이집트숲모기 매개 감염이 많이 일어나지 않는다”며 “모기 개체수를 줄인다고 반드시 질병이 ... ...
[특집] 거기 누구 없어요? 외계 생명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6호
1972년 3월 2일 발사된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탐사선 파이어니어 10호가 올해로 발사 50주년을 맞았습니다. 초기 목적인 목성 탐사를 마치고 인류의 메시지를 담은 금속판을 실은 채 황소자리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지요. 현재 파이어니어 10호는 지구로부터 약 195억 km 떨어진 우주를 날고 있습니 ... ...
[특집] 외계생명체의 또다른 증거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6호
바꾸기도 하거든요. 문명 활동이 생명징후가 될 수도 있어요. 인간이 통신을 위해 무선
전파
를 이용하거나 밤을 밝히는 전깃불 등 기술을 이용할 때 생기는 생명징후죠. 안타깝게도 인간 지식의 한계로, 우리가 알아보지 못하고 조사할 수 없는 생명징후도 있습니다. 이는 인류의 지식 수준이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