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파망원경"(으)로 총 468건 검색되었습니다.
-
- 신비┃우주에 우리만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보여주고 있는 중국도 외계생명체 탐색에 뛰어들었다. 중국은 2016년 완공한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 패스트(FAST)를 가지고 외계생명체의 전파 메시지를 검출할 목표를 세우고 있다. 그동안 세티 프로젝트에서 감지할 수 없었던 우주 깊은 곳의 전파 신호까지 탐색할 수 있을 전망이다. 외계생명체를 ... ...
-
- 블랙홀 첫 직관, 여전히 궁금한 5가지!과학동아 l2019년 05호
- 하와이 전파망원경(SMA/JCMT)까지 하나의 블랙홀을 보기 위해서는, 지구가 자전해 모든 전파망원경이 블랙홀을 관측할 때까지 촬영해야 한다. EHT의 이런 특성 때문에 빛이 더 천천히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M87* 관측이 더 쉽다.Sgr A*는 관측도 어렵지만, 관측 결과를 해석하는 것도 만만치 않다. Sgr A*는 ... ...
-
- [수학뉴스] 처음으로 포착한 블랙홀의 그림자수학동아 l2019년 05호
- 그림자를 사진으로 담은 셈입니다. 이번 결과는 유럽과 남미, 남극 등 전세계 8곳에 있는 전파망원경을 동시에 가동해 얻은 성과입니다. 2017년 4월 8곳의 망원경이 10일 동안 동시에 같은 블랙홀을 관측해 지구만 한 크기의 망원경으로 관측한 효과를 냈습니다. 이때 관측한 4100테라바이트(TB)가량의 ... ...
-
- 블랙홀이란 무엇인가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한 번도 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이런 블랙홀이 4월 초 모습을 드러낼 것으로 예고됐다. 전파망원경 여럿을 통해 만든 블랙홀의 이미지가 공개된다. 1년 전 우주로 돌아간 스티븐 호킹은 이 결과에 어떤 반응을 보일지 문득 궁금해지는 한편, 새삼 과학의 진리 하나를 깨닫는다. 우리는 아직 아는 것 ... ...
-
- 그림자 공개 임박! 블랙홀 Black Hole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보지 못했다. 블랙홀은 어떻게 생겼을까. 2006년 전 세계 36개 기관 소속 천체물리학자들은 전파망원경을 동원해 블랙홀의 그림자를 촬영하기 시작했다. 4월, 마침내 그 결과가 공개된다. 블랙홀은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이 예측한 것과 같은 모습일까. ▼관련 기사를 더 보려면? Intro. 그림자 ... ...
-
-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핵심적인 기여를 하고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서울대 천문대와 함께 2020년부터 자체 전파망원경으로 EHT 프로젝트에 참여할 계획도 갖고 있다. 블랙홀의 비밀을 벗기는 세기의 연구에 한국 천문학계가 기여했다는 점에서 더없는 자긍심을 느낀다.손봉원 한국천문연구원 전파천문본부 ... ...
-
- Part 5. 전문가에게 물었다 제2의 달 탐사 경쟁, 한국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2020년 달 주변을 도는 550kg짜리 궤도선을, 2030년까지 달 착륙선을 보낸다’. 2018년 2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제3차 우주개발계획’ 중 달 탐사에 관한 내용이다. 2017년과 2020년에 각각 달 궤도선과 착륙선을 보내려는 당초 계획보다 상당 기간 뒤로 미뤄졌다.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 ...
-
- Part 3.감마선 별자리, 하늘을 수놓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하늘이 이미 88개의 별자리로 가득 차 있다고? 그러면 헐크나 고질라 같은 새 별자리 친구들은 뭘까? 바로 눈에 보이지 않는 별들로 만들어진 감마선 별자리야! 페르미 망원경, 하늘에 감마선 별자리를 그리다! 지난 10월 18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과학자들이 21개의 새로운 별자리를 만들었 ... ...
-
- Part 3. 우주에도 다이아몬드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나오는데, 이 마이크로파는 별에서 나왔거든요. 연구팀은 미국과 호주에 있는 전파망원경으로 마이크로파를 내는 세 개의 신생별인 ‘V892 타우’, ‘HD97048’, ‘MWC297’을 관측했어요. 관측 결과, 연구팀은 반지름 0.75~1.1nm 크기의 나노 다이아몬드로 이루어진 거대한 구름 띠가 세 별을 둘러싸고 ... ...
-
- 남극, 달, 부메랑 성운, 세상에서 가장 추운 곳과학동아 l2018년 12호
- 20년간 수수께끼였다. 그러다 지난해 미국과 스웨덴, 칠레 국제공동연구팀이 세계 최대의 전파망원경인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 관측망(ALMA)’을 이용해 부메랑 성운을 상세히 관측하고 그 이유를 밝혀냈다. doi:10.3847/1538-4357/aa6d86 연구팀에 따르면, 부메랑 성운은 태양과 같은 적색거성이 마지막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