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작"(으)로 총 3,8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재밌는 수학'으로 일본을 뒤흔든 베스트 셀러 작가, 사쿠라이 스스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일본의 수학 대중화에 앞장서는 대들보 같은 인물이에요. 이렇게 수학에 관한 굿즈를 제작할 뿐 아니라, 20년째 수학책을 쓰고 강연하고 있거든요. 그의 책 중 일부는 우리나라에도 출간됐어요. 우리나라도 최근 과학이나 수학을 대중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는 강연자나 크리에이터가 늘고 ... ...
- [르포] 달을 향한 열망과 비전이 넘치는 곳 아제르바이잔 국제우주대회에 가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미나니’를 운영 중이다. 최근엔 과학 만화책 ‘요즘 과학’, GPT-3 기술을 활용해 제작한 책 ‘인공지능이 알려주는 2023년 트렌드’도 펴냈다. skddl0514@gmail ... ...
- [5년 후 과학은] 인류의 미래를 쌓아올릴 혁신 기술 '적층성형 기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수 있는 원천 공정 기술을 개발하면, 적층성형만으로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제품을 제작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안전성, 재현성 등 명확한 평가 기준 마련해야 기존에 없던 신기술로 획기적인 제품을 만들 수 있다는 가능성은 항상 큰 기대를 모으죠. 그렇지만 그 제품의 안전성과 생산 ... ...
- [4컷 만화] 100년 전 사람 살린 썰매견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주역은 바로 ‘썰매개’였습니다. 개들을 이끈 썰매견 ‘발토’의 이야기는 영화로도 제작될 만큼 유명하지요. 4월 27일, 미국 샌타크루즈 캘리포니아대학교 캐서린 문 교수팀은 당시 개들을 이끈 썰매견 ‘발토’의 유전 정보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미국 클리블랜드 ... ...
- (광고) 상상한 대로 만드는 나만의 트랙! 그래비트랙스 앱 콘테스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결과가 발표됐어요! 무려 120명의 그래비트랙서가 지원한 이번 콘테스트에서 놀랍고 창의적인 트랙을 보여준 5개의 수상작을 소개합니다. 그래비트랙스 앱으로 만든 가상의 트랙들을 확인해 볼까요? 그래비트랙스 앱에서 자유롭게 트랙을 뚝딱! ‘GraviTrax’는 가상 세 ... ...
-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과학고등학교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경기북과학고 과학실.20명의 2학년 학생들이 고급 물리학 수업 시간을 맞아 ‘광학렌즈 제작 및 초점 측정’ 실험을 하고 있었다. 물이나 글리세롤이 담긴 볼록한 그릇을 움직이며 초점을 확인하고, 빛과 렌즈의 거리를 계산하는 학생들의 진지한 토론이 곳곳에서 들렸다.수업을 진행한 정은석 ...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어린이를 위한 디지털 경제생활 안내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첫 번째로, 나도 모르게 광고판이 되는 경우입니다. 어린이들이 많이 이용하는 무료 영상 제작 애플리케이션이 대표적인 예이죠. 무료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대신, 영상에 해당 회사의 워터마크가 찍혀 널리 퍼지게 됩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것이 일종의 광고라는 것을 인식하지 못할 때가 ... ...
- [2039:화성 일 년 살기] 화성에서도 한국인은 김치를 담근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않아 봄동과 비슷한 상태였다. 아무래도 겉절이 정도만 만들 수 있을 것 같았다. 특별 제작한 유리 온실에서는 배추의 결구(배추의 속이 들어차는 현상)를 성공시켜 속이 꽉 찬 배추김치를 만들고 싶었다. 하지만 배추는 결구할 낌새가 보이지 않았다. 이번에도 장금에게 조언을 구했다.“양분을 더 ... ...
- [전지적 독자 시점] “11월? 역시 노벨상의 달이죠”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기자와 힘을 합쳐 노벨상 특집 기사를 만들었습니다. 저는 이그노벨상으로 기획 기사를 제작했고요. 노벨이 특집, 이그노벨이 기획이라니 균형이 그럴듯하게 맞아 보이지 않나요. 하지만 주요 기사 투표와 독자 여러분의 의견이 없으니 마음 한쪽이 쓸쓸하게 느껴지는 건 어쩔 수 없나 봅니다. 다음 ... ...
- [최신 이슈] 양자컴퓨터 만들 새로운 플랫폼 등장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개발한 기술로는 5~6개의 큐비트만 원격 조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40큐비트까지 제작한 구글과 IBM의 초전도 방식에 비하면 매우 작은 양이다. 연구에 참여한 홍 부이 양자나노과학 연구단 박사과정 학생 연구원은 “개수를 늘리기 위한 여러 방법을 연구 중”이라며 “핵스핀을 제어하는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