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즉시"(으)로 총 7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PICK] 새해 계획 성공하려면? 뇌가 조종하는 도파민 경로의 비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시작은 중뇌에 있는 복측피개영역(VTA·Ventral Tegmental Area)이다. 새로운 행동을 하면 VTA는 즉시 도파민을 만들어낸다. 어떤 행동을 하는지에 따라, 그리고 개인에 따라 도파민이 생성되는 양은 다르다. 만약 굉장히 맛있다고 느끼는 음식을 먹었다거나, 자극적인 행동을 했다면 VTA에서 도파민을 ... ...
- [실전!반려동물] 댕댕이를 살리는 응급처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후 손을 떼고 2초가 지나도 여전히 하얗거나, 빛을 비춰도 동공이 반응하지 않는다면 즉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세요. 우선, 입과 후두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바람이 새어 나가지 않도록 반려견의 입을 꽉 잡은 다음, 코에 바람을 불어 넣으세요. 반려견의 흉부가 부풀어 오른다면 바람이 잘 ... ...
- Part 2. 침대의 라돈이 더 위험한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방사선량을 확인하고, 수거 명령이 내린 침대 사용자는 대진침대가 수거해 가도록 즉시 신고할 것을 조언했어요. 수거가 될 때까지는 두꺼운 비닐로 침대를 감싸 환기가 잘 되고 사람이 잘 다니지 않는 곳에 보관해야 한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이불 밖은 위험해? 라돈 침대도 ... ...
- 케네스 리벳 미국수학회 회장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의 숨은 공신수학동아 l2018년 11호
- 내가 생각한 것을 알고 있는 사람은 없었다”고 표현했다. 또 “많은 학자들이 내 증명을 즉시 이해하지는 못했지만 확신이 있었기 때문에 실망하지 않았다”고도 말했다. 자신이 가장 잘 할 수 있고, 기여할 수 있는 문제를 선택해서 풀었기 때문에 이런 자신감과 확신을 가지고 연구할 수 있었던 ... ...
- [TECH]스마트폰 카메라 전쟁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촬영하게 해주는 인텔리전트 카메라 기능을 꼽을 수 있다. 카메라의 움직임에 따라 즉시 피사체를 인지해 원하는 사진을 찍을 수 있다. 갤럭시S9의 ‘AR 이모지’, 아이폰의 ‘미모지(Memoji)’ 기능처럼 자신을 닮은 아바타를 자동으로 생성해 얼굴 표정을 추적하고 이모지로 활용하는 것도 NPU와 ... ...
- Part 1. 인공위성 IMAGE를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발견을 블로그에 공개하고, NASA에 이를 알렸어요. 이 소식을 들은 NASA의 과학자들은 즉시 미국 각지에 설치된 5개의 안테나를 사용해 신호를 수집했지요. 그 결과, 이 신호가 모두 IMAGE의 것과 일치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답니다. IMAGE 위성이 다시 작동하게 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과학자들은 ... ...
- [과학뉴스] 화장실 냄새는 ‘역여과 변기’로 해결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크면 입자도 크기 때문에 크기에 따라 분리가 된다. 큰 입자가 통과한 뒤 뚫린 부분은 즉시 자가 치유 방식으로 원래의 형태를 회복한다. 이를 위해 공기 중에서 원래 상태를 유지하는 경향이 큰 계면활성제로 막을 만들었다.웡 교수는 “전 세계 10억 명이 사용하는 재래식 화장실은 악취가 ... ...
- [과학뉴스] 3년 만에 온 메르스 발병 열흘 만에 완치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개선되지 않아 공항에서 바로 삼성서울병원 응급실로 내원했으며, 의심환자로 분류돼 즉시 지정병원인 서울대병원으로 이송됐다.A씨는 서울대 검진 결과 만 하루 만에 확진 환자로 분류됐다. 질병관리본부는 곧바로 국내 메르스 위기경보 수준을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격상했다.보건 ... ...
- 바다 위 8층 빌딩 이사부호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사용해 수심별로 수온, 염분 등 해양의 기본적인 상태를 측정한다. 측정된 데이터를 즉시 컴퓨터 데이터로 변환한 뒤 메인 연구실의 컴퓨터로 보낸다.육지의 연구 시설에 준하는 완벽한 컴퓨터 시스템도 이사부호 연구 시설의 ‘꽃’으로 불린다. 육지의 IDC(Internet Data Center)에 필적하는 별도의 전용 ... ...
- [Career] 찌르면 ‘아야!’ 통증 내뱉는 전자피부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느낄 수 있다면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다. 사람은 뾰족한 바늘에 찔리면 고통을 느끼고 즉시 바늘을 피하며 인체를 보호한다. 반면 로봇은 바늘에 찔려도 주어진 임무를 계속 수행한다. 장 교수는 “전자피부에 기준치 이상의 압력이 인지될 경우 이를 회피하도록 프로그래밍한다면 로봇의 고장을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