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맥
분파
분류
지선
물줄기
지파
분기
d라이브러리
"
지류
"(으)로 총 95건 검색되었습니다.
낙동강하구와 한강서울수역 철새는 보금자리를 잃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종의 명금류도 자취를 감추어 버리지 않았는가. 이제부터 할 일이란 자연도 높은 한강의
지류
와 분류의 일부지역을 선정하여 자연보호지구로 남겨 절대 보존지구로 지정하여 인공의 한강 서울 수역을 대신할, 새로운 지역에 재군집케 할 수 있도록 힘써야겠다 ... ...
30여년만의 본격조사 휴전선의 생태계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동해로 유입되는 하천수계의 어류상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었다. 특히 고성 남강수계의
지류
중 하나인 고진동계곡은 전형적인 산지계류로 산천어가 다수 채집됐다. 특히 이 지역에 산천어가 오래전부터 서식했으며 그 밀도가 어느 곳보다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학계에서는 큰 수확으로 평가하고 ... ...
영국 테임즈강에 연어 키우기로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고향으로 알고 회귀하게 하려면 여러가지 준비를 해야한다. 연어협회는 테임즈강
지류
에 산란시설을 만들고 연어가 바다에서 올라올수 있도록 20개의 통로를 만들기로 했다. 현재는 테임즈강에 걸려 있는 수많은 다리의 교각때문에 연어가 통행하기 어렵게 되어있다. 한편 연어 방류에 앞서 실시한 ... ...
지구 최후의 오지 아마존과 그 유역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곳에서는 다른
지류
의 1백배나 오염되어 있었고 그것도 상류에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
지류
도 있었읍니다. 대개는 광산에 의한 오염이었읍니다.” ─ 그러고 보면 최근 그쪽에서 골드러시가 일어나고 있다는 얘기를 들었읍니다만···. “어떤 광산공동체(기업이 아니고 개인 채광사들의 모임 ... ...
빈곤과 환경파괴의 악순환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강에서 어업을 하는 수백만의 인도 어부의 생계를 위협하고 있다. '후글리강'의 오염된
지류
에서는 깨끗한 곳의 1/6밖에 물고기가 잡히지 않는 것이다. 말레이지아에서는 많은 강과 호수의 어부들이 공해 때문에 생계수단을 잃었다. 연안 어부들도 산업폐기물과 기름이 해안에 침입해 들어오자 ... ...
PART 2 한강수계 총점검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억t에 달하는 저수용량을 보유하고 있다.소양강은 총 유로연장이 1백60㎞인 북한강의 최대
지류
이며 관광으로 유명한 설악산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흐르고 춘천시에서 북한강과 합류한다. 이 댐은 춘천시에서 동북방 13㎞지점에 있는 춘성군 신북면과 동면에 자리잡고 있으며 북한강 유역에서 ... ...
PART 1 금강산댐과 그 대응책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된다.또 시베리아의 한냉지에 건설된 댐 호수의 영향도 문제가 되고 있다. 예니세이강
지류
인 앙가라강에 건설된 브라츠크 발전소 댐호수의 경우 인조 호수의 수심이 1백m이상이나 되어 여름에도 깊은 곳의 수온은 섭씨4도나 그 이하로 유지되고 있다.주변의 여름 기온은 댐 건설 이전엔 평균 섭씨2 ... ...
지리산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1284m), 황장산(942m), 왕시리봉(1213m)등의 봉우리가 여기에 솟아 있다. 낙동강과 섬진강의
지류
들이 지리산에서 발원하여 동쪽과 남쪽으로 각각 흘러가며 이들 하천들은 비교적 급류를 이루고 있고 심한 하각작용(下刻作用)을 일으킨다. 따라서 계곡은 V자형의 깊은 협곡으로 되고 산봉우리는 둥근 ... ...
백두산-동북아 최상의 새들의 낙원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잡힌 기록이 있으며 전후에는 경기도 광릉 냇가에서 1966년 3월, 수컷 한마리와 낙동강
지류
에서 1968년 1월, 한쌍이 잡힌 예가 있었을 뿐, 매우 희귀한 오리의 일종으로 알고 있었다. 일본에서도 혹카이도와 혼슈지방에 매우 드물게 도래하는 진귀한 겨울새로 취급한다. □알락개구리매 4월 상순 ... ...
20세기 최대의 발굴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맞고 있어 전 세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섬서성의 성도 서안에서 약 1백50km 서쪽, 황하
지류
위하의 북쪽에 있는 봉상현이 이 대묘의 발굴지.이곳은 춘추전국시대(BC 770~BC 221)의 진의 도읍이었다. 중국을 최초로 통일했던 진의 시황제는 도읍을 함양(서양 북쪽)에 두었으나 그 이전의 진은 옹성이라는 ... ...
이전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