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체
총계
일반
토탈
합계
토털
집합체
d라이브러리
"
총체
"(으)로 총 173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태양계 내 또다른 종족의 자취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될 것이다. 스타더스트가 채취해온 각종 물질과 탐사자료들은 세계 과학자들에게 나눠져
총체
적 분석이 시도된다. 어쩌면 분석결과가 우주생물학의 많은 부분을 다시 쓰게 만들지도 모른다.이 외에도 혜성과의 다양한 조우 계획이 마련돼 있다. 유럽우주국은 2003년에 ‘로제타’ 호를 발사해 2011년 ... ...
Ⅲ 이제는 포스트게놈 시대다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단백질의 구조와 특성을 알아내는 연구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런 작업을
총체
적으로 프로테오믹스(proteomics)라고 부른다. 단백질은 종류가 너무 많아 아직까지 완전히 연구가 되지 않은 상태. 기능이 알려지지 않은 단백질도 상당수이지만 발현되는 양이 너무 적어 존재 자체가 확인되지 ... ...
자크모노의 우연과 필연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있다. 하이젠베르크가 현대 물리학을 개척한 대학자로 물리학 개념을 토대로 인류문화의
총체
적 측면에 대해 논했다면, 모노는 생물학의 거두로서 분자생물학 개념에 기초해 현대문명을 비평했다고 대비할 수 있다.따라서 “길에 굴러다니는 조약돌이라면 모르겠다. 그러나 이것이 우리의 문제가 ... ...
타임머신(The Time Machine)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가입해 사회주의 이념을 펼치고자 노력했으나, 2차대전 발발 뒤 인간 사회에 대한
총체
적 절망에 휩싸인 채 작고한 것으로 알려진다. 페이비언협회(Fabian Society)는 1884년 런던에서 창립된 정치사상단체로 의회민주주의적 방법을 통한 사회주의 이념의 점진적 실현을 추구했다. 저명한 극작가인 조지 ... ...
곤충진기명기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줄었는지 짐작할 만하다.현재 지구상에서 가장 작은 곤충은, 포도나무를 갉아먹는
총체
벌레의 애벌레에 기생하는 좀벌(Dico-pomorpha echmepterygis) 수컷으로 0.139mm에 불과하다. 크기가 너무 작다보니 아무도 발견하지 못해, 아예 이 좀벌은 그때까지 발견된 암컷만 있다고 생각했다. 번식도 암수가 ... ...
사이버에 중독 되셨습니까?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중독의 생리학은 사회문화적 측면도 소유한다. 중독에 관한 최신지견의 하나로 ‘행동의
총체
적 변화’라는 현상이 있다. 대표적 마약류의 하나인 코카인은 금단증상이 적어서 한 때 그 심각성이 과소평가 되었던 일이 있다. 그러나 코카인이 겉으로는 잘 드러나지 않으나 무척 정교하고 교묘하게 ... ...
재미있는 여러가지 차원이야기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것이 대부분이다. 프랙탈은 은하계부터 미세 원자세계에 이르기까지 우주의 모습을
총체
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도구로 여겨진다. 이러한 프랙탈 구조는 자연이 가지는 기본적인 속성이다. 프랙탈이론에 따르면 자연에서 흔히 발견되는 무질서한 운동도 잘 정의된 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고 그 ... ...
영재교육 뿌리내릴 것인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곤두세우고 있어 다양한 특별활동에 대한 부담을 많이 느끼고 있으며 이러한 여파는
총체
적인 탐구학습에 찬물을 끼얹는 결과를 낳았다고 한다. 최근 발표된 학생들의 과학고 정원을 3백 50명(전체 정원의 22.4%)가량 줄이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정원을 2백여명(전체 정원의 35%) 이상 늘린다는 것도 ... ...
Ⅱ 생사를 넘나드는 생명의 조절자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존재해야 한다. 아직 현대과학은 두뇌작용과 같은 생체내 전기화학적인 현상을
총체
적으로 잘 이해하지 못하지만, 알려진 사례를 살펴보자. 가령 동물의 눈은 감지한 시각정보를 전기화학신호로 바꾸어 두뇌에 보내고, 두뇌에서는 그 시각정보를 처리 분석해 정보내용을 판독한다.또 필요하다면 ... ...
마이크로로봇 축구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움직임을 파악하는 인공지능, 그리고 공격전술과 수비전술을 지휘하는 프로그램이
총체
적으로 뒷받침되지 않는 한 마이크로로봇 축구는 이뤄질 수 없다.마이크로로봇 축구의 산실, KAIST 지능제어연구실마이크로로봇 축구대회의 종주국은 한국이다. 1996년 5월 9-10일 양일간 KAIST에서는 세계 최초의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