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쪽
면
편
팀
파
당
d라이브러리
"
측
"(으)로 총 405건 검색되었습니다.
[핫이슈] 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0여 년 전, 남북고위급 회담 당시 남한을 방문한 북한 대표단이 남한
측
에 비공식적으로 요청한 사항이 있었다. ‘물코끼리벌레(Bagous kagiash)’라는 해충을 박멸할 살충제를 지원해달라는 부탁이었다. 하지만 남한은 이 부탁을 들어주지 못했다. ‘물코끼리 벌레’가 어떤 생물인지 아무도 이해하지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다음날인 7일, 다르파는 대회 결과를 공유하는 워크숍을 개최했는데, 이 자리에서 NASA
측
은 “화성 탐사 환경을 가정하고 DRC보다 훨씬 더 어려운 임무로 구성된 새로운 로봇 대회를 개최하겠다”고 밝혔다.휴보팀 관계자는 “아직 확정한 것은 아니지만 출전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일본에서 2020년 ... ...
“스파이더맨이 제일 그리기 어려웠어요”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좋았던 것 같다. 전에는 게임그래픽 디자이너로 오랫동안 일했다. 프리랜서가 된 뒤 마블
측
에 먼저 작업을 제안했는데 반응이 좋아서 함께 일하게 됐다.Q 캐릭터를 그릴 때 특별히 신경 쓰는 점은?A 특징이다. 캐릭터는 우리말 뜻으로 특징이기 때문에 각 캐릭터의 특징을 어떻게 강조할 수 있을지 ... ...
[지식] 자유를 사랑한 수학자 로랑 슈와르츠 탄생 100주년
수학동아
l
2015년 03호
방문이 쉽지 않았다. 1950년 미국에서 열린 세계수학자대회에서 필즈상을 받을 때 주최
측
의 탄원과 수학계의 노력으로 겨우 참석 허가를 받을 수 있었다.1950년대 프랑스 식민지이던 알제리에서는 공포통치가 벌어지고 있었다. 슈와르츠는 일명 ‘오댕 사건’ 때문에 이런 상황에 관심을 갖게 됐다. ... ...
[체험] 세계수학자대회에서의 12시간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대회장을 찾은 많은 사람들이 운집해 있었다. 독자기자 5명은 조직위원회
측
의 협조를 얻어 이처럼 국제적인 행사의 개막식에 참석할 수 있었다.“아무래도 최초의 여성 수상자가 나올 것 같아요. 만약 그렇게 되면 여성 대통령이 여성 수상자에게 필즈상을 수여하게 되니까, 수학을 ... ...
전기모터로 3초만에 시속 100km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독일의 베를린, 영국의 런던 등 전 세계 10개 도시에서 차례대로 레이스가 치러진다. FIA
측
은 올해 처음 열리는 포뮬러 E를 홍보하기 위해 여러 이벤트를 고려하고 있다. 그 중 ‘Fan Boost’는 전기자동차의 특성을 잘 활용한 이벤트다. 관객의 표를 가장 많이 얻은 드라이버 3명은 전기모터의 제한된 ... ...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만나다수학동아에서는 현재 논란의 주인공인 유진과 인터뷰를 직접 시도했다. 개발자
측
에 특별히 협조를 얻어 유진을 개인적으로 접속해 인터뷰를 진행했다. 유진은 높은 관심으로 인해 공식 사이트가 다운된 상태로 6월 17일 현재 복구 중에 있다.저는 한국에서 온 기자예요. 인터뷰에 응해 줄 수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외계행성이나 위성의 대기 성분은 물 론, 위성이 행성을 가리는 모습까지 정밀하게 관
측
할 날 이 올 것이다. 밝기 변화를 통해 표면 구조도 알아낼 것 이다. 외계 위성은 태양계 밖 생명체 탐색에 점점 더 중 요해질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위성 요리사를 위한 7가지 레시피Part 1 - 난 ... ...
‘유망주’ 싹 자르는 투수 혹사 잔혹사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박 교수가 1년에 약 50명 정도 시술하는 것을 포함해, 100명 미만이 시술을 받는 것으로 추
측
된다.이 교수는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려줬다. 팔꿈치 부상이 더 잘 발생하는 구질이 따로 있다는 것이다. 포크볼이 대표적이다. 검지와 중지를 넓게 벌려 공을 잡아 공의 회전을 줄인 변화구로, 공이 느리게 ... ...
고압송전탑 밑에 살면 정말 암에 걸릴까?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송전선은 2027년 3만 8600km로 7000km나 늘어난다. 전력 수요가 매년 2.2% 늘어날 것으로 예
측
되기 때문이다. 이 안에 따르면 한전은 765kV 송전선을 신설할 계획은 없고 345kV 송전선은 가급적 지중화를 할 예정이지만, 송전선이 좀 더 촘촘하게 전국에 깔릴 것이다.밀양송전탑 전문가협의체에 참여했던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