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숙식
침범
침략
삭마
마모
소모
erosion
d라이브러리
"
침식
"(으)로 총 342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장출동! 독도탐사대 강치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9호
예상한답니다.독도는 최고 파도 높이가 8m에 이를 만큼 파도와 바람이 심해요. 따라서
침식
과 풍화작용이 매우 활발하지요. 이런 현상이 계속돼, 수백만 년이 지나면 독도가 줄어들어 결국 사라질 수도 있어요. 하지만 반대로 독도 주변에 있는 해저화산이 폭발한다면 그 재가 날아와 독도가 더 커질 ... ...
남극 알프스 미스터리 풀렸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산맥이 다시 생겼다.페라치올리 박사는 “다른 지역에 이런 크기의 산맥이 있었다면
침식
돼 사라졌을 수도 있지만 갬부르체프 산맥은 약 3400만 년 전에 생성된 빙하에 가려 보존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현재 얼음 밑에 있는 암석 샘플을 직접 채취해 본격적으로 분석할 예정이다. 그래서 ... ...
불굴의 탐사선 하야부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지하 수십 cm에서조차 800만년 밖에 되지 않는다. 지금처럼 100만 년에 수십 cm씩 표면
침식
이 계속된다면, 1억 년 내지 10억 년 안에 이토카와는 완전히 사라질 것이다. 우주의 풍운아인 소행성답게 이토카와는 우주의 바람(태양풍)과 함께 사라지는 것이다.현재 태양계 탐사의 가장 큰 화두는 ... ...
바다를 품은 영재교육의 장, 군산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현미경으로 관찰하면서 플랑크톤과 같은 해양생물을 공부할 수 있다. 바닷물의 풍화와
침식
현상에 대한 강의는 바닷가의 울퉁불퉁한 바위 위에 서서 듣는다. 갯벌 생태계를 관찰하고 생물의 다양성을 느끼는 체험시간은 캠프의 하이라이트다.영재교육원은 올해부터 목포해양대에 있는 ... ...
남미의 뿌리, 안데스 산맥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장면을 눈앞에서 볼 수 있다.] [➌ 모레노 빙하를 품고 있는 파타고니아 고원은 빙하의
침식
으로 형성된 긴 협곡이 절경을 이룬다.]청록빛 거인 페리토 모레노 빙하사람들은 남아메리카하면 따가운 햇살과 후덥지근한 기후를 주로 떠올린다. 하지만 안데스 산맥의 높은 봉우리는 만년설로 덮여 있다. ... ...
Part2.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일본이 울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들어올 때보다 돌아나갈 때 지진해일파는 더 큰 가속도를 갖기 때문에 물이 빠질 때
침식
피해도 상당하다”고 말했다.6 지진의 피해가 클까, 지진해일의 피해가 클까이번 센다이 지진은 사망자 중 90%가 익사로 판명됐다. 사상자로 보면 상대적으로 지진해일의 피해가 더 컸던 셈이다. 일본 ... ...
화산 신이 남겨놓은 돌기둥 병풍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고문리에 용암호를 이루면서 주상절리를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된다.이 지형은 풍화와
침식
작용을 거치면서 일부 현무암층이 떨어져 나가 작은 폭포(재인폭포)가 만들어졌다. 재인폭포는 높이 약 18m, 너비 약 20m 정도다. 폭포 주변은 현무암 기둥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암벽 곳곳이 떨어져나가 ... ...
127시간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올릴 수가 없었다.묵직한 돌로 바위를 쳐 보기도 했지만 돌만 부서졌다. 오랜 비바람에도
침식
되지 않은 채 남아 있을 만큼 단단한 바위였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팔을 잘라낼 도리밖에 없다. 아론은 총 세 번에 걸쳐 팔을 자르는 시도를한다. 첫 번째는 칼날이 무뎌서 베어지지 않아 포기했고, 두 ... ...
수학으로 푼 석회암 동굴 비밀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아주 작은 틈이 생길 때 이곳에 이산화탄소가 녹은 물이 들어가 석회암의 탄산칼슘을
침식
시켜 생긴다. 그런데 이렇게 긴 동굴이 생기려면 꽤 빨리 석회암을 녹여야 하는데, 이것은 의문으로 남아 있었다.폴란드 바르샤바대학의 물리학자 피오르드 스짐스자크는 탄산수가 석회암을 녹이며 구멍을 ... ...
우리 손으로 그린 첫 남극 그림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생겨버렸다. ❶ 빙하가 만든 S라인 U계곡빙하는 서서히 움직이면서 지면을
침식
시켜 곡선을 만든다. 강처럼 V자로 패는 대신 빙하는 U자형의 계곡을 만든다.❷ 눈밭을 쓰다듬은 손길헬리콥터를 타고 위에서 내려다 본 남극. 유구한 세월동안 빙하가 움직이면서 만든 흔적들이 썰매를 타고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