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족
유흥
유쾌
d라이브러리
"
쾌감
"(으)로 총 131건 검색되었습니다.
01. 사랑은 뇌가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증식하기 위해서는 암수가 서로 결합해야 한다. 따라서 유전자는 암수가 교미하면
쾌감
이 생기도록 동물의 뇌를 만든 것이다. 즉 섹스의 쾌락은 우리의 유전자 복제 노력에 대한 유전자의 보상이다.마찬가지로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지는 것이 고통인 이유는 이것이 유전자 복제를 하지 않고 떠나려 ... ...
나는 사랑의 몇단계에 와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노르에피네프린부신, 척수, 뇌에서 분비. 심장 박동을 빠르게 하고 성적 자극과 육체적
쾌감
을 촉진한다.에스트로겐 난소와 뇌에서 분비되는 여성호르몬. 배란을 조절하며 도파민의 분비를 촉진시켜 성욕을 느끼게 한다. 캐나다 콘코르디아대 심리학자 짐 파우스 박사는 남성에서도 에스트로겐이 ... ...
2003년 가장 '쿨'한 발명품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밝혔다.www.apple.com/itunes/스카이다이버용 날개독일 기업인 알반 가이슬러는 고공낙하의
쾌감
을 극대화할 수 있는 스카이다이버용 날개를 개발했다. ‘스카이레이’(skyray)란 이름의 이 날개는 탄소섬유로 만들어졌으며 공중에서 양력을 발생시켜 곧장 낙하하지 않고 몇분 간 공중에서 지체할 수 있게 ... ...
신경생리학으로 분석한 자살의 원인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가 이를 잘 보여준다. 엑스터시를 처음 복용하면 은근한
쾌감
이 느껴지는 고양상태(highs)가 오지만 반복할수록 고양상태에 머무르는 시간은 짧아지고 심한 우울감이 찾아온다. 엑스터시가 세로토닌의 작동 시스템을 파괴하기 때문이다.다마지오 교수는 “스피노자의 관점에서 ... ...
병주고 약주는 두 얼굴의 초콜릿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각성시켜 사고력과 기억력, 집중력 같은 것을 순식간에 고조시킨다. 강렬한 각성작용과
쾌감
작용 때문에 미국과 유럽 등에서는 철저한 관리하에서만 처방할 수 있으며 고농도의 암페타민은 중독성이 있다. 한때 ‘스피드’라고 불렸던 마약의 주성분이 암페타민이다.고농도의 페닐에틸아민도 ... ...
치열해진 승부 무너진 스포츠맨십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공격성이 뒤따른다. 또 경쟁 후에는 어떤 형태로든 보상이 있기 마련이다. 승리했을 때
쾌감
은 말할 것도 없으며, 심지어 경제적인 이득과 명예까지 얻는다. 이런 보상은 다시 공격적인 행위를 정당화시키는 동기를 부여한다. 경쟁이 공격성을 부추긴다고 할 수 있다.반대로 패자에겐 견디기 힘든 ... ...
내가 타본 일본의 하이브리드자동차, 프리우스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브레이크를 밟는 순간의 느낌이 일품이었다. 밟는 힘이 그대로 브레이크에 전달되는
쾌감
이 이 차에 대한 믿음을 더해 주었다.프리우스는 후진할 때 전지의 힘만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까지 후진할 수 있는지 시험해 봤다. 한 5백m쯤 갈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을 뒤엎고 4.7km까지 달렸다. ... ...
동양산학에 등장하는 수열과 급수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무려 3천8백년 전 이집트 파피루스에도 흔적이 남아있는 수열.동양의 구장산술이나 산법통종에도 이런 수열과 함께 수열의 합인 급수의 개념이 등장한다.동양산학서들을 ... poetic license)과도 같이 그것을 접하는 이들에게 오히려 상상력을 자극하고 적지 않은
쾌감
마저 선사하리라고 본다 ... ...
목숨 걸고 펼치는 가상전투게임 '아바론'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가상전투게임에 열중하고 있다. 수많은 젊은이들이 게임의 단계를 올라갈 때마다 흥분과
쾌감
으로 열광하고 있으며, ‘파티’라는 비합법집단을 만들어 게임 중독자가 되고 있다. 때로는 뇌를 파괴하고 게임에서 현실로 돌아오지 못하는 미귀환자를 만들어내는 위험한 게임. 사람들은 이 게임을 ... ...
껌 8분 이상 씹으면 스트레스 받는다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분비를 감소시켜 결국에는 껌씹기를 그만둔다. 더 이상 부교감신경이 작용함으로 해서
쾌감
을 주지 못하고, 교감신경이 작용하는 스트레스 상황에 놓이게 된다. 즉 운동선수의 스트레스 해소를 가져다준 껌이 이제는 오히려 스트레스를 더해주는 역할로 변한 것이다. 따라서 운동선수의 스트레스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