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터널"(으)로 총 440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요즘 뜨는 나노 기술 3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무궁무진한 가능성에 대한 것이었다. 1982년 원자 하나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주사터널현미경(STM)이 개발되면서 나노기술은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다. 나노의 가장 큰 특징은 말 그대로 작은 크기다. 신문 한 장의 두께는 10만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쯤 된다. 나노 수준에서 ... ...
- Intro. 뇌 유전자 호르몬, 요즘 사춘기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터닝 포인트다. 하지만 사춘기 자녀와 매일 부딪히는 부모에게 이 시기는 어둡고 긴 터널 같다. 사춘기는 사람마다 겪는 시기가 다르고, 반응 방식도 다르다. 최근 과학계가 사춘기에 주목하면서 사춘기에 관한 과학적 이론이 정립되고 있다. 누구나 겪은, 누군가 겪고 있는, 누군가는 겪을 사춘기에 ... ...
- [이기자의 1마감1게임] 시험 기간 금지 게임, 미니 메트로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많아지지 않도록 노선도를 그리고 열차를 배치해 최대한 많은 승객을 태우는 겁니다. 터널과 노선, 열차는 정해진 수만큼만 쓸 수 있어요. 도시가 커지면 승객과 지하철역도 많아집니다. 지하철역의 종류도 세모와 네모, 동그라미 외에 십자 모양과 별, 마름모 등 다양하게 등장하죠. 1호선이 붐비는 ... ...
- [다중이용시설] 피난 약자 위한 대피공간 설계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기술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중이용시설의 출입문이나 화재셔터가 내려오는 부분에 터널처럼 에어커튼을 다는 식이다. 화재로 한쪽 문이 막힌 상황에서, 다른 쪽 출입구에 에어커튼이 작동한다면 연기 확산이 저해되며 초기 대피 시간을 벌 수 있다. 습식 스프링클러도 같은 효과를 내지만, ... ...
- [Issue] 내 잉크가 너의 숨을 쉬게 하리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반면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대도시 뒷골목이나 외곽의 담벼락, 지하철 플랫폼이나 터널 벽에 그래피티(graffiti·스프레이 페인트로 낙서처럼 그린 그림)를 종종 볼 수 있다. 그래피티는 1960년대 후반 미국 뒷골목에서 대표적인 길거리 문화로 출발해 정치인 풍자 등 사회 비판적인 색채가 강하다. ... ...
- Intro. 갑작스런 화재 ‘골든타임’ 지키는 건설 기술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비율)으로 높았지만 외부는 2ppm 수준이었다. 유 연구위원은 “호남~제주를 잇는 16km 해저터널 내부 구난역(Rescue Station)에 이 기술을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갑작스런 화재 ‘골든타임’ 지키는 건설 기술[다중이용시설] 피난 약자 위한 대피공간 설계 ... ...
- [과학뉴스] 터널 화재 초기 진압 신기술 개발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위험도 낮아졌다. 유용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소 연구위원은 “특히 터널이나 지하철처럼 화재에 취약한 공간에서 요긴하게 쓰일 것”이라고 밝혔다 ... ...
- [Origin] 유럽의 ‘빛 공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SACLA)보다 무려 3배 이상 길다. 포항의 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1km 정도다. 3km가 넘는 긴 터널은 많은 의미를 가진다. E-XFEL의 시작은 독일 전자싱크로트론연구소(DESY)다. 여기서 쏜 전자가 E-XFEL에 도착한다. DESY는 1세대 방사광가속기가 있는 독일의 유서 깊은 연구소로, E-XFEL보다 북쪽에 위치해 있다 ... ...
- Part 2. 독침에 농장 파괴까지, 악동 개미 습격 사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낳지요. 그 결과 농작물과 가축에 큰 피해를 주고 있어요. 이 개미들은 식물의 뿌리에 터널을 뚫고, 대량의 열매와 씨앗을 먹어치우기도 하거든요. 또 달팽이나 새끼 악어, 어린 송아지 같은 작은 동물들에게도 피해를 입혀요. 독으로 동물을 기절 시키고, 강한 턱으로 갉아 먹지요. 게다가 약한 전기 ... ...
- [가상인터뷰]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중력파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평소에는 두 터널을 지나온 빛의 시간이 똑같아요. 그런데 중력파가 지구를 지나가면 두 터널의 길이가 달라져서 빛이 되돌아온 시간에 차이가 생기지요. 검출기는 이 차이를 감지하는 거예요. 일리: 중력파는 어디에 쓰일 수 있어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중력파는 빅뱅 직후부터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