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폭주
대설
d라이브러리
"
폭설
"(으)로 총 104건 검색되었습니다.
네트워크로 해석한 인터넷 대란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수 있다.이제 시카고 공항의 경우보다 좀더 심각한 경우를 생각해보자. 시카고 공항이
폭설
이 아니라 테러리스트의 소행으로 폐쇄됐다고 가정하자. 테러리스트는 9.11 사태와 같이 동시다발적으로 미국의 주요도시의 모든 공항을 공격해 폐쇄시켰다. 그러면 미국의 항공망은 거의 마비상태에 도달할 ... ...
세계사를 바꾼 날씨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국가가 매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올해만 해도 북아메리카 대륙에는 더워야 할 여름에
폭설
이 내렸고, 유럽에서는 기록적인 홍수로 도시들이 물에 잠겼다. 또한 십여년간 계속돼온 가뭄으로 아프리카는 점점 더 사람이 살 수 없는 땅이 돼가고 있다. 그래서 많은 전문가들은 ‘앞으로 지구촌의 가장 ... ...
하늘에서 내리는 미스터리 결정체 눈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셈이다.그렇다면 눈에도 ‘습한’ 눈과 ‘건조한’ 눈이 있다는 것일까. 지난 1월 7일
폭설
이 내렸을 때의 상황을 살펴보자. 당시 눈구름을 몰고 온 저기압은 차가운 대륙을 거쳐 서해바다를 지나왔다. 이때 저기압을 구성하는 공기는 너무나도 차가웠고, 쿠르시오 난류가 흐르는 서해바다는 ... ...
따뜻한 겨울 뒤에 라마마있다.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블로킹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동유럽과 미국 동부지역에 비해 우리나라에서 한파와
폭설
의 강도가 약했던 이유는 한반도 주변을 비롯한 북태평양 중위도 해역에 형성돼 있는 고수온대가 있었기 때문이다. 북태평양 중위도 해역의 고수온대는 북쪽에서 내려오는 한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했으며, ... ...
히말라야를 오르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1백80℃까지 급격하게 변하는 우주환경에 적응하도록 개발된 소재이기 때문에 강풍과
폭설
이 상존하는 영하 수십℃의 고산환경에서도 끄떡없다. 이 소재의 우수성이 알려지면서 최근에는 스키, 골프, 조깅용의 일반 스포츠에도 고어텍스 소재의 의류들이 많아지고 있다.고산에서의 또 다른 어려움은 ... ...
2. 통신혁명의 주춧돌 정보이론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무엇인가? 바로 사건 발생 확률의 차이인 것이다. 알다시피 한겨울에 시베리아지방에
폭설
이 내린다는 것은 누구나 다 짐작할 수 있는 일인 반면, 적도부근에서 그러한 일이 일어난다는 것은 아무도 예상하지 못한다.이 점에 착안해 그는 정보의 양이 많고 적음을 나타내는 척도를 '엔트로피'로 ... ...
한반도에 엘니뇨 재앙 닥칠까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질병이 더욱 극성을 부리고, 노인이 급사할 가능성이 높아지리라는 우려가 나왔다.
폭설
이 쏟아져 심한 재해가 닥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됐다. 인과관계 불투명그러나 기상청 관계자에 따르면 올 겨울 날씨를 특징짓는 확실한 사실은 ‘따뜻하다’는 점 한가지뿐이다. 눈이 많이 내릴지, 많이 ... ...
기상이변의 말썽꾼 엘니뇨 현상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있는 반면에 우리나라의 남부지방은 극심한 가뭄에 시달리고 있다. 또 중동지방에서는
폭설
이 보도되고 있다. 이러한 기상이변 현상은 서로 규모가 다르고 생성 및 유지 메커니즘이 상이한 공기 흐름들이 기후를 지배하고 있기 때문에 어떤 단순한 인과관계로 설명하기는 어렵다고 본다. 다만 ... ...
21C 100대 한국 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2001).3. 레이더 관측망 등이 충실히 확보되고 데이터 처리기술의 발전에 의해 집중호우
폭설
등 국지 기상의 단기예보가 정확해진다(2005).4. 수심 3백m에서 관측용 점검용 작업용 등에 사용되는 각종 해중 로봇이 보급된다(2007).5. 인공위성에 의한 원격조작기술이 진전돼 장단기 기상예보에 사용된다(20 ... ...
43만 가구 일시에 정전시킨 '섬락현상'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한전사상 처음있는 일.전문가들은 서해안지역보다 눈이 더 많은 동해안, 또는 이번에
폭설
이 내린 남해안에서는 그와 같은 사고가 없었으며 특히 서해안에 눈이 많이 내려도 이같은 사고가 일어나지 않았던 점을 들어 중국쪽에서 밀려 온 대기속의 중금속이 원인일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한창 ... ...
이전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